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와 재미’ 모 방송 채널의 슬로건이기도 한데 소설이든 영화든 드라마든 이 둘의 균형을 잡는 일은 매우 어렵다. 실험성이 강해 평론가들의 찬사를 받은 작품이 흥행에 실패해 조용히 사라지기도 하고, 진부한 막장드라마가 시청률을 올리는 일은 흔하다. 욕하면서 본다는 우스개처럼 말도 안 되는 설정에 진저리를 치지만, 그런 드라마가 계속 이어지는 것을 보면 나름 일정한 역할이 있음에 틀림없다.
인간이 본디 그렇게 생겨먹은 것은 아닐지. 사실 진종일 의미만 찾다가는 피곤과 스트레스로 제명대로 살기 어려울 듯싶다. 재미는 그 반대편에 있으면서 긴장을 이완하고 감정을 조율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테면 아줌마들이 막장드라마를 보며 실컷 욕을 하고 나면 응어리졌던 스트레스가 풀리는 이치이다. 두통이 오면 아스피린을 찾듯 우리는 익숙한 것에서 마음의 안정을 얻는지도 모른다.
영화 ‘미드나잇 선’(6월 21일 개봉, 스콧 스피어 감독)은 로맨틱멜로 장르에 속하나 사실 진부하기 이를 데 없는 영화다. 내용과 장면들이 거의 어디선가 본 듯한 것들이다. 주인공의 불치병은 ‘러브 스토리’를 닮았고 우리 막장드라마의 단골 소재이기도 하다. 해 뜨기 전에 집에 돌아와야 하는 것이나 노트를 두고 와 결국 다시 만나는 스토리는 신데렐라 이야기를 빼다 박지 않았나. 곳곳의 대사나 영화적 장치도 새로울 것이 별로 없다.
주인공 케이티(벨라 손)는 XP(색소성건피증)라는 희귀병에 걸렸다. 이 병은 태양에 노출되면 급속히 악화되어 죽는 병이므로 햇빛을 피해야만 한다. 종일 방에 격리된 그에게는 엄마가 남겨준 기타와 창문 너머 10년째 짝사랑하고 있는 찰리(패트릭 스왈제네거)가 유일한 세상의 희망이다. 밤에만 외출이 허락된 케이티는 어느 날 기차역에서 심야의 버스킹을 하게 되고 현장에서 찰리를 만나게 된다.
둘은 사랑에 빠져 매일 밤 데이트에 나서고 함께 기차여행까지 가게 된다. 케이티는 길거리에서 버스킹도 하고 수영을 즐기기도 하는데 시계가 방수가 안 되어 고장 나는 바람에 집에 갈 시간을 놓치게 되고 결국 햇빛에 노출되고 만다. 그 사건으로 병이 악화되어 병상에 눕는다. 케이티는 찰리에게 상처를 주기 싫다며 만나지 않게 되고 둘 사이에는 갈등의 골이 깊어진다.
여기까지 들어봐도 매우 익숙하지 않은가. 극의 전개 또한 매우 손이 오글거릴 정도로 작위적이다. 그러나 이 영화의 미덕은 이 뻔해 보이는 익숙함이 주는 감정적인 편안함이다. 마치 모차르트나 베르디의 똑같은 음악을 아무리 들어도 질리지 않듯이. 이 영화에도 갈등은 있지만, 모든 등장인물의 익숙한 진정성이 갈등을 녹이는 감동의 원동력이다. 모차르트나 베르디의 음악에 불협화음이 없는 것처럼.
케이티는 아빠와 대화를 통해 부성애를 확인하고 아빠는 케이티와 찰리가 다시 만나게 도와준다. 케이티는 어깨를 다쳐 수영을 그만둔 찰리를 격려해 다시 재기하도록 하고 찰리는 죽기 전 케이티가 만든 찰리 송을 녹음하도록 돕는다. 케이티는 자신이 아끼던 수첩에 찰리를 향한 마음을 남긴다. 케이티의 노래는 유튜브에서 대박을 친다. 아, 모두 너무 아름답지 않은가!
내용은 진부하고, 연출은 작위적이고, 연기는 서툴지만, 보고 난 뒤 가슴을 따스하게 감싸는 감동이 있다. 어차피 세상에 비슷하지 않은 게 어디 있으랴. 성경 전도서에 ‘해 아래 새로운 것은 없나니’라는 말도 있지 않은가! 그래 그만하면 푯값은 충분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