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를 준비하는 안양천 생태공원의 식물관리

기사입력 2019-12-20 16:02 기사수정 2019-12-20 16:02

양천구 장미공원을 중심으로

▲양천구 장미공원에 있는  아치 아래쪽 장미를 짚으로 싸준 모습(홍지영 동년기자)
▲양천구 장미공원에 있는 아치 아래쪽 장미를 짚으로 싸준 모습(홍지영 동년기자)

식물은 겨울철에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다음해 생육에 큰 영향을 받는다. 노지에서 자연 상태 그대로 자라는 식물도 많지만, 식물의 생육 적온에 맞게 키우는 것 또한 중요하다. 12월 말에서 2월 말까지 앞으로 2개월 동안 집중관리가 필요하다. 새해를 준비하는 겨울철 식물 현장을 취재하기 위하여 지난 12월 18일과 19일 이틀간 안양천 생태공원 중 서울 양천구 관할구역인 신정잠수교 앞 장미공원을 찾아갔다.

▲장미나무를 짚으로 싸준 모습1(홍지영 동년기자)
▲장미나무를 짚으로 싸준 모습1(홍지영 동년기자)

세계적으로 장미는 2만5,000여 종이 개발되었으나 현존하는 품종은 6,000~7,000여 종이 되며 해마다 200여 종 이상의 새 품종이 개발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원예시험장 등에서 많은 품종이 육종되고 있다. 이 장미공원 내에도 장미 종류가 수십 종이 된다고 한다. 이 꽃이 내년 4월 봄부터 9월까지 피게 된다. 장미를 주제로 한 다양한 행사도 추진된다.

▲장미공원 주변 겨울철 잔디와 나무를 관리하는 모습(홍지영 동년기자)
▲장미공원 주변 겨울철 잔디와 나무를 관리하는 모습(홍지영 동년기자)
▲장미공원 주변 안양천에서 관리하는 다양한 꽃들(홍지영 동년기자)
▲장미공원 주변 안양천에서 관리하는 다양한 꽃들(홍지영 동년기자)
▲거적을 덮어서 겨울을 지내는 돌단풍(홍지영 동년기자)
▲거적을 덮어서 겨울을 지내는 돌단풍(홍지영 동년기자)
▲소형 하우스 안에서 겨울을 나는 허브식물(홍지영 동년기자)
▲소형 하우스 안에서 겨울을 나는 허브식물(홍지영 동년기자)

주 작목인 장미꽃 외에 주변 다른 식물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추운 겨울을 지내기 위해서 거적을 덮어주는 식물이 많다. 식물 상충부는 완전히 잘라내고 주로 뿌리만 보호하고 있다가 뿌리에서 새순이 나오도록 하는 종류의 식물이다. 돌단풍, 핑크뮬리, 작약, 벌개미취, 프레치라벤더 등의 식물은 거적을 덮어서 겨울을 지내고 있다. 또한, 허브 종류의 식물은 지상부를 그대로 키워야 하므로, 작은 하우스를 지어서 그 곳에서 겨울을 지낼 수 있도록 만들었다.

▲상록수는 바닥을 짚으로 깔아서 겨울을 나는 모습, 누운향나무(홍지영 동년기자)
▲상록수는 바닥을 짚으로 깔아서 겨울을 나는 모습, 누운향나무(홍지영 동년기자)
▲낙엽수도 바닥을 짚으로 깔아서 겨울을 나는 모습, 누리장나무(홍지영 동년기자)
▲낙엽수도 바닥을 짚으로 깔아서 겨울을 나는 모습, 누리장나무(홍지영 동년기자)
▲억새들도 바닥을 짚으로 깔아서 겨울을 나는 모습(홍지영 동년기자)
▲억새들도 바닥을 짚으로 깔아서 겨울을 나는 모습(홍지영 동년기자)

그 외에 추위에 어는 정도 강한 식물인 향나무, 유카, 억새, 누리장나무 등은 뿌리 주변만을 짚으로 덮어서 추위로부터 보호하고 있고 목백일홍, 목련, 모과나무 등은 나무줄기를 짚이나 헌 옷으로 감싸서 추위를 피하고 있다.

식물은 겨울철에도 생장을 하므로, 비료를 주어야 한다. 겨울철 비료를 주는 것은 화학비료보다 지효성인 유기질 비료를 주는 것이 식물의 생육에 좋다. 12월이나 1월에 주는 것이 좋으며 땅이 얼지 않은 날을 택해서 식물 주위에 비료를 얕게 묻으면 된다.

안양천 장미공원은 양천구를 비롯하여 구로구와 영등포구 주민들이 드나드는 공원이다. 내년에도 시민들을 즐겁게 해주는 공원이 되기를 기원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고령자 돌봄, 향후 ○년에 달렸다
    [카드뉴스] 고령자 돌봄, 향후 ○년에 달렸다
  • 2025년 새해, 노후의 초석 마련할 ‘비움’ 습관 세 가지
    2025년 새해, 노후의 초석 마련할 ‘비움’ 습관 세 가지
  • 지속되는 경기 불황에도 “시니어 지갑 잠기지 않아”
    지속되는 경기 불황에도 “시니어 지갑 잠기지 않아”
  • 중장년층 소득, 연평균 4259만 원… 2030 청년층의 1.4배
    중장년층 소득, 연평균 4259만 원… 2030 청년층의 1.4배
  • [카드뉴스] 1월 중장년 문화 달력
    [카드뉴스] 1월 중장년 문화 달력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