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영하는 여행 관련 TV 프로그램 중 ‘꽃보다 할배 리턴즈’(tvN)를 시청했다. 이순재, 신구, 박근형, 백일섭, 김용건 등 원로 배우들이 독일, 체코, 오스트리아 순으로 동유럽을 돌아보는 여정으로 꾸며졌다. 오스트리아 비엔나(빈)의 경우엔 나 또한 두 번 여행을 다녀올 정도로 워낙 좋아하는 도시이기에, TV를 통해 다시 추억 여행을 떠나보기로 했다.
첫 비엔나 여행은 40대 후반 프랑스, 이태리 등 유레일패스 기차여행을 하면서 인상 깊었던 도시 인스부르크와 함께였다. ‘비엔나 숲속의 왈츠’와 ‘모차르트’ 우습게도 ‘비엔나커피’ 정도를 머리에 그리며 떠났는데, 영어가 원활하지 않다 보니 이해가 덜 되어 답답했다. 그러나 언어의 장벽을 넘어, 합스부르크의 영광을 안은 중세 서양 문화의 현장인 비엔나 구시가지 풍경은 마치 심봉사가 광명 찾듯 내 눈을 번쩍 뜨이게 했다. 문외한으로 갔던 첫 번째 비엔나 여행에서의 아쉬움은 이후 미술사, 클래식 음악, 유럽 역사, 인문학을 가까이하는 데 동기부여가 되었다.
강의도 듣고 공부도 하여 2011년 60세 언저리에 다시 한번 비엔나를 찾았다. 두 번째 여행은 독일, 체코 프라하, 비엔나, 잘츠부르크를 포함하는 동유럽의 여정이었다. 18세기 비엔나는 화려한 합스부르크 가문의 도시이기도 했지만 음악의 도시로도 잘 알려졌다. 18세기 고전파 음악가 3인은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으로 회자하는데, 특히 잘츠부르크와 비엔나에는 모차르트의 발자취로 가득하다. 덕분에 현재 두 도시의 관광 수익은 지역 경제에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지만, 모차르트를 사랑하는 후세인들은 평생 빈곤 속에 살다 죽음을 맞이한 그의 삶을 몹시 안타깝게 여긴다.
고건축물이 가득한 구시가지 가운데 비엔나의 상징인 슈테판 대성당이 있다. 1100년대 건축 이후, 수차례에 걸쳐 개축되며 세계적인 유적으로 손꼽히는 곳이다. 성당의 이름인 ‘슈테판’은 성경 속 최초의 순교자 스데반 집사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하이든과 베토벤이 소년 성가대원으로 활동했던 성당이기도 하다.
모차르트는 슈테판 대성당에서 거행되었던 화려한 결혼식과 시신이 없는 가장 슬픈 장례식의 주인공이었다. 영화 ‘아마데우스’에서 보았듯 모차르트는 ‘레퀴엠’(진혼곡)을 미완성으로 남기고 비명횡사하여 끝내 시신을 찾을 수 없었다. 그의 죽음에는 너무나 많은 가설이 따르지만, 당시 열악한 교통수단으로 어린 나이부터 수많은 순회 연주를 다니며 이름 모를 풍토병에 시달렸고, 성인이 되어서도 폐결핵 등으로 건강상태가 좋지 않았다고 한다. 죽음을 경험해야만 쓸 수 있는 곡 ‘레퀴엠’을 작곡하면서 실제로 죽음의 경지까지 자신을 몰입시켰을지도 모르겠다. 결국 세기의 음악천재는 그렇게 ‘레퀴엠’을 완성하지 못하고 세상을 뜨고 만다.
유쾌한 성격의 소유자로 알려진 모차르트가 말년에 병마와 빈곤 속에 시달리며 작곡한 ‘클라리넷 5중주 A장조 K581’은 내가 가장 사랑하는 곡 중 하나다. 유홍준 명지대학교 석좌교수의 저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에 나온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처럼, TV와 함께 떠난 나의 세 번째 비엔나 여행에서는 이전보다 더 많은 것이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