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송파 문인협회에서 시 낭송을 난생 처음 해봤다. 윤동주의 ‘별 헤는 밤’을 4명이 4부분으로 나눠서 낭송했다. 몇 번 연습을 하고 보면서 낭송했는데 기억에 남는 구절이 하나도 없다. 그런데 올 연말 행사에는 보고 읽는 것이 아니라 안 보고 암송하기로 했다. 박인환문학관을 다녀왔던 기억을 떠올려 ‘목마와 숙녀’를 선정했다. 그 동안 암기능력은 개발해본 적이 없다. 줄줄이 기억하던 은행 계좌 번호도 매번 통장을 꺼내 봐야 한다. 노래방에 가도 노래 가사를 몰라 모니터 자막 없이 못 부르는 지경이다. 술을 좋아하다 보니 알코올에 뇌세포가 많이 죽은 모양이다. 우선 문제는 아예 생각나지 않는 현상이다. 머릿속이 하얘진다. 우리 가족력에 치매는 없었는데 필자에게 가능성이 있는지도 모르는 일이다. 손바닥에 커닝페이퍼처럼 사인펜으로 첫 머리만 메모해두는 방법, 맨 앞좌석에 앉은 사람에게 큰 글씨로 시를 출력해서 들고 있게 하여 안 보는 척 보는 방법 등, 여러 가지 편법이 생각났으나 그냥 암송하기로 했다.
두 번째 문제는 단어가 생소하다 보니 내가 쓰기 편한 단어를 만드는 버릇이다. ‘숙녀’라는 단어는 요즘 잘 쓰지 않는 단어이다 보니 ‘여인’, ‘그녀’등이 대신 튀어 나왔다. ‘목마를 타고 떠난 숙녀’가 ‘목마를 탄 여인‘으로 둔갑했다. ’술을 마시고‘는 ’술을 마시며‘로 ’방울 소리 울리며‘는 ’방울소리 울리고‘로 마구 뒤섞였다.
암송을 방해하는 요소로 각각의 연이 끊어질 때 마다 3초씩 멈췄다가 이어가는 것이 문제였다. 천천히 분위기를 잡다 보면 다음 단어가 막혔다. 문장을 몽땅 외워 좀 빠르게 숨 쉬지 않고 끝내는 방법으로 바꿨다. 끝없이 말이 이어지는 여자들의 수다에서 배운 요령이다. 그냥 멈추는 것과 숨을 쉬기 위해 멈추는 것은 다르다. 나중에 속도만 조정하면 되는 것이다. (/br)
1차 테스트를 받아봤다. 그런대로 암송에 성공했다. 아직 건재하다는 얘기이다. 기억을 살려 빨리 끝내려는 마음에 빨라지는 톤만 고치면 된단다. 연말 행사까지는 아직 시간이 있으니 더욱 세련되어 질 것이다. 암송 연습을 해보니 좋은 점도 있었다. 뇌의 기억 세포를 살려 놓는 것이다. 고난의 연속이지만, 그 과정에서 잠자던 세포를 살려내는 작업이다. 치매 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br)
거리를 걷거나 계단을 오르면서 암송을 하면 힘든 줄 모른다. 발은 저절로 걸어가지만, 머리 속에서는 기억 세포를 계속 굴리는 것이다. 혼자 중얼거리고 다니니 지나가는 사람들이 이상한 눈초리로 보지만 개의치 않는다. 시를 그냥 읽었을 때와 다른 것은 단어 하나하나가 깊이 박힌다. 책을 읽을 때 시 암송 습관이 도움 되기도 한다. 그냥 스쳐지나가던 단어가 속속들이 드러난다. ‘~한다’ 등 마치는 끝말도 시처럼 또렷하게 남는다.
이번 시 낭송이 끝나도 그것으로 그치지 않고 마음에 드는 시 하나를 뽑아 암송할 생각이다. 무미건조하게 생각 없이 길을 걷거나, 힘들게 계단을 올라갈 때 써먹자는 의도이다. 얼마 후 있을 히말라야 트레킹 때 하루 20km나 걸어야 한다. 지친 다리의 고통을 잊기 위해서도 시 암송이 도움 될 것만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