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 부부 모두 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했다. 그러던 중 부인이 40대에 교통사고로 시력을 잃어 교단을 떠날 수밖에 없었다. ‘아이들에게 희망과 꿈을 가르치는 선생님’으로 사는 행복에서 내려와야 했다. 마지막으로 담임을 맡았던 학급이 3학년 2반이다.
학교를 그만둔 부인은 좌절감에서 헤어나지 못했다. 옆에서 지켜보던 남편은 “언젠가는 아이들과 다시 만나게 해 주겠다”며 아내를 위로했다. 남편은 서울의 아파트를 팔고 전 재산을 모아 1996년 김포 덕포진 근처에 교육박물관을 열었다.
덕포진 교육박물관장인 김동선(78세), 이인숙(72세) 부부의 이야기다.
전국에 교육박물관은 모두 다섯 개가 있는데, 그중 개인박물관은 이곳이 유일하다. 박물관을 연지 어언 20여년이 지났다.
여전히 맑고 희망찬 기운이 두 분의 얼굴에 서려 있었다. 김동선 선생님은 현장 학습 온 아이들에게 “할아버지 학교 다닐 때는….” 하면서 옛날 학교의 모습과 생활들을 가르치고 있었다. 이인숙 선생님이 풍금을 치면서 아이들과 함께 동요를 불렀다. 선생님의 얼굴에서 시종일관 미소가 떠나지 않았다. 노랫소리를 들으려는 듯 3학년 2반 교실 창밖에 있는 넝쿨들이 담을 타고 올라와 교실 안을 기웃거렸다.
박물관은 3개 층으로 구성돼 있다.
1층은 교육 테마 전시관이다. 한편에 ‘3학년 2반’이라는 팻말이 붙은 ‘추억의 교실’이 있다. 난로, 조개탄, 도시락 등 50년대 옛 교실을 그대로 재현해놓았다. 교실에서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두 분이 수업을 진행한다. 이 교실에 앉으면 팔순 노인도 아이가 된다. 교실 옆은 ‘학창시절 체험관’이다. 교복을 입고 사진을 찍으며 당시의 학생증, 상장, 성적표 등을 관람한다. 영어, 수학 관련 교과서와 다양한 사료가 전시된 ‘영어, 수학 교과 테마실’도 함께 있다.
2층과 3층은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거슬러가는 공간이다. 2층은 교육 사료관이다. 조선 시대 서당을 재현해 놓았으며, 교육과정 변천사를 볼 수 있다. ‘추억의 문방구’ 코너에는 옛날 공책부터 불량식품까지 잊혀가는 까마득한 기억 속의 물건들이 있다. 다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문화 다양성 코너와 다문화 체험실도 있다.
3층은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을 볼 수 있는 전통문화, 농경문화에 관련된 많은 도구와 용품들이 전시돼 있다.
이인숙 선생님은 어른들의 마음을 적시는 수업도 한다. 본인이 절망에서 희망으로 나왔듯이 시(詩)를 이야기하며 찾는 이들의 영혼을 치유해주는 것이다. 카세트테이프에 녹음을 해서 듣고 또 들어 외우고 있는 시가 150수가 넘는다. 학교를 찾아오는 사람들에게 위안을 준다.
낡고 오래된 의자에 앉아 풍금 소리에 맞춰 노래를 불러보면 한 줄기 빛이 들어오는 경험을 하게 된다.
△덕포진 교육박물관: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덕포진로 103번 길 90
관람 시간: 오전 10시~오후 6시(매주 월요일 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