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매화에 물을 주어라”

기사입력 2020-03-30 10:35 기사수정 2020-03-30 10:35

[명사·명작 톺아보기] 임종하는 날에도 매화를 챙긴 퇴계 이황

시대를 앞서간 명사들의 삶과 명작 속에는 주저하지 않고 멈추지 않았던 사유와 실천이 있다. 우리가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자유와 사랑과 우정 이야기가 있다. 그 속에서 인생의 방향은 어디로 향해야 하는지 생각해본다. 이번 호에는 퇴계 이황의 유별했던 매화 사랑을 소개한다.


바이러스로 전 세계가 난리법석이다. 자발적 격리에 사회적 거리 두기가 일상의 매너가 되어버린 이 봄, 아직 상춘(賞春)할 여력은 없지만 봄꽃들이 꽃망울을 터트렸다는 만화방창 소식에 자꾸 엉덩이가 들썩인다. 더욱이 매화 암향으로 가득해질 계절 아닌가.

예로부터 매화를 사랑한 이는 많았다. 추운 겨울에도 매화 소식이 들려오면 술을 꿰차고 길을 나섰다는 당나라 시인 맹호연(孟浩然, 689~740)과 ‘매처학자’(梅妻鶴子·매화를 아내로, 학을 자식으로 삼다)라는 별호로 불릴 만큼 매화를 좋아했던 송나라 시인 임포(林逋, 967∼1028)가 자주 사람들 입에 오르내린다. 무릇 선비라면 매화의 맑은 자태를 감상하고 붓과 벼루와 술을 준비해 시 한 편씩 짓기를 원했으니, 한평생 춥게 살아도 향기를 팔지 않는다는 기개와 품격을 너도나도 흠모했기 때문일 것이다.


매화를 ‘兄’이라 불렀다

우리의 옛 선조들도 이 도도한 꽃에 빠져 지낸 이가 한둘이 아니다. 강희맹, 박제가, 이덕무 등이 그랬고, 조선시대 성리학의 거목이었던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도 매화의 포로가 됐다. 숨을 거두기 직전에도 “저 매화에 물을 주어라”라는 말을 남겼다니 그의 매화 사랑은 거의 순애보 지경이었음을 짐작케 한다. ‘퇴계연보’에는 1570년(선조 3년) 12월 8일, 그가 세상을 떠날 때의 행적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이날 아침 (선생은) 눈을 감은 채 말씀하시기를 ‘매화 화분에 물을 주라’고 했다. 오후 5시 무렵에 누운 자리를 정돈하라 하셨다. 부축해서 일으키니 앉은 채로 조용하게 떠나셨다.”

한번은 고향 안동에 사는 지인이 매화를 보여주겠다며 퇴계를 집으로 초대했는데, 임금의 소명이 내려와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 이에 매화를 보지 못한 아쉬운 회포를 네 편의 시로 읊어 지인에게 보냈다. 그중 한 편을 소개한다.


매화가 나를 속인 게 아니라

내가 매화를 저버렸으니

그윽한 회포를 서로 펼 길

멀어졌네

멋스런 풍치가 도산 절우사에

없었다면

심사가 여러 해 전부터 또한

다 무너졌으리


梅不欺余余負梅

幽懷多少阻相開

風流不有陶山社

心事年來也盡頹


▲조희룡 ‘홍매도’ 19세기경, 종이에 담채, 16.6ⅹ21.7cm,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조희룡 ‘홍매도’ 19세기경, 종이에 담채, 16.6ⅹ21.7cm,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평소 매화를 ‘매형’(梅兄), ‘매군’(梅君)이라 부르며 ‘혹애’(酷愛, 지독한 사랑)에 빠졌다고 고백할 정도였으니 그는 요즘 말로 매화 마니아, 매화 덕후였다. 61세 봄에는 도산서원 동쪽에 절우사(節友社)라는 화단을 조성해 매화, 국화, 소나무, 대나무를 심었다. 매화를 애지중지했던 퇴계는 어느 날 시를 쓰다가 국화, 소나무, 대나무를 아꼈다는 도연명을 언급하면서 “매화 형은 어찌하여 거기에 끼지 못했습니까(梅兄胡奈不同參)”라고 묻기도 했다. 그가 30여 년간 쓴 매화 시는 모두 107수. 이 중 91편은 매화시첩으로 엮어 남겼다.


두향과의 로맨스는 출처 불분명

그가 단양 군수로 지내던 시기(1548), 관기였던 두향과 매화를 주고받으며 정을 나누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두 사람이 만난 기간은 9개월 남짓. 이황이 얼마 뒤 풍기 군수로 발령이 났기 때문이다. 이후 두향은 그리움 속에서 지내다가 이황의 임종 소식을 듣고 강물에 빠져 죽었다는데, 그녀의 묘를 이황의 제자 후손과 지역민들이 관리해주고 있다는 소문도 있다.

그러나 학자들은 나이와 신분을 뛰어넘은 이 러브 스토리의 출처가 불분명하다고 지적한다. 조선시대의 문헌 어디에도 두향이라는 인물에 대한 기록이 없을 뿐더러, 과연 그녀가 이황과 동시대에 살았던 사람인지조차 확인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1970년대 후반, 정비석(1911~1991) 소설가가 발표한 작품 ‘명기열전’에 소개된 이야기를 출처 확인도 없이 사람들이 사실로 믿게 된 것이라 보는 이도 있다. 실제로 단양 지방과 이황 후손들 사이에서 전해지는 야사를 근거로 두 사람의 이야기를 만들었다는 소설가의 고백도 있었다.

당시 이황이 처한 입장은 을사사화, 정미사화 등이 연이어 발생한 정치적 난국 속에서 한가롭게 기생과 정담이나 주고받을 만큼 자유롭지 않았다. 어지러운 정계를 피해 도피하듯 외직을 청했고 겨우 얻은 자리가 단양 군수였던 것이다. 게다가 아내와 아들과 형을 잃는 불행한 일들이 그즈음 있었다.

퇴계는 임금에게 신망 높은 인물이었으나 관직을 사퇴하거나 임관에 응하지 않은 일이 많았다. 자연에 파묻혀 지내는 걸 좋아했던 그는 자신의 바람대로 50대에 조기퇴직(?)을 했고, 제자를 가르치고 글 쓰고 꽃나무 심는 일을 즐거워했다. 풀 한 포기에도 이름을 지어주며 의미 부여를 했다. 또 늙어 병이 들자 초췌해진 자신의 모습을 보이기 싫다며 매화분을 옮기라 할 정도로 사물에게도 예의를 차렸다. 생이 다할 때까지 격물(格物)을 통해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려는 노력과 실천을 게을리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황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 추모하기 위해 지어진 도산서원에는 올봄에도 매화 향이 한가득 퍼질 것이다. 그러나 이황이 도산서당 주변에 직접 심고 키웠다는 고매(古梅)는 죽어버려 더 이상 볼 수 없다니 서운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섬에서 한 해를 마무리하고 싶다면… 큰 언덕 매력적인 대부도 
    섬에서 한 해를 마무리하고 싶다면… 큰 언덕 매력적인 대부도 
  • [포토 에세이] 나목의 추상
    [포토 에세이] 나목의 추상
  • 12월 5일, 임영웅 2025 시즌그리팅 예약판매 시작 “Hero's Day Off”
    12월 5일, 임영웅 2025 시즌그리팅 예약판매 시작 “Hero's Day Off”
  • 한국골프관광협회, 한국마스터즈프로골프협회와 협약
    한국골프관광협회, 한국마스터즈프로골프협회와 협약
  • [포토 에세이] 들국화
    [포토 에세이] 들국화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