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4일까지 직계가족을 포함한 5인 이상 사적모임을 금지하는 방역대책이 유지되면서 이번 설 연휴는 삼삼오오 모이지 않고, 전화로 안부 인사와 덕담을 나누는 이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비대면 설명절, 연로한 부모님을 직접 챙기지 못해 걱정스럽다면 세 가지 간단한 질문으로 부모님의 건강 상태를 확인해보자.
“잘 안 들리세요?” 질문을
이명은 외부에서 소리가 나지 않는데도 갑자기 ‘삐~’ 소리가 들리거나 귀에서 윙윙거리는 소리가 나는 질환이다. 평생 살면서 인구의 75%가 한 번 정도는 경험하는 매우 흔한 증상이다. 하지만 소홀하게 지나쳐선 안 되는 질환들을 갖고 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만성 이명의 경우,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고 나이가 들면서 청력 저하
노화로 인한 난청에는 약이 없다. 그만큼 예방이 중요하다. 따라서 젊을 때부터 큰 소리에 노출되지 않게 지속적인 관리가 필수다.
노인성 난청은 달팽이관 세포가 손상을 입어 나타나는 게 대부분이다. 귓속에는 듣기를 담당하는 달팽이관이 있다. 또 소리를 받아들이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도 모여 있다. 하지만 달팽이관이나 세포가 손상되면 다른 사람
큰 소리로 두세 번 말씀드려야 이해햐시는 부모님에게 보청기를 선물해드리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가격이 천차만별이고 종류도 다양해 어떤 걸 골라야 할지 고민된다. 경희대학교 이비인후과 여승근 교수의 도움말로 부모님 보청기 고르는 법에 대해 알아봤다.
◇전문의료진 검사 후 선택 바람직
보청기는 가격이 저렴하다고 해서 무조건 나쁘거나 고가라고 좋은
후천성 난청 환자의 절반 이상은 유전적일 수 있으며, 원인 유전자를 정확히 파악해 인공와우 수술시기를 앞당기면 회복율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최병윤 교수 연구팀(제1저자 이상연 전문의, 서울대병원 강남검진센터 심예지 전문의)은 성인 난청 환자들은 유전적 요인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으며, 원인 유전자 발견 시
평소 건강했던 고령자가 골절이나 수술 등으로 걷지 못하고 누워 지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건강이 급격하게 악화돼 사망에 이르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이는 ‘근감소증’과 관련이 있다. 나이가 들수록 근육량은 줄면서 골절위험이 커지는 것은 물론 면역력 저하와 당뇨·고혈압·고지혈증 등 대사증후군의 위험도 높아진다.
이에 근육감소를 막고 건강한 노년을
9월 9일 '귀의 날'을 맞아, 중장년이 겪을 수 있는 노인성 난청에 대해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강우석 교수의 도움말을 담아봤다.
노인성 난청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점차 발생하는 청력 손실이다. 60세 이상 3명 중 1명이 이러한 증상을 겪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75세 이상은 40~50%). 노화로 청력이 감소하면 일상에서 다른 사람과 대화
서울시 양천구에 사는 신모 씨는 최근 손주를 보는 재미가 줄어 걱정이다. 초등학교에 입학한 손녀딸이 말문이 터진 후 함께 도란도란 대화를 하는 것이 삶의 낙 중 하나였는데, 요즘 부쩍 손주 목소리를 알아듣기 힘들어졌다. 난청 증상이 발생한 것이다. 게다가 조용한 장소에서 무턱대고 목소리를 높이다가 주변 사람들의 눈총을 받는 일도 많아졌다. 가톨릭대학교 인천
청각은 시각과 함께 아주 소중한 감각 기관이다. 시력이 약해지면 안경을 쉽게 쓰지만 반대로 청각은 둔해져도 보청기 착용을 꺼려한다.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효과가 그리 크지 않고 주변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하게 되기 때문이다.
한국은 급속히 고령화되고 있다. 통계청 발표를 보면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2018년 14.3%, 2026년엔 20.8%로 치솟
나이 들어 난청으로 잘 안 들리는 경우, TV를 시청하는 거 이외에는 별 답답할 일이 없다. 젊을 때처럼 회사를 다녀서 여러 사람과 소통을 하는 것도 아니고 집에서만 거의 모든 시간을 보내니 불편할 것이 별로 없다. 또 옛날 같이 손주랑 함께 사는 대가족 시대도 아니고 노인네 단둘이만 사니 답답한 일이 없다.
정작 불편한 사람은 같이 사는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