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둔야학교 학생 중 몇 명은 주로 인근에 있는 ‘푸른지대’로 일당을 받고 일을 다녔다. 푸른지대는 그 당시 딸기로 유명한 곳이어서 5월 말에서 6월 중순까지는 서둔벌이 온통 선남선녀의 물결이었다.
농대 후문에서 도보로 3분 이내 거리의 유원지로 개발이 잘된 푸른지대는 갖가지 수목이 우거졌는데 커다란 백합나무가 군데군데 있었다. 그리고 그 사이로 빨갛게 핀 해당화, 아침 이슬을 머금고 보랏빛 또는 흰색으로 청초하게 빛나던 아이리스, 꽃말이 ‘젊은 날의 추억’이라는 라일락의 보랏빛 향기, 기품 있는 여인의 자태. 목련이 있었고, 주목, 눈향나무 등의 관목들도 곳곳에 자리해 있었다.
푸른지대 주인집은 많은 화초가 우거진 곳에 들어앉아 있어서 언제 봐도 녹색 지붕의 빨간 벽돌 집은 ‘꿈의 집’이었다. 왼쪽의 커다란 2층 건물은 식당으로 썼고 오른쪽에는 딸기 판매점이 있었다. 그중 철골조로 둥근 아치를 만들어 그 위에 등나무를 얹었는데 보랏빛 등나무꽃을 보고 있노라면 마치 구름 위를 걷는 듯 아련했다.또 정원 중앙에는 연못이 있었는데 그 가장자리로도 수국, 해당화, 장미 등이 피어 있었고 집 앞에는 함박꽃의 자줏빛 웃음이 흐드러지곤 했다.
아침 8시쯤에 일을 나가면 우선 딸기를 담는 채반부터 물에다 불려서 솔로 닦아 헹군 후 건조시켜야 했다. 5월의 태양은 눈부셨고 초록빛 타원형의 잎사귀 밑에는 빨갛게 익은 딸기가 수줍게 숨어 있었다. 이제 막 하얀 꽃이 핀 것도 있었고 대개는 중심이 되는 가지에 아직 익지 않은 올망졸망 크고 작은 열매들이 달려 있었다. 익은 것은 딸기 한 그루에 한 개 또는 두 개 정도였고 어느 것은 아예 익은 것이 하나도 없었다.
아침 이슬이 딸기 잎에 맺혀 있다가 딸기를 따려고 잎사귀를 젖히면 딸기 밑에 깔아둔 볏짚 위로 이슬 진주가 '또르르’ 굴러내리곤 했다. 또 어느 때는 조그맣고 귀여운 청개구리가 잎에 앉아 가슴을 ‘팔딱팔딱’거리다가는 ‘펄쩍’뛰어서 달아나기도 했다.
딸기를 딸 때는 다른 것을 건드려 고개를 부러뜨리면 안 되었다. 아주 조심해서 익은 것만 따되 줄기를 너무 길게도 그렇다고 짧게도 자르면 안 되어, 엄지와 검지로 꼭지를 잡고 먹기 좋게 꼭지 줄기가 1㎝ 정도만 달리게 손톱으로 잘라냈다. 그래서 딸기를 따다 보면 어느새 손톱에는 초록빛 풀물이 잔뜩 들어 있곤 했다.
미국 남부의 목화 따는 아가씨들을 감독하던 감독이 그렇게 무서웠을까? 전체적으로 깡마르고 얼굴이 까만 최 씨 아저씨가 우리를 감독했는데 그분은 늘 장화를 신고 팔짱을 끼고 있었다. 필자는 그분이 어찌나 무서웠던지 조금 큰 소리만 내도 깜짝깜짝 놀라곤 했다.
딸기를 딸 때는 앉아서 따면 안 되고 꼭 엎드려서 따야 했다. 아저씨는 우리들에게 늘 반대로 말했다. “좋은 것은 먹고 나쁜 것만 골라 담아라.” 한참 일하다 보면 아침 이슬에 신발이랑 양말이 다 젖어버리고 허리가 아파왔다. 그리고 따끔따끔한 5월의 태양에 팔이 까맣게 타다 못해 허물이 벗겨졌다.
딸기는 한 채반에 2㎏ 정도씩 담았다. 채반이 다 차면 그것을 양손에 하나씩 받쳐 들고 딸기 파는 매장으로 일렬로 행진해갔다. 딸기를 씻을 때는 큰 그릇에 물을 충분히 부은 후 딸기를 가만히 쏟아 붓고 두 손바닥으로 몸체를 살짝 눌러 물에 잠겼다 올라오게 한 다음 건져서 다시 한 번 맑은 물에 헹궈 깨끗하게 건조된 채반에 담았다. 밭에서 금방 따온 것이기에 그 따글따글한 감촉을 씻으면서 충분히 느낄 수 있었다.
분위기에 따라 좋은 음악을 선별해 들려주는 DJ 일은 농대생들이 교대로 아르바이트를 했다. 멘델스존의 ‘노래의 날개 위에’ 바흐의 ‘G선상의 아리아’ 생상스의 ‘백조’ 타이스의 ‘명상곡’등 피아노와 바이올린의 소품이 흐르는가 하면 ‘홍하의 골짜기’, ‘여름날의 세레나데’, ‘체인징 파트너’등 부드럽고 달콤한 팝송들이 한낮의 태양 아래 조용히 울려퍼졌다.
특히 차이코프스키의 ‘안단테 칸타빌레’는 그 꿈을 꾸듯이 아름다운 선율이 일시에 나른한 환상의 나라로 인도하곤 했는데 어찌나 필자를 사로잡았던지 지금도 그 흐느적거리는 음의 선율이 아련하게 들려오는 듯하다.
일하면서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을 하루 종일 들을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지 몰랐다. 또한 지금 나오는 곡이 누구의 무슨 곡인지 생각하며 반복해서 들으니 자연스럽게 음악 공부도 되었다.
‘딜라일라’와 ‘언덕 위의 하얀 집’이라는 팝송이 한창 유행하던 시절이었다. 하루는 주인집 아줌마가 노래 중에 ‘딜라일라’를 좋아한다고 하니까 DJ 보는 농대생들이 "아마 그것밖에는 아는 게 없겠지" 하면서 자기들끼리 ‘킥킥’대며 아줌마를 무시하는 것이었다.
비록 집이 가난해 그 집에서 아르바이트를 할망정 '지적으론 우리가 우월해' 하며 과시하는 것 같았다.
매점에서는 두 명의 이대생도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었는데 그중 살집이 넉넉한 여학생이 하는 얘기가 “자고로 미운 여자란 없는 법이란다. 마른 여자는 골격미인이고 살찐 여자는 육체미인, 아는 것이 많은 여자는 지성미요, 좀 모자란 듯한 여자는 백치미인이란다” 했다.
필자는 딸기 따는 일은 초기에 잠깐 했고 이내 매점에서 일을 보았다. 매점에서 일을 보던 우리들은 점심을 특별히 푸른지대 주인집에서 먹었는데 우리 집과는 비교가 되지 않게 식탁이 풍성했고 간혹 처음 보는 음식들도 눈이 띄었다.
이때 처음으로 야채샐러드를 맛보았는데 그 싱그러운 맛이 기가 막혔기에 기억을 되살려 나중에 집에서 해먹었는데 이상하게도 물만 많고 도무지 그 맛이 나지 않는 것이었다. 알고 보니 그때까지 ‘마요네즈’라는 것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줄도 모르던 필자가 야채를 준비해놓고는 우유를 들이부은 것이다. 그 당시 필자가 갖고 있는 상식으로는 흰 색깔이 나는 액체는 우유뿐이었으므로.
필자는 어쩌다 며칠에 한 번씩 점심을 먹고는 거의 걸렀다. 밥을 얻어먹는 것 같아서 자존심이 상했기에 주인집 아줌마가 먹으라고 몇 번씩 채근을 해도 먹지 않았다. 그때마다 하얀 얼굴, 작은 눈의 아줌마는 눈을 곱게 흘기며 말했다.
"너는 왜 그렇게 고집이 세니?"
대개는 상품 가치가 떨어져서 골라낸 찌꺼기 딸기로 배를 채웠다. 다른 사람들은 딸기에 연유를 부어서 먹기도 했다. 대부분은 설탕을 찍어서 먹었지만 필자는 설탕을 찍지 않고, 딸기도 잘 익은 것은 맛이 싱거운 듯해서 덜 익어서 파란 부분이 많은 딸기를 즐겨 먹었다. 그때 딸기 맛의 감별법을 익혀두어서 지금도 어떤 딸기가 맛이 있는지 훤히 알고 있다.
당시의 딸기 품종은 주로 ‘대학 1호’와 ‘아모아’였다. 딸기를 사러 매점에 찾아온 손님들은 필자의 피부에 감탄하곤 했다.
"딸기를 많이 먹어서 피부가 고운가보네."
"어쩌면! 이런 시골에 피부가 백옥 같은 아가씨가 있네!"
딸기는 씻어서 채반에 담고 지름이 10㎝쯤 되는 하얀 플라스틱 접시에는 흰 설탕을 적당히 담아서 손님들이 원하는 자리에 배달했다. 갖가지 수목과 화초 사이에 벤치가 놓여 있어 손님들은 거기서 먹었고 때로는 잔디밭에 앉아서 먹는 사람도 있었다.
대부분은 젊은 남녀 아베크족들이었고, 가족 단위로 오는 사람도 적지 않았다. 여자들은 저마다 개성 있는 예쁜 옷들을 입고 와서는 고운 자태를 뽐내었다.
필자는 그들과 처지를 비교해보며 과연 어른이 되면 딸기를 따는 신분에서 딸기를 부담 없이 사 먹을 수 있는 신분이 될 수 있을까 하면서 회의에 빠지곤 했다. 여자 손님들의 밝고 화사한 모습이 부러워서 한참 동안 쳐다보기도 했지만 곧 일에 빠져 잊어버렸다.
하루는 한 남자 손님이 손을 씻겠다고 해서 우리가 물을 부어주었다. 그러자 “당케이”라고 말해 우리가 까르르 웃었더니 “아, 독일 말로 고맙다는 뜻이야” 하고 당황해하며 설명했다. 아마도 그 손님은 우리가 땡큐도 제대로 발음 못하는 것으로 생각하며 웃는 줄로 오해했던 것 같다.
푸른지대는 딸기 외에도 수익사업으로 밍크와 앙고라토끼를 키웠는데 앙고라는 눈만 빼꼼 내놓고 온몸이 털북숭이었다. 밍크는 사람도 마음대로 못 먹는 양미리라는 생선을 먹고 살았다.
푸른지대는 어려웠던 시절 우리에게 이모저모로 도움을 많이 준 곳이다. 일자리가 부족할 때 우리에게 일자리를 제공해주어 필자는 열네 살 때부터 언니와 함께 찬바람이 몰아치는 들판에서 어린 소나무의 묘목을 캐서 나르기도 했고, 햇볕이 따가운 딸기밭에서 일하기도 했던 것이다.
그때는 하루 품삯이 20원이었는데 푸른지대는 우리 동네 구멍가게와 계약을 맺어 푸른지대의 일당표를 가져가면 가게에서 현금처럼 취급해주었다. 대부분의 주민들이 식량난에 허덕이게 되니 가게에서는 면발이 가느다란 국수의 양을 20원짜리로 만들어놓았고 주민들은 대개 이 국수와 일당표를 맞바꿈했다. 우리는 그것을 끓여먹으며 일을 다녔다.
주인아저씨와 아줌마는 많은 아이들 가운데서도 특별히 우리 형제를 귀여워하여 햇볕이 없고 시원한 매점에서 일을 보게 해주었고, 점심도 제공해줬다. 또 서둔야학교 선생님들이 도움을 청하니 전선을 제공해줘 학교에 전기가 들어오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그런데 번창일로에 있던 푸른지대가 딸기술인 ‘파라다이스’를 개발했다가 판로가 신통찮은 바람에 일시에 부도가 나버렸다. 당시 아저씨와 아줌마는 얼마나 속이 상했을까. 필자에게 친절하고 다정하게 대해주셨던 두 분이었기에 너무도 가슴이 아팠다.
사람들에게 욕심이 없다면 발전이라는 것은 있을 수가 없다. 그런데 이 욕심이라는 풍선은 적당 양의 바람만 넣어야지 너무 많이 넣으면 터져버린다. 문제는 그 적정선이 어디까지인지 미리 감을 잡을 수가 없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