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주에서 한달살기 꿈꾼다면 이곳을 ‘주목’
- 큰맘 먹고 시작한 한달살기. 정해진 시간에 정신없이 유명한 장소를 훑는 관광이 아닌, 느리고 여유로운 휴식을 기대하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늘 부지런히 살아온 이들은 이렇다 할 성과 없이 하루를 빈둥빈둥 보내는 게 영 익숙하지 않다. 무엇을, 어떻게 해야 제주 생활이 즐겁고 만족스러울까? 급할 건 없다. 우리에게는 30일이라는 시간이 있으니까! 한달살
- 2022-07-29 09:09
-
- [포토 에세이] 낮 밝히는 연등
- 한낮의 햇살이 연꽃 정수리에 내려앉았다. 연꽃이 연등처럼 밝게 빛난다. 꽃잎은 선녀의 비단 옷자락을 닮았다. 심청의 환생이다. 뿌리는 질척한 흙에 두고 있어도 물 위로는 이렇게 아름다운 모습을 잉태해낸다. 속세에 찌들어도 마음은 더럽혀지지 않기를 蓮처럼 나의 모든 것이 세상에 쓰임이 있기를 눈과 마음을 정화시키는 연꽃의 계절
- 2022-07-21 08:27
-
- [포토 에세이] 하늘을 바라보는 화살표
- 동창을 채운 메타세쿼이아는 오늘도 씩씩하다 수줍은 듯 땅을 향한 수양버들 가지와 다르다 아래를 보고 사는 이는 현재를 위해 산다면 위를 보고 살아야 할까 미래를 위해선 언제부터인가 메타세쿼이아는 올곧게 그리고 하늘 높이 화살표를 만들며 자라나고 있다 그저 보고 있는 것으로 힘을 얻는다
- 2022-06-29 08:48
-
- [포토 에세이] 봄날
- 비목의 주인을 알아본 것일까? 참새는 벚나무에 앉아 묵념을 한다. 날갯짓에 떨어진 벚꽃잎 자리에 새 잎이 난다. 봄 햇살의 따사로움은 지난 봄날의 아픈 기억을 역사가 만들어낸 긴 상흔을 소리 없이 치유한다. 봄은 어김 없이 찾아왔다. 추운 겨울을 보내고 오는 그런 봄이어서 더욱 반갑다.
- 2022-05-16 08:18
-
- "일상 회복, 문화생활 즐기자" 5월 문화 소식
- ●Exhibition ◇권진규 탄생 100주년 기념 - 노실의 천사 일정 5월 22일까지 장소 서울시립미술관 조각가 권진규(1922~1973)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대규모 전시 ‘노실의 천사’(Angel of Atelier)가 이번 달까지 열린다. 전시 제목 ‘노실의 천사’는 권진규가 쓴 글에서 따온 것으로, 노실은 거미가 있는 방,
- 2022-05-06 09:14
-
- [카드뉴스] 삶의 가치에 대해 말하는 신간!
- 산산조각(정호승 우화소설) 정호승·시공사 올해로 등단 50주년을 맞은 정호승 시인의 우화소설집이다. 작가는 하찮고 보잘것없는 주인공들을 통해 우리 모두는 가치와 의미를 지녔고 살아갈 이유가 명백하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작별인사 김영하·복복서가 김영하의 ‘살인자의 기억법’ 이후 9년 만의 장편소설이다.
- 2022-05-06 08:00
-
- '동물 사진가' 박찬원, 젖소 사진으로 돌아왔다
- 동물 사진가 박찬원이 젖소로 돌아왔다. 박찬원의 포토 에세이 ‘사진, 울림 떨림-젖소에게 길을 묻다’가 5월 2일 발행된다. 박찬원 작가의 다른 이름은 ‘동물 사진가’이다. 그는 동물에서 ‘생명의 의미, 삶의 가치’를 찾는 작업을 하고 있다. 하루살이, 나비, 돼지, 말, 젖소 등을 주제로 해서 11회의 사진 개인전을 열기도 했다. ‘사진,
- 2022-04-28 11:28
-
- [포토 에세이] 봄 햇살과 봄의 전령이 만나다
- 수양 벚꽃이 바람에 흔들리며 꽃향기를 흩뿌리면 봄 햇살이 그 자태를 따뜻하게 감싼다. 빛을 등진 벚꽃은 빛을 안고 있을 때보다 아름답다. 반사된 빛은 단조롭지만 투과한 빛은 깊이와 질감이 있다. 역광의 미학이다. 우리는 자연의 화려한 변화에 다시금 봄이 왔음을 알게 된다. 그 아름다움에 취하며 우리가 살아 있음에 감사함까지 느
- 2022-04-14 08:56
-
- "벚꽃처럼 화려해" 4월 문화 소식
- ●Exhibition ◇박래현, 사색세계 일정 4월 23일까지 장소 아트조선스페이스 “수많은 장벽에 부닥치고 가혹한 시련 앞에 몸부림치며 이를 넘길 수 있는 인간에게만 주어지는 생존의 권리… 봄이라는 뽀얀 계절은 때때로 나를 이런 부질없는 사색세계에 몰아버린다.” 한국 근대 화단의 대표 여성 미술가 우향 박래현(1920~1976). 195
- 2022-04-01 09:32
-
- [포토 에세이] 나목에 석양이 스치면
- 햇살이 사물에 항상 공평하지는 않다. 빛이 기울어지는 朝夕에는 더욱 그렇다. 석양빛이 나목을 스치고 지나간다. 빛을 받은 버즘나무와 버드나무는 황금빛을 발하고 빛을 받지 못한 나무들은 어둠 속에 갇힌다. 높은 나무가 더 많은 햇살을 받는 건 세상 이치다. 빛의 차별은 대조와 입체감을 만들어낸다. 사람들이 치열하게 사는 것도 높은 곳으로
- 2022-03-21 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