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우내 응축된 생명의 물, 고로쇠 약수

기사입력 2018-01-31 08:49 기사수정 2018-01-31 08:49

▲메이플 시럽을 만들기 위해서 단풍나무에서 수액을 채취하는 모습. 고로쇠나무 역시 단풍나무의 일종으로 메이플 시럽은 주로 사탕단풍(Acer saccharum) 나무가 쓰인다.
▲메이플 시럽을 만들기 위해서 단풍나무에서 수액을 채취하는 모습. 고로쇠나무 역시 단풍나무의 일종으로 메이플 시럽은 주로 사탕단풍(Acer saccharum) 나무가 쓰인다.

매년 2~3월은 고로쇠 약수를 채취하기에 좋은 시기다. 고로쇠나무뿐 아니라 자작나무, 다래나무, 대나무 등 다양한 나무의 수액을 사람들은 마신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유럽, 중국, 소련, 일본, 캐나다 등에서도 나무 수액을 채취한다. 여기에도 좋고 저기에도 좋다는 소문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고로쇠나무 수액은 어떤 약효를 지니고 있는 걸까?

나무의 일생은 진액 순환으로 이루어진다. 겨우내 나무뿌리에 응축되어 있던 진액은 봄이 되면 스프링처럼 솟구쳐 오르며 풍성한 새싹과 잎을 밀어낸다. 여름의 진액은 꽃의 꿀로 변하고, 가을에는 과즙으로 변하며, 겨울에는 다시 뿌리로 돌아간다. 즉 나무의 1년은 뿌리의 진액이 가지로 올라갔다가 다시 뿌리로 되돌아오는 순환일 뿐이다. 이때 각 시기의 진액은 각각 다른 운동에너지(vector)를 갖는다.

고로쇠 약수를 비롯한 봄철의 나무 수액은 솟구쳐 오르는 진액이다. 일교차가 심할수록 이러한 작용이 활발해져 효과가 더 좋다. 고로쇠 약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경칩에서 곡우 사이에 채취하는데, 일교차가 심할수록 많은 양을 얻을 수 있다. 또 이 시기를 지나면 수액의 양이 급격하게 줄면서 가지 끝으로 올라가 순식간에 싹을 틔워낸다. 봄기운을 머금은 고로쇠 약수는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기를 북돋워준다. 기운이 없고 입맛을 잃는 춘곤증도 치료해준다.

‘물은 답을 알고 있다’의 저자 에모토 마사루 박사의 물 입자 사진을 보면 환경에 따라 물 입자가 늘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크기와 방향을 가진 운동에너지와 비슷한 개념으로 시간과 장소의 기운을 머금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가을 이슬은 상기된 기운을 가라앉히고, 봄비는 처진 기운을 끌어올려준다. 입춘에 봄기운을 받은 고로쇠 약수는 떨어진 기운을 끌어올려주는 작용을 하므로 어지럼증, 기력 저하, 위장 장애 등의 병증에 좋다. 특히 고로쇠 약수의 단맛은 위장병 치료에 좋다.

우리나라는 연교차와 일교차가 큰 지역이다. 단풍이 아름다운 것은 일교차 때문이다. 국기에 단풍 문양이 들어갈 정도로 단풍이 유명한 캐나다 동부지역 역시 일교차가 큰 지역이다. 이 지역에서는 설탕단풍나무의 수액을 받아 말려 단풍나무시럽(maple syrup)을 만든다. 우리나라와 비슷한 환경에서 자라는 나무에서 같은 효능을 발견한 것이다.

▲고로쇠 약수를 채취하는 모습.
▲고로쇠 약수를 채취하는 모습.

생물이 단맛을 갖는 것은 변화가 잦은 상황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다. 민물과 바닷물이 섞이는 곳에서 잡힌 물고기가 맛있듯, 계절 변화가 심한 곳에서 자라는 생물들이 맛있다. 단맛은 소화를 돕고 기력을 끌어올려주며 소변을 잘 나오게 해준다. 고로쇠 약수가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나무는 겨울을 나기 위해 수액을 응축시키고 당분, 미네랄, 아미노산 등을 만들어 농도를 높인다. 그리고 봄에는 이러한 영양분을 위로 끌어올려 싹을 틔우는 데 쓴다. 따라서 고로쇠 약수는 미네랄이 풍부한 이온음료라 할 수 있다. 2~3월에 고로쇠나무의 수피(樹皮)에 상처를 내면 수액이 뚝뚝 떨어진다. 고로쇠 약수는 물보다 흡수가 빠르고 배설도 빠르다. 이러한 작용으로 몸의 독소를 없애준다. 실제로 고로쇠 약수 5리터를 마시면, 물 5리터를 마셨을 때보다 자주 화장실을 들락거리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 몸이 정화되는 것이다. 고로쇠 약수가 부종, 술독 등의 해독에 좋은 것은 그 때문이다.

통일신라 말 도선국사가 오랜 좌선 끝에 득도했을 때의 일화다. 이른 봄 좌선을 끝내고 일어서던 도선국사는 무릎이 제대로 펴지지 않았다. 옆에 있던 나뭇가지를 잡고 일어나려 했으나 그만 가지가 꺾어지는 바람에 엉덩방아를 찧고 말았다. 이때 도선국사는 꺾인 나뭇가지에서 물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을 보고 목을 축였는데, 신기하게 그 물을 마신 후 무릎이 펴지면서 몸이 개운해졌다. 이에 도선국사는 그 나무를 뼈에 이롭다는 의미로 골리수(骨利樹)라 불렀는데, 이 나무가 바로 고로쇠다.

고로쇠 약수를 마시면 등짝이 시리면서 온몸의 뼈가 서늘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뼈는 찬 기운을 접하면 강해지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고로쇠 약수는 뼈가 약해진 경우나 관절염, 골다공증 예방 등에 좋다. 나무의 수액은 인체의 진액과 혈액에 해당해 부족한 진액을 보충해준다. 고로쇠 약수뿐 아니라 자작나무와 대나무 수액, 알로에 즙 등에도 이러한 효능이 있다.

고로쇠 약수는 빈혈과 변비, 피부 건조증에도 좋다. 고로쇠 약수로 몸을 정화하려면 많이 마셔야 한다. 화장실을 자주 들락거리면서 몸의 진액이 변하는 것을 느낄 정도로 마셔야 한다.


최철한(崔哲漢) 본디올대치한의원 원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박사. 생태약초학교 ‘풀과나무’ 교장. 본디올한의원네트워크 약무이사.

저서 ‘동의보감약선(東醫寶鑑藥膳)’,

‘사람을 살리는 음식 사람을 죽이는 음식’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서울아산병원, 알츠하이머병 신약 ‘레켐비’ 처방 시작
    서울아산병원, 알츠하이머병 신약 ‘레켐비’ 처방 시작
  • 찬바람 불면 환자 늘어나는, ‘안면신경마비’ 치료법과 예방법은?
    찬바람 불면 환자 늘어나는, ‘안면신경마비’ 치료법과 예방법은?
  • 한국보건복지인재원, 늘봄학교 성공적 운영에 교육부 장관표창 수상
    한국보건복지인재원, 늘봄학교 성공적 운영에 교육부 장관표창 수상
  • 겨울철 기승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예방이 최선의 방책”
    겨울철 기승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예방이 최선의 방책”
  • 우울감·불면·건망증 등… 서울시 노인 55.6% 정신적 어려움 겪어
    우울감·불면·건망증 등… 서울시 노인 55.6% 정신적 어려움 겪어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