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마미술관엔 행정상 내부 관장이 있고, 외부 전문인 명예관장이 있다. 큐레이터의 역할과 책임이 클 수밖에 없다. 큐레이터는 전시 기획은 물론 미술품의 수집·연구·관리에 관한 실무를 전담하기에 ‘미술관의 꽃’으로 일컫는다. 화가·평론가와 함께 현장미술의 삼각 축을 이룬다. 소마미술관 수석 큐레이터 박윤정 씨. 그는 소마미술관 근무 15년을 포함, 20여 년간 큐레이터로 활동한 베테랑이다. 소마미술관에 대해, 그리고 미술 감상법에 대해 묻기 위해 마주앉았다.
“소마미술관은 88올림픽 문화제전을 계기로 출발한 역사성, 그리고 올림픽조각공원이라는 매우 강력한 하드를 가지고 있다. 그 정체성을 바탕으로 구축한 소프트도 뒤처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강점을 살려 ‘다시 가고 싶은 미술관’을 만들어가고 있다.”
지하철 8호선 몽촌토성역과 미술관이 직결되는 출입 통로가 이상적이다. 접근이 쉬워 관람객이 많을 것 같은데.
“대중에게 미술관 문턱은 아직도 낮지 않은 것 같다. 과거에 비해 관람 인원이 크게 늘지 않은 추세이니까.”
미술관 측이 문턱을 낮춰야 하지 않나? 재미가 있으면 찾아가게 마련이다.
“소마미술관은 물론 요즘의 미술관들은 발 빠르게 변신하고 있다. 단순히 전람회만 여는 공간이 아니다. 멀티 컬처의 열린 장으로 바뀌었다. 각종 문화와 교육 관련 프로그램, 심포지엄, 작가와의 대화, 그리고 축제나 공연까지 펼치고 있지 않은가.”
그럼에도 관람객이 적은 건 왜지?
“이론 중심의 미술교육 제도가 문화의 성장 속도를 저해하는 걸로 보인다. 어려서부터 예술에 젖어들 수 있는 풍토 조성이 필요하다.”
그간의 전시회 중에서 가장 성황을 이루었던 건?
“2015년에 가진 ‘프리다 칼로-절망에서 피어난 천재 화가’ 전이다. 어릴 때엔 교통사고로 몸이 다 부서지다시피 했고, 바람둥이 남편에게 평생을 시달렸으며, 멕시코 패션의 아이콘이기도 했던 프리다의 드라마가 알려지면서 수많은 사람이 전시장을 찾아왔다. 한동안 ‘프리다 신드롬’이 일 정도였다.”
조각공원의 작품들 중 특별히 추천하고 싶은 작품이 있다면?
“사견임을 전제하자. 잔바람에도 작품이 움직여 신선한 감흥을 주는 조지 리키의 ‘비스듬히 세워진 두 개의 선들’이 좋더라. 대칭과 비대칭의 조합을 평생의 화두로 삼았던 문신의 ‘대한민국 올림픽-1988’과 이우환의 ‘관계항-예감 속에서’도 내겐 특별했다.”
미술작품 감상법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미리 사전 정보를 알아두는 게 좋겠다. 미술은 어렵다는 선입견을 버리고 내가 느끼는 모든 게 예술일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질 필요도 있다. 전시 작가의 작업실을 방문하는 방법도 고려하자. 무엇보다 쉽고 좋은 건 도슨트의 설명을 경청하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