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라벨

기사입력 2018-02-14 17:41 기사수정 2018-02-14 17:41

‘워라벨’이라는 신조어가 뜨고 있다. 워라벨은 Work and Life Balance을 합성한 신조어이다. 개인의 일(Work)과 생활(Life)이 조화롭게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퇴근 후 그리고 주말에도 SNS로 여전히 일에 시달리는 현재 기업 풍토에 반발해서 나온 용어로 보인다.

어찌 보면 일과 개인 생활을 균형 있게 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말처럼 그게 쉽지 않다. 기업은 월급을 주고 있으니 되도록 회사 일을 많이 시키려 하고 갑의 입장이니 그렇게 용인되는 풍조였다. 그러나 직원들의 입장에서는 개인의 삶이 중요하니 직장과 가정은 별개로 분리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필자가 한창 젊었을 때는 중동 건설현장에 나가 있었다. 몸이 가족과 떨어져 있으니 당연히 100% 회사 일만 했다. 귀국 후 국내 건설 현장에 투입되었으나 잠만 집에 가서 잤지, 여전히 일에 치중된 삶이었다. ‘납기단축’, ‘돌관 작업’이라는 명분 하에 노는 날도 없는 강행군의 연속이었다. 90% 일에 치중된 삶이었다.

스키장갑을 제조 수출하는 중소기업으로 자리를 옮긴 후, 자발적인 일 중독자가 되었다. 공장장의 직함이므로 납기를 맞추려면 야간작업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사원들에게 일을 시켜 놓고 혼자만 퇴근 할 수 없으므로 성수기에는 집에 못 들어가는 날도 많았다. 성취감에 보람도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사장이 불러 집이 너무 머니 가까운 곳으로 집을 옮기라는 제언을 했다. 그에 필요한 전세 돈을 회사에서 마련해주겠다고 했다. 그래서 옮기고 나니 출퇴근에 소비되는 시간이 줄었다. 그만큼 생활에 재미를 느꼈다.

또 자리를 옮겨 스포츠 의류 유통 사업 대표를 맡아 시내 중심가에 자리를 잡았다. 유통업은 일하는 시간을 늘린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서 정시 퇴근을 실시했다. 때 마침 직원들의 요구 조건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일도 중요하지만, 생활도 중요하다는 것이었다. 이미 30년 전 일이다.

필자가 겪어온 시대에는 남자는 일이 우선이었다. 가정은 아내 몫이었다. 남자가 회사에서 일을 잘해서 월급이 올라가면 그것이 곧 가정의 행복이었던 시절이다. 필자가 치열하게 살아 온 직장 생활 20년은 화려했다. 그러나 가정적으로는 그만큼 희생이 뒤따랐던 것이다. 아이들은 어느 덧 훌쩍 자라 아빠와 말을 섞을 기회도 없었다. 그리고 출가하고 나니 아버지의 정을 요구하기에 이미 늦은 것이다.

‘옆집남자가 사는 법’이라는 책을 쓴 이경수라는 사람은 잘 나가던 직장과 아이들 학업을 잠시 중단하고 세계 여행을 떠났다. 다시는 오지 않을 그 시기를 그렇게 용단을 내린 것이다. 일과 생활의 밸런스는 이렇듯 어렵다. 둘 중 하나는 희생해야 뭔가 얻어진다.

요즘은 맞벌이가 대세이니 워라벨이 다시 부상하기 시작했다. 제조업처럼 일하는 시간이 곧 생산량이던 시대도 지났다. 일본의 사토리 세대처럼 출세에 관심 없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작지만 확실한 행복을 원하는 소확행(小確幸)과 인생은 한번 뿐이라는 욜로(YOLO)의 시대이다. 워라벨을 중시해야 하는 시대이기도 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초고령사회 앞둔 한국을 향한 경고
    [카드뉴스] 초고령사회 앞둔 한국을 향한 경고
  • 80세 할머니들과 40대 창업가의 성공 신화 ‘우키하의 보물’
    80세 할머니들과 40대 창업가의 성공 신화 ‘우키하의 보물’
  • [카드뉴스] 골다공증 ‘이렇게’ 예방하세요
    [카드뉴스] 골다공증 ‘이렇게’ 예방하세요
  • 괴테 소설 원작 뮤지컬 ‘베르테르’, 페어 포스터 공개
    괴테 소설 원작 뮤지컬 ‘베르테르’, 페어 포스터 공개
  • 종신보험의 새로운 활용법, 보험금청구권신탁이란?
    종신보험의 새로운 활용법, 보험금청구권신탁이란?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