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데이피엔씨와 디엠씨트립스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시니어 세대를 위한 여행, 콘텐츠, 공공가치 사업을 공동 추진한다.
꽃중년 전문 매거진 ‘브라보 마이 라이프’를 발행하는 이투데이피엔씨는 25일 서울 강남구 이투데이 본사에서 AI 기반 여행 플랫폼 기업 디엠씨트립스와 업무협약 체결식을 진행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시니어
JCI서울종로청년회의소(회장 하재봉)가 지난 23일 종로노인종합복지관(관장 정관스님)과 함께 종로구 어르신들을 위한 ‘여름맞이 사랑의 삼계탕 나눔봉사’를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JCI서울종로청년회의소가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 중인 삼계탕 밀키트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이날 봉사에서는 종로구 어르신 440명에게 삼계탕 밀키트가 전달됐으며, 청년
민생회복 소비쿠폰 시행 첫 주에 3000만 명 가까이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현재(24일 24시 기준)까지 총 2890만 명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신청했다. 지급 대상자 5060만7067명 중에 절반이 넘는 57.1%가 신청한 것이다. 쿠폰 지급 규모는 5조2186억 원으로 집계됐다.
행안부는 21일부터 민생회복 소
팬데믹 이후 미국 경제는 수치상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회복의 속도와 방식은 계층과 세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2025년 상반기 현재, 미국의 실업률은 4.1% 수준으로 비교적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전반적인 고용지표만 보면 회복 국면이지만, 65세 이상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여전히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청년층과 핵심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에서 8월 초부터 비타민·유산균·오메가3·간 건강 등 30여 종의 건강기능식품을 만날 수 있다. GS리테일은 삼진제약·종근당·동화약품·종근당건강·RU21·익스트림·동국제약·동아제약 등 제약사 및 건강식품 전문기업과 협업해 전국 5000여 점포에 건강기능식품을 입점한다고 24일 밝혔다.
출시 상품은 인지도 높은 브
법정 정년 연장이 사회·정치적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현직에 있는 중장년층 사이에서도 엇갈린 반응이 감지되고 있다. 청년층과 중장년층 간에 견해차 뿐만 아니라 중장년층 사이에서도 개인의 고용 형태에 따라 의견이 갈리고 있는 것이다.
25일 한국경영자총협회에 따르면 ‘정년연장 및 근로 가치관에 대한 세대별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법정 정년을 연장하면
케이뱅크는 23일 서울 관악구에 위치한 강감찬관악종합사회복지관에서 시니어 80여 명을 대상으로 ‘금융사기 예방 및 기초 금융지식’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교육은 ‘금융사기 예방’을 주제로 일상에서 꼭 알아야 할 금융 기초지식과 사기 예방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시니어 교육은 총 2부로 나눠 진행했다. 먼저
국내 골프 산업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세대별 스마트폰 앱 활용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0·60대는 ‘골프존’ 앱에 대한 인지도와 사용 경험이 압도적으로 높은 반면, 2040대는 다양한 앱을 폭넓게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PMI)는 리워드 앱 ‘헤이폴’을 통해 전국 20~69세 성인
5060 시니어를 위한 개인비서 서비스 ‘똑비’가 2025년 상반기 문화소비 데이터를 24일 공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시니어들은 공연·전시, 레저·스포츠, 국내 축제 순으로 문화 소비 활동을 활발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끼와두꺼비가 운영하는 ‘똑비’는 5060 세대를 위한 온라인 비서 서비스다. AI 기술과 실제 비서학과 출신 상담원의 결합으로
인터뷰를 위해 이장우(69) 박사를 만난 곳은 압구정동의 한 스타벅스였다. 커피값을 누가 낼지를 두고 잠깐의 실랑이가 오갔지만, 그는 익숙하게 휴대폰을 꺼내 스타벅스 앱의 사이렌오더(온라인 주문)로 상황을 정리했다. “강의가 많아 늘 서두르다 보니 주문조차 빨리 나오는 방법을 찾아두었습니다. 메뉴마다 걸리는 시간을 파악한 거죠(웃음).” 곧 일흔을 앞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