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자서전 쓰기. 많은 중장년의 로망 중 하나다. 얼핏 문턱도 낮아 보인다.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지도, 대단한 조건을 요구하지도 않는다. 그런데 막상 책상에 앉아보면 다르다.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다. ‘자서전이라니…’ 갑자기 거창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그럴 땐 자서전을 이렇게 바꿔보자. ‘나의 역사 쓰기’. 한혜경
저는 열심히 늙어가고 있습니다.
늙는 게 두렵지 않아요.
나이에 맞는 역할과 연기가 있다고 생각하니까요.
50대 중반은 엄마로서, 여자로서, 성숙한 어른으로서 고민이 많은 시기입니다.
그 고민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가 오면 좋겠어요.
(시니어 매거진 2023년 7월호 인터뷰 중)
에디터 조형애 취재 손효정 디자인 이은숙
누군가와 관계 맺는다는 건 상대를 위한 ‘이타성’이기도 하지만,
나를 위한 ‘이기성’이기도 하다.
노후에 믿을 만한 친구 한 명만 있어도 된다고 말한다.
그것도 좋지만 조금 덜 믿음직스럽더라도
내 삶을 보다 다채롭게 만들어줄 친구가 많다면 좋지 않을까.
결국 나를 위해서 말이다.
- 이호선, 한국노인상담센터장
(시니어 매거진 2024년
“안녕하세요. OO사, 마케팅팀 OOO 부장입니다.”
소속과 직함으로 생각보다 많은 것이 해결된다. 구구절절 이야기하지 않아도 어느 업계에서 어떤 일을 몇 년 정도 했을지 넌지시 알릴 수 있다. 경제적 보상과 인정, 대접도 물론이다. 은퇴 후엔 사정이 다르다. 딱히 하는 일이 없으면 괜히 목소리가 작아지고 말끝도 흐려진다. 그러다
‘자유여행은 청년, 패키지여행은 중장년’이라는 공식이 깨지고 있다. 구글 지도를 켜고 배낭을 멘 채 가본 적 없는 도시로 떠나는 중장년이 증가하는 추세다. 하지만 여전히 그 자체로 용기를 내야 하는 일. 4060이 자유여행에 첫발을 내딛기 전 알아야 할 것들을 이종원 상상콘텐츠연구소 소장과 함께 정리했다.
1. 혼자
‘당하는 죽음’이 아닌 ‘맞이하는 죽음’이라면 산뜻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평소 죽음을 자주 생각해야 한다.
죽음을 생각하면 삶이 더욱 소중해진다.
안 죽을 것처럼 사는 인생처럼 무모한 것이 어디 있을까?
- 유재철, 장례 명장 1호 장례지도사
(시니어 매거진 2020년 6월호 인터뷰 중)
에디터 조형애 취재 박원식 디자인 유영현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브라보 마이 라이프(@bravomylifemag)님의 공유 게시물
‘성공한 작곡가’로 불리는 김형석에게 성공이란:
인생에 있어서 성공이란 단어는 좀 무의미한 것 같아요. 성공은 아무래도 비교되는 것이고 스스로 성공했다는 그 충족감은 갖기 힘든 것 같아요. 하루하루 행복하고 내가 하
1
환경경제학의 이해
이정전 / 박영사
환경문제에 대한 경제학의 기본 시작, 환경과 경제, 환경문제에 대한 경제적 분석의 기본 틀, 환경정책 등을 담고 있다. 경제성장과 환경보존을 실질적으로 조화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이론적인 배경을 얻을 수 있다.
2
침묵의 봄
레이첼 카슨 / 에코리브르
‘세대를 잇다’라는 콘셉트의 한 시니어 행사를 취재 갔을 때 일이다. 당시 노인 혐오 사건이 있던 터라 어르신께 한소리 들을 것만 같았다. “요즘 어린 친구들이 말이야, 어른 공경할 줄 알아야지!” 하고. 그런데 나이 지긋한 어르신 말씀은 예상을 빗나갔다. “노인들이 잘 몰라서 그럽니다. 시대에 적응하지 못해서 그래요.”
“모
금융업계에서 42년 일하고 65세에 은퇴한 뒤 일본어 학교 교사로 새로운 커리어를 시작한 나가시마 에쓰코(永嶋悦子, 71세)씨는 진정한 행복을 느끼고 있다. 나가시마 씨는 일주일에 네 번 유학생을 대상으로 일본어를 가르친다. 결혼 후 출산을 망설일 정도로 일이 너무 좋았던 나가시마 씨의 이야기를 듣느라 시간 가는 줄 몰랐다.
42년간 금융업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