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몽투쟁의 역사가 탐라국의 아픔을 삼키는 슬픈 사실이 있었다

기사입력 2018-05-23 12:29 기사수정 2018-05-23 12:29

제주도는 근세에 70주년인 4·3사건이 발생했던 슬픈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더는 물러설 곳 없는 섬 제주. 두려움과 희망은 늘 바다 넘어서 밀려왔다. 1271년. 그날 하늘은 파랗고 땅은 붉었다. 그리고 자당화는 고왔다. 1273년 4월’

▲토성옆 쉼터 움막에 글 '절박한 최후 앞에서'(김행수 동년기자)
▲토성옆 쉼터 움막에 글 '절박한 최후 앞에서'(김행수 동년기자)

제주 항파두리 항몽유적지에 가면 토성 옆 쉼터 움막 안에 쓰여 있는 누군가의 글이 가슴을 쓰리게 한다. 이곳은 13세기 말엽(1271~1273) 유럽과 아시아 등 대부분 나라를 세계최강의 세력으로 말발굽 아래 굴복시켰던 몽골(원)의 침략에도 끝까지 항거한 고려무인의 정서가 서린 삼별초군의 마지막 보루였다. 원나라는 고려를 고종 18년(1231)부터 30년간 7차례에 걸쳐 침략했는데, 강화도 천도로 성공하지 못했다. 그러나 백성들이 겪었던 고초는 참혹했다.

▲제주 항파두리 항몽유적지 내 전시실에 설치된 '전투태세의 고려군'(김행수 동년기자)
▲제주 항파두리 항몽유적지 내 전시실에 설치된 '전투태세의 고려군'(김행수 동년기자)

고려 초조대장경은 고려 현종 2년(1011)에 발원하여 77년 만에 완성됐는데, 이는 거란의 침략을 부처님의 원력으로 물리치기 위함이었다. 때문에 몽골은 부인사에 보관된 초조대장경을 고종 19년(1232) 침략해 불태워 버렸다. 다시 몽골과 항전이라는 호국의 의지를 담아 해인사 대장경판(팔만대장경)을 제작한 것도 같은 의미를 갖는다.

강화 항전에 세계 최강 몽골은 승리를 거두지 못하고 고려와 화의하고 철군하였다. 이때 고려 조정에서는 개성 환도파들의 강행에 무신파 중 환도를 반대하는 삼별초 장군들이 대 항몽전에 나섰다.

▲제주 항파두리 항몽유적지 내 전시실에 설치된 '대항몽전에서'(김행수 동년기자)
▲제주 항파두리 항몽유적지 내 전시실에 설치된 '대항몽전에서'(김행수 동년기자)

이들은 원-고 연합군에 항전하다 진도로 밀려나 용장성을 근거지로 항전하였으나, 몽골 세력에 의해 원종 12년(1271) 진도가 함락됐고, 배중손 장군이 전사하였다. 김통정 장군이 잔여부대로 탐라(제주)에 들어와 바다 탐지에 전망과 방어 입지 조건이 좋은 항파두리에 토성으로 내외성과 바닷가에 환해장성을 쌓아 항몽전에 나섰다. 원종 14년(1273) 1만2000여 명에 달하는 여·몽연합군의 총공격을 받아 항파두성이 함락됐다. 김통정 장군이 붉은오름으로 퇴각하다 자결하며 삼별초 군사들은 전원 순의하였고 40여 년 몽골 침략의 역사는 막을 내렸다.

▲제주 항파두리 항몽유적지 실내 전시실에 설치된 '고-원 연합군 공격루트'(김행수 동년기자)
▲제주 항파두리 항몽유적지 실내 전시실에 설치된 '고-원 연합군 공격루트'(김행수 동년기자)

이후 고려와 별개의 몽골 직할지로 탐라도(총관부)라는 명칭이 생겼다. 일본과 남송을 침략 전진기지로 함선건조, 목마장(조랑말이 몽골의 말) 등을 조성하며 각종 착취로 탐라도민은 노예와 같은 고초와 억압을 받았다.

공민왕 23년(1374) 최영 장군이 탐라국을 완전 토벌까지 100여 년을 비참하게 살았다. 진도와 제주로 밀리며 대적했던 고려 군대는 고려무신 최우가 만든 삼별초를 주축으로 대항몽전이 이루어졌으나, 고려인의 기상이 제주에 한동안 알려지지 않았다.

현재 제주문화는 몽골의 문화가 많은데 몽골의 초원을 달리던 제주조랑말, 오메기떡, 빙떡, 말똥 연료 등이 그 잔재라는 것을 근래에 알게 되었다.

1970년대 박정희 대통령이 항몽유적지에 ‘항몽순의비’를 세워 보존이 시작되었으며 1997년 사적 396로 지정됐다. 2017년부터는 본격적으로 문화재청에서 발굴 사업을 하는 중이다. 발굴된 일부 유적을 보관 전시하는 유적전시관도 만들었으며 발굴은 고증을 찾아 점차 진행하고 있다.

▲제주 항파두리 항몽유적지 항몽 순의비(김행수 동년기자)
▲제주 항파두리 항몽유적지 항몽 순의비(김행수 동년기자)

700여 년 전 세계 최강의 몽골(원)과 맞서 싸운 고려인의 드높은 기상이 제주까지 이어졌던 사실을 현재 역사의 뒤안길에서나마 후손들에게 전하여 국가의 힘과 호국의 결의인 대항몽전을 통해 알려야 한다. 현재 보존되어 있는 토성에 대해 장점 등을 찾아보며 발굴된 유적과 발굴 중인 현장도 가봐야겠다.

▲성 옆 쉼터 움막에 글 '반역인가? 고려의 백성이다'(김행수 동년기자)
▲성 옆 쉼터 움막에 글 '반역인가? 고려의 백성이다'(김행수 동년기자)

‘그들은 무신정권의 버팀목이었고 역사의 승자에게는 반역의 무리였다. 그들은 새로운 고려를 꿈꾸기도 했고 외세의 침략에 맞서 싸운 용감한 군대였다. 무엇보다 그들은 전란의 시대를 온몸으로 부딪쳐야만 했던 고려의 백성이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섬에서 한 해를 마무리하고 싶다면… 큰 언덕 매력적인 대부도 
    섬에서 한 해를 마무리하고 싶다면… 큰 언덕 매력적인 대부도 
  • [포토 에세이] 나목의 추상
    [포토 에세이] 나목의 추상
  • 12월 5일, 임영웅 2025 시즌그리팅 예약판매 시작 “Hero's Day Off”
    12월 5일, 임영웅 2025 시즌그리팅 예약판매 시작 “Hero's Day Off”
  • 한국골프관광협회, 한국마스터즈프로골프협회와 협약
    한국골프관광협회, 한국마스터즈프로골프협회와 협약
  • [포토 에세이] 들국화
    [포토 에세이] 들국화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