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물든 한 해를 보내면서

기사입력 2020-11-30 09:30 기사수정 2020-11-30 09:30

[2020 end year and 新 year] PART1.

한 해가 또 저뭅니다. 언제 시작했는지, 어쩌다 끝에 이르렀는지, 그저 망연하기만 합니다. 세월 흐름이 너무 빨라서요.

그런데도 참 알 수가 없습니다. 한 해 견디기는 왜 그리 긴지요. 해마다 그랬지만 올해는 이런 느낌이 한껏 더했습니다. 아무래도 코로나 탓이겠죠. ‘그놈의 옘병[染病]’이 퍼져 한시도 마음을 놓을 수 없는 나날이 한 해 내내 이어졌으니 어서 끝나기만 기다리는 마음에 하루하루 지내는 일이 마냥 지루하기만 했던 거지요.

입마개 하기, 거리 두기, 생으로 사람 떼어놓기, 나돌아다니지 않기에서 비롯하여 집에 박혀 있기, 학교나 직장 제대로 못 가기에 이어 가게 문을 열 수도 닫을 수도 없는 지경에 이르면서 익숙한 ‘일상’이 한꺼번에 무너졌습니다. 어쩔 수 없이 누구나 ‘다른 모습’의 삶을 살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습니다. 카톡에 매달리기, 주문배달 이용하기에서 비대면으로 공부하고 사업하기 등등에 이르기까지 그 변화는, 낯설고 불안하고 불편한 채, 누구나 살아가는 일상이 되었습니다. 코로나19 이전과 이후로 시대 구분을 해야겠다는 말이 실감이 날 만큼 우리는 달라진 생활 환경에 들어선 거죠. 이런 것을 생각하면 올해는 고역스럽게 긴 한 해였습니다.



자연스레 이러한 사태에 대한 여러 발언이 들립니다. 코로나19 이전이 새삼 아쉬워 탄식하는 소리도 그 하나입니다. 참 좋고 감사하고 감격스럽기조차 한 것이었는데도 그 귀함을 알지 못했던 게으름에 대한 참회, 마땅히 아니라고 하면서 삼가고 고치곤 해야 했는데 그렇게 하지 못하고 마냥 분수없이 살던 어리석음에 대한 저린 후회가 그 소리에 담겨 있습니다. 조금은 낭만적이지만 자신을 추스르는 마음이 잔잔하게 전해집니다.

이와 이어진 생각의 자리에 있는 거겠지만 전혀 다른 소리도 들립니다. 아예 이 기회에 개인의 생각과 태도를 포함해서 사회 체제를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는 격한 소리가 그렇습니다. 잘 사는 공동체를 지으려면 다스림을 위한 힘을 절대화해야 한다는 논거를 코로나19 사태에서 찾아 펼치는 주장이 그러합니다. 섬뜩하지만 그렇게라도 해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어 판단이 뒤흔들립니다.

이런 발언들을 듣다 보면 올 한 해는 코로나19를 기화로 우리네 삶의 온갖 모습들이 한꺼번에 드러난 해라고 해도 좋을 듯합니다. 개인도 사회도 자기를 되살피게 한 거죠. 게다가 이 일을 온 세상이 동시에 겪고 있으니 이 ‘성찰’의 충동이 어쩌면 인류사의 흐름에 커다란 획을 그을 거라는 예상이 공허하게 들리질 않습니다. 정말 그랬으면 좋겠습니다. 개인도 사회도 코로나19 앞에서 벌거벗은 모습으로 진단을 받아 더 나은 ‘인류의 삶’을 구축하는 치유의 계기가 된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그런데 중요한 것은 성찰의 내용입니다.


(일러스트 윤민철)
(일러스트 윤민철)


어떤 외신에 흥미로운 기사가 있더군요. 코로나19 사태로 대학 등록생이 지난 학기보다 이번 학기에 대략 3분의 1이 줄었답니다. 그런데 해설이 주목할 만한 발언을 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학생을 포함한 시민들이 ‘대학이 개인과 사회를 위해 과연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곳인가?’ 하는 물음을 묻고 있는 것으로 이 현상을 읽고 있었습니다. 같은 조사에서는 학생들의 3분의 1 정도가 비대면 수업을 대면 수업보다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도 언급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이전부터 이미 생활 양태가 근원적으로 변화하고 있었는데 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했다는 거죠. 또 있습니다. 대학은 비대면 수업 때문에 일어나는 심각한 문제로 학생들의 부정행위의 폭발적인 증가를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도 들고 있습니다. 해설은 재앙을 기묘하게 이용하는 인간의 ‘사악한 적응력’에 대한 우려를 담고 있었습니다.

이 조사 결과를 일반화하는 일은 조심스럽지만 아무래도 우리가 올 한 해 겪은 코로나19의 문제는 실은 코로나라는 ‘역병’이 문제가 아니라 ‘사람’이 문제인 것 같습니다. 되살펴보는 삶을 늘 살아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던 것도 인간이고, 변화가 이미 깊이 펼쳐지고 있는데 그것을 못 보고 안 본 것도 사람이고, 재앙조차 자기 이익을 위해 교활하게 ‘활용’하는 것도 인간이니까요.

새해에도 이 고약한 병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 어쩔 수 없습니다. 이제는 같이 살아야죠. 재앙이 없었던 때가 언제는 있었나요? 그런데 그런 것들과 더불어 살아야 하는 자리에서 가장 절실한 것은 나를 살펴 자기를 잘 건사하는 일입니다. 그래야 못된 것이 제풀에 풀려 물러납니다. 이런 다짐으로 새해를 맞으면 칙칙했던 올해를 그나마 잘 보내는 게 되지 않을는지요.

새해는 더 밝고 맑고 따뜻하길 빕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서울시, 중장년 공공일자리 ‘가치동행일자리’로 변경
    서울시, 중장년 공공일자리 ‘가치동행일자리’로 변경
  • 꼰대는 이제 그만, 시대에 맞는 ‘요즘 어른’되기 위한 도덕은?
    꼰대는 이제 그만, 시대에 맞는 ‘요즘 어른’되기 위한 도덕은?
  • 연금계좌 인출 순서를 활용한 연금소득 절세 전략
    연금계좌 인출 순서를 활용한 연금소득 절세 전략
  • 보건복지부, ‘2025년도 의료-돌봄 통합지원 기술지원형 시범사업’ 실시
    보건복지부, ‘2025년도 의료-돌봄 통합지원 기술지원형 시범사업’ 실시
  • [카드뉴스] 벽 앞에서 좌절하는 어른을 위한 책
    [카드뉴스] 벽 앞에서 좌절하는 어른을 위한 책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