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움의 본질, 선과 색의 단순함으로 표현하다

기사입력 2020-06-22 08:00 기사수정 2020-06-22 08:00

미술사 이야기


▲적색, 회색, 청색, 황색, 흑색이 있는 마름모꼴 콤퍼지션(캐나다 매거진 ‘The WITH’ 제공)
▲적색, 회색, 청색, 황색, 흑색이 있는 마름모꼴 콤퍼지션(캐나다 매거진 ‘The WITH’ 제공)

2019년 인기리에 종영한 JTBC 드라마 ‘SKY 캐슬’은 대한민국 상위 0.1% 부모의 교육열과 입시지옥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며 화제를 모았다. 드라마 속 입시 코디네이터로 등장하는 김주영은 한서진의 딸 예서의 공부방을 살펴보더니, 벽에 걸린 다른 그림들은 모조리 떼어내고 한 그림만 걸어두라고 지시한다. 그 작품은 바로 피에트 몬드리안(Piet Mondrian, 1872~1944)의 ‘적색, 회색, 청색, 황색, 흑색이 있는 마름모꼴 콤퍼지션’이다. 김주영은 몬드리안의 그림이 집중력을 높이고 뇌 운동을 활발하게 해준다고 설명한다. 개인적으로는 공부로 혹사당하는 아이들의 뇌를 잠시라도 쉬게 해주려면 잔잔한 풍경화가 더 낫지 않을까 싶지만, 드라마 작가는 몬드리안 작품 특유의 안정된 구조와 규칙적인 리듬감이 뇌에 편안한 자극을 준다고 여긴 듯하다.

필자가 미술 교육과 관련해서 학부모들과 상담할 경우가 있는데 “저는 그림에 대해 아는 게 없어요” 하며 자신 없어 하는 이들도 몬드리안의 작품을 내밀면 미소를 지으며 단번에 알아보곤 한다. 그만큼 몬드리안의 그림은 유명하다. 그러나 한편으론 이런 의문들도 생긴다. 검은 선을 가로세로로 긋고 빨강, 노랑, 파랑으로 칠해놓았을 뿐인데, 어째서 미술사에 한 획을 그은 작가로 인정받게 된 것일까? 이 정도 그림이라면 나도 그릴 수 있지 않을까?

물론 완성된 몬드리안의 그림을 보고 따라 그리는 건 어렵지 않다. 그러나 그 시작은 다르다. 새로운 사조를 처음 만들어내는 아방가르드예술가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혹독한 훈련과 내공을 필요로 한다. 이는 무(無)에서 창조해내는 유(有)의 의미와는 다르다. 기존의 예술 양식을 답습하고 연구하며 치열한 고뇌 끝에서 만들어낸 독창적인 창작물이기 때문이다.


▲돔뷔르흐의 교회 탑(캐나다 매거진 ‘The WITH’ 제공)
▲돔뷔르흐의 교회 탑(캐나다 매거진 ‘The WITH’ 제공)

몬드리안 역시 처음부터 추상화를 그린 작가가 아니다. 20대에는 다른 화가의 그림을 연구하고 모작하면서 나무, 교회 등 자연을 모티브로 한 풍경화를 많이 그렸다. 그러던 중 자연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됐고 그때부터 서서히 형체의 틀을 무너뜨리기 시작했다. 그가 30대 후반에 그린 ‘돔뷔르흐의 교회 탑’을 살펴보면 구상화에서 벗어나 형체를 단순화한 뒤 대상의 본질만을 나타내려는 시도가 엿보인다.


▲생강 항아리가 있는 정물화 Ⅱ(캐나다 매거진 ‘The WITH’ 제공)
▲생강 항아리가 있는 정물화 Ⅱ(캐나다 매거진 ‘The WITH’ 제공)

40대에 접어든 몬드리안의 작품 ‘생강 항아리가 있는 정물화 Ⅱ’에서는 더 담대해진 선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시기만 해도 무엇을 그렸는지 대충 알 수 있는 반구상화 형식을 보여준다. 50대에 들어서면서 그는 본격적으로 ‘콤퍼지션’ 시리즈를 제작한다. 대각선과 곡선을 배제하고 수평과 수직의 교차를 토대로 엄격한 기하학적 구도를 드러내며 삼원색(빨강·노랑·파랑)과 무채색(검정색·흰색·회색)만 사용한 점이 돋보인다. 몬드리안 고유의 화풍이 드러나기 시작한 것이다.

대부분의 작가들은 중년 이후 자기 성찰과 고민을 통해 정체성을 확립해나간다. 누군가의 그림을 좇으며 따라 그리던 젊은 시절을 지나, 자신의 본질을 깨닫고 고유한 예술세계를 펼쳐낸 중년의 몬드리안. 그는 오로지 선과 면, 색의 관계를 통해 순수에 도달할 수 있다고 여겼고, 수직과 수평의 선이 작품에 역동적인 에너지를 불어넣으며 균형과 평온함을 가져온다고 주장했다. 군더더기를 덜어낸 가장 기본적인 요소가 사물을 본질을 드러낼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우리가 아름답다고 느끼는 건 무엇일까? 어떠한 사고방식이 만들어낸 외형에 사로잡혀 있는 건 아닐까? 몬드리안의 다음과 같은 한마디는 이러한 물음에 더 파고들게 한다.

“아름다운 감정은 대상의 외형에 의해 방해받는다. 그래서 대상은 추상화돼야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중년이 마음을 다스리는 법… 글은 어떻게 삶을 치유하는가?
    중년이 마음을 다스리는 법… 글은 어떻게 삶을 치유하는가?
  • 섬에서 한 해를 마무리하고 싶다면… 큰 언덕 매력적인 대부도 
    섬에서 한 해를 마무리하고 싶다면… 큰 언덕 매력적인 대부도 
  • [포토 에세이] 나목의 추상
    [포토 에세이] 나목의 추상
  • 12월 5일, 임영웅 2025 시즌그리팅 예약판매 시작 “Hero's Day Off”
    12월 5일, 임영웅 2025 시즌그리팅 예약판매 시작 “Hero's Day Off”
  • 한국골프관광협회, 한국마스터즈프로골프협회와 협약
    한국골프관광협회, 한국마스터즈프로골프협회와 협약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