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 전문 매거진 브라보 마이 라이프가 ‘2025년도 우수콘텐츠잡지’에 선정됐다. 2017년과 2018년에 이어 6년 만의 성과로, 중장년층을 위한 금융, 건강, 생활, 문화 등 다양한 콘텐츠와 노년 세대에 대한 사회적 시각을 다룬 심층 기획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우수콘텐츠잡지’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잡지협회가 주관하는 사업으로,
사회적 부는 늘어났지만, 국민이 주관적으로 생각하는 삶의 만족도는 오히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0대 이상,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았다.
지난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한국인 삶의 만족도는 6.4점(10점 만점)으로 2022년보다 0.1점 하락했다. 2013년 5.7점에
보건복지부는 2월 7일 컨퍼런스하우스 달개비회의실에서 이기일 제1차관 주재로 노인연령에 대한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1월 10일 2025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통해 노인연령 조정에 대한 사회적 논의 준비 계획을 발표한 이후, 그 시작을 알리는 첫 번째 간담회로 노인연령에 대해 관련 전문가 등 민간의 의견을 경청하기 위해 마련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이 2년 연속 악화됐다. 2023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4명은 빈곤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일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가처분소득 기준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은 38.2%로 전년 대비 0.1%p 증가했다.
그간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2019년 41.4%, 2020년 38.9%, 2021년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 추이
2013년 1월 - 600만 8,757명
2017년 1월 - 703만 1,367명
2019년 12월 - 802만 6,915명
2022년 4월 - 900만 4,388명
2024년 7월 - 1000만 62명
연령 계층별 인구 구성비
1980년 - 0~14세 34.0%, 15~64세 6
무병장수를 위해서는 운동이 필수라는 이야기를 들은 70대 A씨는 큰마음 먹고 집 근처 헬스장을 찾았다. 그러나 그는 입구에 ‘노(No)시니어존’이라는 안내문이 붙어 있는 것을 보고 발길을 돌려야 했다. 그렇다면 그는 어디에서 운동해야 할까. 다행히도 시니어가 운동할 수 있도록 각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시설이 늘어나고 있다. 새해를 맞아 건강해지려는 이들을
앞으로 5년이 골든타임이다. 2030년까지 제도나 정책을 전향적으로 바꿔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매년 40만~50만 명씩 늘어나는 노인 인구를 감당하기 어렵다.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유연한 정책과 제도도 뒷받침되어야 한다.
- 홍석철,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시니어 매거진 2024년 12월호 인터뷰 중)
에디터 조형애 취재 손효
정부는 2025년 노인복지에 대한 예산안을 22조5000억 원에서 24조4000억 원으로 1조9000억 원 증액 편성, 복지 정책을 대폭 확대했다. 초고령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노인복지 정책이 중요함을 인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생활 지원 노인복지 혜택
①기초연금 금액 올리고, 생계급여 대상 확대
2025년부터 기초연금은 최대 33만481
2025년의 새해가 떠올랐다. 2025년은 육십갑자 중 42번째인 을사년(乙巳年)으로, ‘푸른 뱀의 해’로 알려져 있다. 동양 문화에서 뱀은 지혜와 변화를 상징하며, 청색은 생명력과 성장을 의미한다. 따라서 2025년은 새로운 시작과 성장이 기대되는 해로 해석된다.
하지만 그 어떤 의미보다 2025년의 중요한 의미 중 하나는 바로 초고령사회 진입 원
파킨슨병은 뇌신경 전달물질인 도파민이 뇌에서 생성이 안 돼 생기는 병이다. 도파민은 근육을 조절해 신체 운동과 평형에 관여하며 기계의 윤활유 같은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파민이 생성이 안 되거나 기능을 제대로 못 하면 기계에서 윤활유가 부족할 때 나타나는 증상이 나타난다. 손발이 떨리거나(떨림), 움직임이 느려지고(서동), 몸이 뻣뻣해지며(경직), 걸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