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퇴직연금전용 '원리금보장 ELB' 출시
▲하나은행, 퇴직연금 전용 '원리금 보장 ELB' 출시(하나은행)
100세 시대를 맞아 자산관리의 중요성이 커진 가운데 3개월 단기 퇴직연금 상품이 나와 눈길을 끈다.
하나은행은 퇴직연금 전용 3개월 만기 ‘원리금 보장 ELB’를 출시한다고 26일 밝혔다. 새로 선보인 상품은 기업형퇴직연금(DB, DC)과 개인형퇴직연금(IRP) 보유 고객 모두 가입 가능한 ‘원리금 보장 ELB’로, 3개월 단기 운용 구조 출시는 퇴직연금 사업자로는 처음이다. 이번 ELB 출시를 통해 손님의 상품 선택 폭이 한층 넓어질 전망이다.
고개의 소중한 연금 자산을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는 ELB는 주로 1년 만기로 출시됐다. 하지만 발행사인 키움증권과의 협업을 통해 업계 최초로 3개월 단기 운용이 가능해졌고, 정기예금 대비 높은 수익률로 손님 자산 증대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장성 하나은행 연금사업단 본부장은 “그동안 단기 상품 운용은 제한된 상품, 낮은 금리 등 제약이 많았으나 3개월 만기 ELB 출시를 통해 다양한 상품 선택이 가능해졌다”며 “앞으로도 고객에게 더 큰 만족과 기쁨을 드리기 위해 최적의 상품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관련 뉴스
-
- KB라이프, 서울 강동권 첫 프리미엄 요양시설 ‘강동 빌리지’ 개소
- KB라이프의 자회사 KB골든라이프케어는 서울 강동구에 위치한 프리미엄 요양시설 ‘강동 빌리지’의 개소식을 열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개소로 KB골든라이프케어는 위례, 서초, 은평, 광교에 이어 다섯 번째 요양시설을 확보하게 됐다. 강동 빌리지는 한강과 근린공원이 인접한 입지적 장점을 바탕으로, 어르신들이 도심 속에서도 자연의 여유를 느낄 수 있는 주거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강일동 주거 단지 내에 위치해 지역 사회와의 연계가 용이하며, 어르신들의 일상이 지역과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도록 공간을 설계했다.
-
- 세금 없이 자녀에게 증여할 수 있는 방법은?
- KB골든라이프 손경미 신중동센터장, 세금 최소화 방안 제시 “요즘 증여 트렌드, 사전 증여·연금저축 가입” “사전 증여 시 10년 단위 증여재산공제 활용할 수 있어” 초고령사회 진입, 정년 연장 논의 등 고령층의 경제활동이 지속되는 흐름 속에서 세금을 부담하지 않고 자녀에게 재산을 이전할 수 있는 제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손경미 KB골든라이프 신중동센터장(은퇴노후 전문가)은 최근 ‘KB골든라이프’ 홈페이지를 통해 세금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자산의 가치를 최대화하는 방법을 게재하면서 최근 트렌드로 ‘사전 증여’, ‘연금저축
-
- “행복한 나이 듦 이렇게” 아시아 웰니스 전문가 원주에
- “공공 신탁 1인 가구 고령자의 삶 지켜‘ “AI는 돌봄 부담 줄이는 현실적인 대안” “집 늙어가기 좋은 구조로 바꿔야 장수” 제1회 ‘글로벌 시니어 웰니스 컨퍼런스’가 11월 20~21일 강원 원주 일대에서 열렸다. 한국·일본·중국·싱가포르 등 4개국 전문가들이 참여해 고령사회의 정책·기술·생활 변화를 짚고 장수 시대의 웰니스 모델을 제시했다. 한국을 비롯해 중국·일본·싱가포르·페루 등지에서 약 200여 명이 행사장을 찾았으며, 일정은 뮤지엄산 명상관과 오크밸리 숲 치유 프로그램을 병행해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해외 전문가 강의와
-
-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 악화…준비금 2030년 고갈 전망”
- 국회예산정책처, 최근 ‘노인장기요양보험 정책 사업 평가’ 발간 “주요 재정기관, 향후 5년 내 당기순이익 적자 및 준비금 고갈 전망”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검토해야”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제고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3일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예정처는 최근 ‘노인장기요양보험 정책·사업 평가’를 통해 “주요 재정기관에서도 향후 5년 이내에 당기순이익 적자와 준비금 고갈을 전망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
-
- “60대 고객 상위 20% 평균 잔액 1000만 원…상위 5%는 3800만 원”
- KB골든라이프, 데이터로 알아보는 시니어 금융정보 ”60대 고객 중 상위 50% 평균 잔액 200만 원 “ ”60대 1인당 평균 잔액 599만 원…연령대 중 가장 많아“ KB국민은행을 거래하는 60대 고객 중 상위 20%의 평균 잔액은 1000만 원으로 집계됐다. 22일 KB골든라이프의 ‘데이터로 알아보는 시니어 금융정보’에 따르면 평균 잔액이 가장 많은 60대 고객 중 상위 50%의 평균잔액은 200만 원으로 나타났다. 상위 20%의 평균 잔액은 1000만 원, 상위 5%는 3800만 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KB골든라이프는 ”KB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