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드뉴스] 늙지 않는 능력 2가지
- 뇌의 기능 중 몇몇은 노화되지 않고 나이 들어서도 계속 발달한다. 특히 선견지명과 통찰력은 노년에 점점 강화된다. 인간은 평생 배우는 존재로, 성격 또한 평생 발달시킬 수 있다. - 벨른트 클라이네궁크, 독일 항노화의학협회 회장 (《행복한 노인은 늙지 않는다》 중) 에디터 조형애 디자인 유영현
- 2024-08-07 13:14
-
-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시니어헬스케어포럼, 첫 학술세미나 개최
-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시니어헬스케어포럼(KOSH)이 7월 27일 '도쿄를 바꾼 빌딩들'과 '국내외 시니어 트렌드'라는 주제로 첫 학술세미나를 개최했다. 건국대학교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는 신승우 대학원장, 유선종 지도교수, 신은정 부지도교수 및 외부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시니어 비즈니스의 미래를 조망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유재남 KOS
- 2024-08-06 13:09
-
- 법무법인 원, 美 회계법인 LEK 파트너스와 업무협약 체결
- 한국의 법무법인 원과 미국의 회계법인 LEK 파트너스는 국제 상속 및 자산 관리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7월 23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법무법인 원은 지난 4월 원스톱 자산관리 프로그램 헤리티지 원(Heritage One)을 런칭했다. 헤리티지 원은 상속 설계, 세무 진단, 후견, 유언집행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법률 및 세무 컨설팅 프로그램이다
- 2024-07-23 15:13
-
- '부안형 사회서비스 선도모델' 노인일자리 50명 창출
-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은 지난 7월 15일 전북 부안군 외 4개소와 부안지역의 환경을 보호하는 '부안형 사회서비스 선도모델 노인일자리 창출'에 대한 다자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은 이번 협약은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부안군의 지역 환경 문제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신노년 세대의 맞춤형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자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전북지역본부 김인 지역
- 2024-07-16 10:35
-
- 당뇨인 2000만 명 시대… 노후 건강 위협하는 ‘혈당의 습격’
- 당뇨병 위험군 2000만 명 시대, 혈액 속 당의 습격이다. 소셜 미디어에서는 혈당 다이어트, 혈당 스파이크 등 혈당 관련 언급이 함께 증가했다. 하지만 당뇨병 환자의 절반은 당뇨병인 줄도 모르고, 알아도 절반은 치료에 나서지 않는다. 혈당에 관심을 가지면서도 우리는 왜 여전히 당뇨병에 대해 잘 모르는 걸까? 당뇨병에서 대표적으로 필요하다 여기는
- 2024-07-01 08:11
-
- [카드뉴스] 노인이 말하는 노인 혐오
- ‘세대를 잇다’라는 콘셉트의 한 시니어 행사를 취재 갔을 때 일이다. 당시 노인 혐오 사건이 있던 터라 어르신께 한소리 들을 것만 같았다. “요즘 어린 친구들이 말이야, 어른 공경할 줄 알아야지!” 하고. 그런데 나이 지긋한 어르신 말씀은 예상을 빗나갔다. “노인들이 잘 몰라서 그럽니다. 시대에 적응하지 못해서 그래요.” “모
- 2024-06-03 08:07
-
- 중년에게 조언하는, 이상적인 말과 글이 순환하는 삶
- 학창 시절 내내 읽고 들으면서 살았다. 직장 생활 할 때도 그랬다. 지금은 듣거나 읽은 걸 말하고 쓰면서 산다. 읽고 듣는 만큼 말하고 쓴다. 말하기와 쓰기가 내 삶에 비중 있게 자리 잡았다. 또한 말하고 쓰려니 읽고 듣지 않을 수 없다. 읽고 듣기만 하면서 살 때보다 읽기와 듣기가 더 소중해졌고, 더 많이 읽고 듣는다. 이로써 읽기, 듣기와 말하기, 쓰기
- 2024-05-29 09:04
-
- 한국골프관광협회, 상하이 란하이 골프클럽과 맞손
- 한국골프관광협회(KGTA 회장 박병환)가 중국 상하이 란하이 골프클럽과 손잡고, 부킹 및 여행상품 서비스를 시작한다. 란하이GC는 포레스트, 링크스 코스 각 18홀씩 총 36홀 골프장과 24실 규모의 호텔을 갖춘 종합 골프 리조트 단지다. 특히 링크스코스는 영국의 ‘Top100골프코스닷컴’이 2020년 아시아 5위로 선정한 중국 최고의 명문 골프코스다.
- 2024-05-22 08:45
-
- 김수환·이어령, 그들은 왜 추앙받았나
- ‘시대의 어른’으로 추앙받은 이들이 있다. 여러 사람이 떠오르는 가운데, 고(故) 김수환 추기경과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을 대표 인물로 꼽아봤다. 그들은 왜 세상을 떠난 뒤에도 큰 사람으로 기억되고 있을까. 김수환 추기경과 이어령 장관을 가까이에서 보고 기억하는 사람들에게 그 이유를 물어봤다. ◇김수환 추기경의 소통법 “여기 명동대성당
- 2024-04-29 08:02
-
- 연공서열 타파, 세대 간 소통 물꼬 트는 '리버스 멘토링'
- 베이비붐 세대, X세대, MZ세대 등 직장 내 다양한 세대가 공존하는 요즘, 세대 갈등 이슈가 끊이지 않는다. 이러한 대립 양상은 기업 문화를 흩트리고 업무 성과를 저해하는 등 악영향을 불러오곤 한다. 기업에서는 세대 간 화합과 소통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데, 최근 각광받는 솔루션 중 하나가 ‘리버스 멘토링’이다. 단순히 나이와 직급을 바꾸는 것만이
- 2024-04-26 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