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靑春), 이는 듣기만 하여도 가슴이 설레는 말이다.”
언론인이자 소설가였던 민태원(1894~19 35)이 남긴 저 유명한 수필 ‘청춘예찬(靑春禮讚)’의 첫머리입니다. 1929년 6월 월간 잡지 ‘별건곤(別乾坤)’ 21호에 발표된 지 만 90년이 되는 지금까지도 인구에 회자하는 이 명문장을 흉내 낸 한 구절로 2019년 3월 야생화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3월, 가만 읊조리기만 하여도 봄이 온다. 파릇파릇 새싹이 돋고, 아지랑이가 피어난다.”
그렇습니다. 3월의 시작과 함께 우리 곁에 성큼 다가온 봄의 한복판에 파란 싹이 돋고 아지랑이가 피어나고, 꽃이 핍니다. 그리고 봄의 시작을 알리는 여러 야생화 중 하나가 바로 오늘의 주인공 산자고입니다. 한자로는 뫼 산(山)에 자애로운 자(慈), 시어머니 고(姑)자를 쓰니, ‘자비롭고 자애로운 시어머니’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입니다. 산에 들에 자라는 풀포기 하나, 나무 하나 그 모두가 꽃이 피면 야생화요, 열매이든 뿌리이든 잎이든 줄기이든 적정하게 처리해 활용하면 하나같이 효험이 큰 약재이니 그 어느 것 하나 감사하지 않은 게 없건만, 유독 이름 안에 자애롭다는 뜻을 새겨 넣었으니 그 연유가 자못 궁금할 것입니다.
먼 옛날, 어느 산골에 마음씨 고운 노모가 외아들과 살고 있었다. 늙은 어머니를 부양하는 가난한 산골 총각에게 시집을 오겠다는 처녀가 없어 어머니는 전전긍긍했다. 그렇게 시름이 깊어만 가던 어느 봄날, 밭일하던 늙은 어머니 앞에 짐보따리를 든 처녀가 나타났다. 그 처녀는 산너머에서 홀아버지를 모시고 살았는데, 아버지가 돌아가시면서 “내가 죽으면 산너머 외딴집에 시집을 가라”는 유언을 남겼단다. 이렇게 짝지어진 아들과 며느리를 볼 때마다 노모는 그렇게 흐뭇할 수가 없었고 아들과 며느리도 효성을 다했다. 그러던 이듬해 초봄, 며느리의 등에 아주 고약한 등창이 생겨 여간 고생이 큰 게 아니었다. 가까이 의원도 없어 애태우던 시어머니는 며느리의 등창을 치료할 약재를 찾아 산속을 헤매었는데, 어느 날 양지바른 산등성이에서 별처럼 생긴 작은 꽃을 발견했다. 이른 계절에 핀 흰색의 꽃이 신기해 살펴보던 중 며느리의 등창이 생각나 그 뿌리를 캐다가 으깨어 상처에 붙여주니, 고약한 등창이 며칠 만에 감쪽같이 치료됐다. 이때부터 사람들은 이 꽃을 산자고(山慈姑)라고 불렀다.
산림청에서 지난해 가을 우리나라 식물명의 유래를 설명하면서 소개한 이야기의 하나입니다. 그러면서 실제로 산자고가 한의원에서 종기나 부스럼, 임파선염 등을 치료하는 데 매우 유용한 약재로 쓰이고 있다고 말합니다.
Where is it?
시어머니와 며느리 간 애틋한 사랑과 자비의 전설을 지닌 산자고는 서울에서 제주도까지 남한 전역에서 두루 자란다. 다만 제주도를 비롯해 남서부 섬·해안 지역의 경우 ‘봄의 전령사’라는 말을 들을 만큼 이르면 2월 말부터 꽃을 피우기 시작하는 반면 경기·강원 등 중부지방에서는 4월 이후에나 개화한다. 남·서해안의 거의 모든 섬이 산자고가 풍성하게 그리고 일찍 피는 자생지로 알려져 있는데, 그중 통영 미륵산과 서해 신시도의 산자수명(山紫水明)한 언덕에 핀 산자고가 인기가 높다. ‘야생 백합’이라고 불리는 데서 알 수 있듯 다른 봄꽃에 비해 꽃의 크기가 커서 활짝 꽃잎을 열어젖힐 경우 꼿꼿이 서지 못하고 풀밭에 비스듬히 누운 듯한 자세를 취한다. 꽃의 형태는 다르지만, 잎이 비슷해 까치무릇이라고도 불린다.
김인철 야생화 칼럼니스트
서울신문 기자로 29년 일했다. '김인철의 야생화산책(ickim.blog.seoul.co.kr)' 블로그를 운영 중이다. '야생화 화첩기행'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