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100세] 시니어 건강을 위한 ‘잘 걷기’
관련 뉴스
-
- “웃다가 찔끔” 여름철 더 심해지는 요실금
- 무더운 여름, 요실금으로 속앓이하는 중년 여성이 적지 않다. 땀과 소변이 섞이며 냄새가 심해지고, 습한 속옷으로 인해 피부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50대 이상 여성 10명 중 7명이 겪는 요실금은 본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소변이 새는 배뇨장애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부끄러움이나 노화의 일부로 여기며 증상을 숨기기 바쁘다. 요실금에 관한 궁금증을 심봉석 이화여대부속서울병원 비뇨의학과 교수와 함께 풀어봤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2023년 요실금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총 13만 5024명이며, 이 가운데 50세
-
- 중장년·남성 위한 맞춤형 복합시술 전략 제시
- 대웅제약과 DNC 에스테틱스가 9~10일 서울 안다즈 호텔에서 ‘딥 심포지엄(DEEP, Daewoong·DNC Medical-AEsthetic Expert Program)’을 열고, 중장년과 남성 환자를 위한 맞춤형 복합시술 전략을 공개했다. 딥 심포지엄은 양사가 공동 기획한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 교육 프로그램으로, 올해는 ‘연령대별 맞춤형 에스테틱’을 주제로 20대부터 60대까지 선호 시술법과 특징을 다루는 연속 행사로 진행 중이다. 이번 네 번째 심포지엄은 중장년·남성 환자군에 특화한 복합 시술 전략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행사
-
- 50조원 돌파한 65세 이상 노인 병원비…4년새 40%
- 65세 이상 노인들의 진료비가 최근 4년 사이 약 40% 늘어나 지난해 50조 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진료비는 전체 인구 진료비의 거의 절반 수준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층의 건강보험 진료비(환자 본인부담금+급여비) 총액은 2020년 37조 4737억 원에서 지난해 52조 1221억 원으로 39.1% 증가했다. 올해 들어 상반기까지 이들의 진료비는 27조 9817억 원으로, 이미 지난해의 절반을 넘어섰다. 같은 기간 65세 이상 고령층
-
- KARP 자매단체 에이지연합, 유엔 ECOSOC NGO 공식 승인
- 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한국의 시민단체가 유엔의 문을 열었다. 대한은퇴자협회(KARP)의 자매단체인 ‘에이지연합(Age Platform Korea)’이 최근 유엔 경제사회이사회(UN ECOSOC)로부터 NGO 지위를 공식 승인받았다고 6일 밝혔다. 에이지연합은 2011년 고용노동부 인가를 받아 설립된 사단법인으로, 시니어 권익 증진과 세대 통합 등을 목표로 활동해온 단체다. 2021년부터 UN NGO 등록을 추진해온 에이지연합은 지난 5월 유엔 경제사회이사회 산하 경제사회국(UN DESA)의 심사를 통과해 NGO 자격을 획득했다.
-
- [Trend&Bravo] 중년 여성들이 말하는 갱년기 대처법 TOP5
- 갱년기는 자연스러운 생리적 변화지만, 그 증상은 개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안면홍조, 불면, 피로, 감정 기복 등 대표적인 증상은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어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2년 한국 여성의 생애주기별 성·생식 건강조사’에 따르면, 갱년기 증상에 가장 많이 선택된 대응 방법은 건강기능식품 섭취였다. 운동, 병원 진료, 한방 치료 등의 방식도 뒤를 이었으며,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견디는 경우도 있었다. 갱년기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관리할 것인지는 결국 개인의 선택이다. 실제 중년 여성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