시청역에서 내렸다. 덕수궁 정문 대한문이 바로 앞이다. 덕수궁은 원래의 명칭은 경운궁이지만 1907년 고종이 순종에게 양위한 뒤 이곳에 살면서 명칭을 덕수궁으로 바꾸었다. 서양식 건물이 들어서 있어서 고유한 궁궐의 양식과는 다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지금의 덕수궁은 원래의 3분의1 규모로 축소되었다. 서대문 별관시청사에 올랐다. 울긋불긋 파스텔화로 물들어가는 덕수궁이 한 눈에 들어왔다. 덕수궁 돌담장 밖 정동에는 이국적인 역사물이 가득하다.
경복궁은 광화문으로 들어선다. 이 궁은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다섯 개의 궁궐 중 첫 번째로 만들어진 곳으로, 조선 왕조의 법궁이다. 1395년에 완성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불이 나 무너졌는데 조선 말 흥선대원군의 지휘 아래 새로 지어졌다. 경복궁의 중심인 근정전은 2층 월대 위에 장엄하게 서 있는 건물로 임금의 권위를 상징하는 건물이자 공식 행사나 조회 등에 사용하였다. 근정전 뒤로는 임금의 사무실이라 할 수 있는 사정전과 침실인 강녕전, 왕비가 거처하였던 교태전이 이어진다.
경회루는 태종이 개성에서 한양으로 재천도 후, 경복궁 서쪽의 땅이 습한 것을 염려하여 못을 파고 건설하였다. 태종 때 본격적으로 조성되어 조선시대 사신의 접대와 궁중 연회가 베풀어졌던 공간이었다. 경복궁에서 가장 아름다운 공간이면서도, 단종의 전위와 연산군대의 흥청망청 고사가 유래한 곳이기도 하다. 경회루의 아름다운 경치들을 감상하면서 이곳을 거쳐 갔던 역사적 인물들의 모습을 떠올려 보는 묘미도 있다.
창경궁 정문은 돈화문이다. 조선 사람들은 경복궁만 중국식을 따르고 두 번째 궁인 창덕궁부터는 조선식대로 지었다. 창덕궁은 한국적인 가치가 인정되어 한국의 궁궐 가운데 유일하게 1997년에 세계유산이 되었다. 이 궁은 경복궁 다음에 위치하는 궁이기 때문에 이궁 혹은 별궁이라고 불렀다. 경복궁은 정도전을 위시한 신하들이 설계했다면, 창덕궁은 왕의 의도에 따라 설계되었다.
경복궁과 다르게 창덕궁은 왕이 쉴 수 있는 정원 영역을 많이 만들었다. 임진왜란 때 다 탄 뒤 선조가 다시 지어 1610년부터 창덕궁은 정궁이 되었다. 창덕궁은 경복궁의 주산인 백악산 자락에 있는 매봉을 주산으로 건설되었다. 창덕궁의 자랑은 후원이다. 이곳은 아무나 들어갈 수 없다는 의미에서 금원 혹은 비원 등으로 불렸다.
창경궁은 1484년에 완공되었으나 창건 당시의 전각은 임진왜란 때 모두 소실되고, 대체로 임진왜란 후에 재건하였다. 강제로 한일합병조약이 이루어진 이후인 1911년에는 창경궁을 창경원으로 격하시켰다. 1983년 원래의 명칭인 창경궁으로 환원하였다. 동물원과 식물원 시설 및 일본식 건물을 철거하고 문정전 등을 복원하였으며, 벚꽃나무도 소나무·느티나무·단풍나무 등으로 교체하고 한국 전통의 원림을 조성하는 등 원래의 모습을 되찾았다. 창경궁 정문 홍화문으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