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릉 5백년 답사 ⑤

기사입력 2018-12-07 08:45 기사수정 2018-12-07 08:45

이성계의 등장

젊은 청년 장수 이성계

이성계의 아버지 자춘은 큰 형이 갑자기 병사(病死)하자 조카 대신 형의 벼슬을 물려받았다. 때마침 반원(反元) 정책을 펼치던 공민왕을 만나 쌍성총관부를 되찾기 위한 전투에 협력하기로 했다. 이를 성사시킴으로써 고려에 큰 공을 세우게 된다.

이때가 1356년(공민왕 5)으로 무려 99년 만에 원나라의 지배하에 있던 쌍성총관부를 되찾은 것이다. 이자춘은 그 공로로 대중대부사복경(大中大夫司僕卿)이 되고 저택을 하사 받아 개경(開京)에 머물렀다. 이후 동북면 삭방도만호 겸 병마사(朔方道萬戶兼兵馬使)로 임명되어 영흥(永興)으로 돌아갔으나 4년 뒤 병사(病死)한다.

▲남원 황산대첩비지(荒山大捷碑址) (사적 제104호). 이성계가 황산대첩에서 왜구를 무찌른 사실을 기록한 승전비가 있던 자리. 1945년 일본인들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현재의 비석은 1957년 다시 만들어 세웠으며 1973년에 비석이 보관된 비전·홍살문·삼문·담장, 그리고 부속건물들을 새롭게 단장하였다.(김신묵 동년기자)
▲남원 황산대첩비지(荒山大捷碑址) (사적 제104호). 이성계가 황산대첩에서 왜구를 무찌른 사실을 기록한 승전비가 있던 자리. 1945년 일본인들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현재의 비석은 1957년 다시 만들어 세웠으며 1973년에 비석이 보관된 비전·홍살문·삼문·담장, 그리고 부속건물들을 새롭게 단장하였다.(김신묵 동년기자)

이성계는 1335년 함경남도 영흥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자춘이 고려에 협력하여 쌍성총관부를 되찾는 공을 세울 때에 약관 20세의 청년 장수로 함께 참전하였다. 이후 크고 작은 전투에서 승리하면서 고려역사의 전면에 나서게 된다.

아버지 이자춘의 벼슬을 물려받은 이성계는 동북면 지역의 실세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1361년 10월에 독로강 만호 박의가 일으킨 반란을 평정하여 공민왕의 신임을 얻게 되었다. 그해 겨울 얼어붙은 압록강을 건너온 홍건적의 침략에 공민왕이 개경을 버리고 피난길에 오르게 되자 수하의 사병을 동원, 수도 탈환작전에 참가하여 선두로 입성하는 개가를 올리게 된다.

또한 쌍성총관부를 빼앗긴 원나라에서 여진족 나하추에게 수만의 군사를 주어 이를 되찾게 하였는다. 이들과 맞선 고려군이 패배하자 조정에서는 이성계를 동북면병마사로 임명하여 대적케 하였다. 이성계는 나하추 주력부대를 격멸, 격퇴시킴으로써 저물어가는 고려국의 새로운 별로 떠오르게 된다.

이후 30여 년 넘게 전쟁터를 누비며 승승장구하는 불패의 명장으로 이름을 날리게 된다. 1364년 반원 정책을 밀어붙이며 기황후의 오빠 기철 등 부원(附元) 세력을 제거한 공민왕을 폐위시키고 덕흥군을 새 왕으로 임명하면서 군사를 동원하여 쳐들어온 원나라 군사들을 최영 장군과 합동으로 물리친 이성계를 이제 고려에서는 모르는 사람이 없게 된다.

▲대첩비각(大捷碑閣), 1957년에 기존의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를 그대로 사용하고 비석은 새롭게 만들어 세웠으며 1973년에는 추가로 보호 비각을 세웠다.(김신묵 동년기자)
▲대첩비각(大捷碑閣), 1957년에 기존의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를 그대로 사용하고 비석은 새롭게 만들어 세웠으며 1973년에는 추가로 보호 비각을 세웠다.(김신묵 동년기자)

고려말 당시 경상도, 전라도 등 남쪽으로는 왜구가 공공연히 침략하여 분탕질을 치고 있었다. 북으로는 여진족들이 심심찮게 건너와 노략질을 일삼았다. 이성계는 남으로 달려가 왜구를 물리치고 북으로 올라가 여진을 격퇴하는 등 눈부신 활약을 보인다.

특히 1380년 5월에 침략한 왜구들은 500척이 넘는 대선단으로 쳐들어왔으니 결코 도적떼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진포(鎭浦:지금의 군산) 부근에 배를 묶어놓고 상륙한 왜구들은 근처의 전라, 충청은 물론 멀리 경상도 내륙까지 약탈, 방화, 살육을 일삼았다. 정부에서는 진압군을 내려보내니 이때 최무선의 화약과 화통을 이용하여 적의 배를 모두 불살라 버렸다.

배를 잃은 왜구는 내륙으로 이동하면서 이합집산을 거듭하며 조정에서 보낸 진압군과 크고 작은 전투를 벌였다. 9월에 이르러 남원 운봉과 인월 지역에 주둔하면서 곧 북상하겠다고 큰소리를 치고 있었다. 이때 이들을 격파한 것이 이성계이다. 이키섬 출신 소년장수 아지발도(阿只拔都)를 포함한 왜구들은 전멸하다시피 하였으니 이 전투를 황산(荒山) 대첩이라 부른다. 이 황산대첩을 기념하여 1577년(선조 10)에 황산대첩비를 운봉에 세웠으나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들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이후 파편만 남은 것을 1977년에 복원하였다.

▲깨어진 기존 비석은 별도로 파비각(破碑閣)을 세워 보존, 전시하고 있다.(김신묵 동년기자)
▲깨어진 기존 비석은 별도로 파비각(破碑閣)을 세워 보존, 전시하고 있다.(김신묵 동년기자)

일제는 강점기간 중 조선 팔도에 세워진 일본 관련 승전비나 석물들, 예를 들면 이순신 장군 관련 비석과 김시민 장군 관련 비석 등을 비밀리에 파괴하는 등 역사를 숨기려는 짓을 서슴지 않았다. 이곳 황산대첩비 파괴도 그 일환으로 저질러진 만행이다.

이렇게 고려말 크게 이름을 떨친 청년장수 이성계는 나하추를 물리친 1362년에는 동북면 병마사가 되었다가 밀직부사에 제수되었다. 1382년에는 동북면도지휘사, 1384년에는 동북면 도원수문화찬성사가 되었다. 1388년에는 문하시중의 바로 아래인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까지 오르게 되며 마침내 위화도 회군으로 고려왕조를 무너뜨리고 역성혁명을 이루게 된다.

▲대첩비 옆에는 어휘각(御諱閣)이 있다. 이곳은 이성계가 이듬해에 다시 방문하여 지난날 전공이 자신만의 것이 아니라 부하들과 함께 이룬것이라며 그때 함께 전투에 참여한 중요 장수들을 석벽에 새겼는데 대첩비 파괴때에 함께 쪼아버려 지금은 남아있지 않다고 한다. (김신묵 동년기자)
▲대첩비 옆에는 어휘각(御諱閣)이 있다. 이곳은 이성계가 이듬해에 다시 방문하여 지난날 전공이 자신만의 것이 아니라 부하들과 함께 이룬것이라며 그때 함께 전투에 참여한 중요 장수들을 석벽에 새겼는데 대첩비 파괴때에 함께 쪼아버려 지금은 남아있지 않다고 한다. (김신묵 동년기자)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글로컬 웰니스 관광 선도' 써드에이지, 웰니스캠프와 손잡아
    '글로컬 웰니스 관광 선도' 써드에이지, 웰니스캠프와 손잡아
  • 금오산 기슭, 고요가 고인 쉼터… 경북 구미의 유산 '채미정'
    금오산 기슭, 고요가 고인 쉼터… 경북 구미의 유산 '채미정'
  • 역사의 큰 곳집, 부여의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궁남지’
    역사의 큰 곳집, 부여의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궁남지’
  • 역사의 상처 속 유적에서 유쾌한 탐방, 부산시민공원
    역사의 상처 속 유적에서 유쾌한 탐방, 부산시민공원
  • 방랑 시객 김시습과 충신 송간 이야기 담은 고흥 재동서원
    방랑 시객 김시습과 충신 송간 이야기 담은 고흥 재동서원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