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이후 70여 년간 대한민국은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원조를 주는 나라’로 변화하는 경천동지의 사례를 만들어냈다. 그 시간에 아무것도 없었던 나라의 맨바닥을 일군 기반으로, 혹은 세계 곳곳의 산업 역군으로 대한민국의 위상을 드높이는 데 기여한 베이비부머들은 이제 새로운 삶의 시간을 맞이해 제2의 인생을 열고 있다. 바로 요즘 인기인 월드프렌즈 NIPA(정보통신산업진흥원) 자문단. 국내 퇴직 전문 인력 해외 파견 프로그램인 ‘월드프렌즈 NIPA 자문단’은 세계 곳곳을 누비며 대한민국 브랜드의 노하우를 전수하고 있다.
한국 정부 파견 해외 봉사단인 ‘월드프렌즈코리아(World Friends Korea)’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 중 하나인 ‘월드프렌즈 NIPA 자문단’은 민간 혹은 공공기관 출신의 퇴직 전문가들을 위한 해외 봉사 프로그램이다. 시니어 전문가들이 가진 기술 경영 및 경제 개발 노하우들을 개발도상국에 자문 형태로 전수하여 경제와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이 프로그램은 2010년부터 시작해 올해로 벌써 9년째를 맞이하고 있다. 2010년 첫해 18개국 38명 파견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45개국 809명의 자문단을 파견해왔다. 지금도 아프리카, 아시아, 중남미 등의 32개국에서 142명의 자문단이 활동하고 있다.
은퇴한 ICT 시니어들, 여기에 다 모여
‘월드프렌즈 NIPA 자문단’은 은퇴한 ICT 시니어가 인생 2막을 보낼 수 있도록 큰 역할을 해준다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퇴직 이후에도 지속적인 사회활동을 희망하는 시니어가 많기 때문이다.
자문단원이 된다는 것은 개도국에 대한 봉사적 지원과 대한민국 브랜드의 전파 의미가 우선이지만, 동시에 자문단원 개인 입장에서는 은퇴 후 임팩트한 제2의 인생을 열 기회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베네피트 덕분에 자문단 지원은 경쟁률이 높다. 베트남, 네팔, 세네갈, 에콰도르, 우즈베키스탄 등 43개국 대상 65명의 자문단원을 선발하는 올해 상반기 설명회에는 100명이 넘는 지원자가 참석했다.
자문단원은 정보통신, 산업기술, 에너지, 무역투자, 지역발전 등 5대 산업자원정책 분야를 기준으로 선발한다. 파견기간은
1년이며 개도국의 요청 및 프로젝트 연속성을 고려하면 최대 3년까지 활동이 가능하다. 선발된 자문단원에게는 항공료(실비), 출·귀국 준비금 1000달러, 활동비 월 700달러, 현지 생활비가 국가별 차등 지급식으로 월 2300~5000달러가 지원된다. 자문단원 선발 시 각 수요국에서 요구하는 학위가 있지만 관련 학위가 없더라도 이에 상응하는 경력자는 지원이 가능하다. 특히 외국에서 생활하는 만큼 영어로 강의, 자문, 보고서 작성이 가능해야 한다.
새로운 활력 찾아 떠난 에콰도르
에콰도르에서 자문단 활동을 마치고 6월에 귀국한 양순애 씨를 만났다. 그녀는 이화여자대학교 컴퓨터학과를 졸업하고 삼성전관 컴퓨터 사업부 근무, 영국 에든버러대학교 유학이라는 경력을 가진 베테랑 컴퓨터 연구자 출신이다.
“대학을 졸업하고 취직했는데 차별이 심했어요. 옛날에는 여자가 직장생활하기 되게 힘들었잖아요. 그러다 영국으로 유학을 갔죠. 박사 학위를 따고 돌아와 정부 산하기관에서 전자정부 쪽 일을 하다가 그만두고 자문단원에 지원했어요.”
자문단원 활동은 에콰도르가 처음이 아니었다. 그 전에 KOICA(한국국제협력단)를 통해 동티모르에서 자문단원으로 2년간 활동한 경력이 있었다.
“동티모르는 상당히 빈곤한 나라예요. 1인당 국민소득도 낮고 가게에 가면 물건도 별로 없죠. 그런데 그이들은 즐겁게 살더라고요. 가난해도 만족하며 사는 모습을 보면서 좀 겸손해졌다고나 할까요, 제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가 됐죠. 그리고 제가 가진 지식과 경험이 개도국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무엇보다 큰 보람이었어요.”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다
동티모르에 갔다 온 후 1년 정도 휴식기간을 가진 그녀는 다시 해외에서 일해보고 싶었다. 동남아시아는 갔다 왔으니, 다음은 아프리카나 중남미 쪽으로 나가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때마침 에콰도르에서 전자정부 구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력을 필요로 했다. 그 업무는 그녀의 전문 분야였다.
“에콰도르는 전자정부 수준이 아주 낮지는 않고 중간 정도예요. 우리나라의 정보통신부 역할을 하는 부처도 있고요. 그곳에 국립고등교육연구소가 있는데 사실상 국립대학원이라고 보면 돼요. 교수들이 연구도 하면서 정부의 자문기구 역할도 하죠. 저는 그 기관 행정 부서에서 일했어요.”
에콰도르에서 일하면서 어려웠던 점은 없었는지 궁금했다. 그녀는 높은 산지에 위치한 도시에서 생활하기가 쉽지 않았다고 했다. 적응하는 데 5~6개월 정도의 시간이 필요했다. 그녀가 지냈던 수도 키토는 해발 2850m에 위치해 있어, 충분히 먹어도 살이 빠지고 걷기만 해도 숨이 찼다. 치안 부재도 불편했다고.생활범죄가 늘어나 사람들이 휴대폰과 지갑을 잃어버리는 일이 잦았다. 이 두 가지만 빼면 살기 좋은 나라라고 그녀는 말했다.
자부심과 인내심 함께 가져야
그녀는 에콰도르의 전자정부 수준이 중간 단계 이상으로 올라가고 있어 1년 정도 더 있으면 가시적인 성과가 보일 것 같았는데 돌아오게 됐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자문단 선배’로서 자문단을 지원하는 이들에게 필요한 팁들을 알려줄 수 있냐고 물어봤다.
“우선 언어, 특히 영어가 중요해요. 소통은 중요하니까요. 그리고 건강이죠. 특히 남자들은 음식문화 때문에 고생해요. 부부가 함께 가면 좋은데 혼자 나가서 지내다 보면 몸이 부실해질 때가 있어요. 건강을 위해 자신이 좋아하는 요리를 미리 배워서 가면 좋아요.”
자문단원들은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기 때문에 프라이드가 높을 수밖에 없다. 그녀는 그래서 더 봉사한다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현지에 가면 대부분 공공기관에서 일하게 되는데 우리나라와는 직장 문화가 많이 달라 힘든 일이 종종 발생한다고 했다.
“인내심이 필요해요. 잘 들어줘야 하고 무작정 강요를 해서도 안 돼요. 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지 않으면 소통이 어려워져요. 현장 교육을 받아도 실제로 부딪치는 부분은 달라요.”
60세까지는 당분간 푹 쉴 생각이다. 그림을배우며 짧은 휴식을 마친 뒤 인생의 다음 지점을 준비하게 될 그녀를 응원한다.
하반기 신청은 월드프렌즈NIPA자문단의 공식 홈페이지(senior.nipa.kr)에서 하면 된다. 만 50세 이상의 퇴직(예정)자로 정보통신, 산업기술, 에너지자원, 무역투자, 지역발전 등 5개 파견 분야에서 10년 이상 또는 이에 상응하는 경력이 있다면 지원이 가능하다. 서류 및 면접심사를 거쳐 선발하며, 개도국 정부나 공공기관에 파견돼 1년간 자문단원 활동을 하게 된다. 평가에 따라 최대 3년까지 활동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