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층, 코로나19 용어 "잘 몰라"··· 정보 소외 우려

입력 2020-03-27 16:15

(셔터스톡)
(셔터스톡)

어려운 외국어 표현에 익숙하지 않은 노년층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로 인해 노년층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정보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글문화연대가 공공기관·언론이 사용하는 외국어 표현 3500개에 대한 국민 이해도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0% 이상이 이해하는 단어는 30.8%(1080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0세 이상 노년층이 이해하는 단어는 242개(6.9%)에 그쳤다. ‘드라이브스루’(승차진료소)의 뜻을 이해한다고 답변한 노년층은 2.4%에 불과했다. BJ(인터넷방송진행자), 마리나(해안유원지), 거버넌스(민관협력) 등의 단어를 이해한다는 비율은 0%였다.

이처럼 노년층의 외국어 표현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않은 상황에서 최근 발생한 코로나19 관련 표현인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코호트 격리(동일집단 격리), 비말(침방울), 진단키트(진단도구) 등과 같은 어려운 용어가 쏟아지고 있다. 때문에 감염병에 취약한 고령층의 정보 소외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양상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 1월 29일부터 2월 13일까지 서울, 경기 등 16개 지역의 14~79세 국민 1만1074명을 대상 온라인(10~60대) 및 개별 면접(70대) 방식으로 진행됐다.

한편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은 어려운 외국어 표현이 많이 들어와 신문맹률이 높아지고 소통이 어려워지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쉬운 우리말 대체어를 보급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뉴스

  • 서울시50플러스재단, 가치동행일자리 기초교육 시행
    서울시50플러스재단, 가치동행일자리 기초교육 시행
  • 병원비 급할 때 연금계좌 활용 법
    병원비 급할 때 연금계좌 활용 법
  • “원하는 노후 있다면, 미래부터 거꾸로 설계해야”
    “원하는 노후 있다면, 미래부터 거꾸로 설계해야”
  • [지방소멸 대응]③ 50대 이상 시니어 유입을 위한 선결조건
    [지방소멸 대응]③ 50대 이상 시니어 유입을 위한 선결조건
  • [Trend&Bravo] 퇴직 앞둔 50대가 가장 많이 놓치는 노후 준비 항목 5
    [Trend&Bravo] 퇴직 앞둔 50대가 가장 많이 놓치는 노후 준비 항목 5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