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나 지금이나 결혼 준비는 수고스럽다. 예식장부터 드레스까지 챙겨야 할 것도 많은 데다 정보가 폐쇄적이고 가격이 불투명한 업계의 관행상 일일이 발품을 팔아야 한다. 마음 같아서는 고생하는 자녀를 위해 같이 공부하며 고민해주고 싶지만, 매번 따라다닐 수도 없는 노릇이다. 그런데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결혼 준비의 모든 과정을 한 번에 압축해 살펴볼 수 있는 이색 ‘웨딩 체험장’이 있다. 자녀 결혼 준비에 진땀을 빼고 있는 예비 혼주가 솔깃할 만한 곳이다.
결혼 준비의 전 과정을 부모가 전담 마크하던 시절이 있었다. 웨딩 플래너란 직업조차 없던 때다. 1980년대 서울 강남구 태극당 예식장에서 고객 관리를 맡았던 김은영(58) 씨는 “그때는 예식장에 부부만 오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신부 측 어머니가 주로 동행했다”며 “지금처럼 업체가 많지 않아 예식장에서 결혼 준비 대부분을 해결했고, 그 전 과정에 어머니가 관여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 그 당시 부모는 일생에 단 한 번, 오직 한 쌍의 고객을 위한 웨딩 플래너였던 셈이다.
반면 오늘날 결혼 준비에서 혼주의 역할은 크지 않다. 정보를 얻는 경로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바뀌고, 그 과정이 복잡해지면서 대부분의 결정권이 자녀의 몫으로 돌아가고 있다. 할 수 있는 일이라곤 동분서주 뛰어다니는 자녀를 지켜보며 응원하는 것이 전부. 어쩔 수 없는 흐름인 걸 알면서도, 도와주지 못해 미안한 것이 부모의 마음이다. '
결혼 준비 플랫폼 ‘웨딩북’은 이 같은 고충을 겪는 이들을 위해 결혼의 전 과정을 휴대폰 하나로 마무리할 수 있는 앱 ‘웨딩북’과 오프라인 웨딩 체험 공간 ‘웨딩북 청담’을 운영하고 있다. 웨딩북 앱은 웨딩 사업자와 고객을 중개하는 플랫폼으로, 웨딩홀·스드메·예물 등 제휴 업체의 정보를 제공하고 전속 플래너를 통해 결혼 준비를 돕는 서비스다. 방문하지 않는 이상 비용을 공개하지 않는 관행을 깨고 업계 최초 가격정찰제를 시행해 휴대폰 하나만으로도 대략적인 결혼 비용을 점쳐볼 수 있다.
이 앱을 오프라인 형태로 구현한 공간이 바로 ‘웨딩북 청담’이다. 앱에서 얻은 각종 정보를 두 눈으로 확인하고 상담도 받을 수 있다. 오프라인으로는 1년에 몇 번 열리는 결혼박람회를 제외하고 얻을 수 있는 결혼 정보가 많지 않은 만큼, 예비부부에게 필수 방문 코스로 꼽힌다. 한 바퀴 돌고 나면 요즘 결혼 트렌드가 낯선 예비혼주들도 고개를 끄덕이며 나간다는 이곳, 웨딩북 청담을 방문했다.
부담은 줄이고, 재미는 더하고
문을 열고 들어선 곳은 VIP 고객을 위한 공항 라운지를 연상케 했다. 블랙과 실버 톤으로 시크하게 꾸민 카운터 상단에는 ‘터미널’, ‘체크인’ 등의 단어가 적혀 있었다. QR코드로 체크인을 하자 결혼 준비 팁이 담긴 미니북과 비행기 탑승권 모양의 입장권, 웰컴 드링크 한 잔이 제공되었다. 최우성 웨딩북 실장은 “신혼부부가 가장 설레는 순간이 신혼여행을 떠나기 위해 공항에 도착했을 때다. 그 두근거림을 재현하고자 했다”라며 공간의 의도를 설명했다.
지하 1층부터 2층까지 총 3층 규모로 구성된 ‘웨딩북 청담’은 각 층별로 다양한 콘셉트를 표방한다. 1층이 공항을 떠올리게 한다면, 각종 웨딩 정보가 보기 좋게 진열돼 있는 지하 1층은 ‘결혼박물관’에 온 듯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매주 토요일에 열리는 2층 ‘혼수마켓’에서는 예물·예복·가전 등 혼수 관련 상담이 이뤄진다.
언뜻 보면 결혼박람회와 유사하게 느껴지지만, 그와 정반대 노선을 추구한다. 박재훈 웨딩북 한국사업총괄본부장은 “결혼박람회는 그 특성상 업체 간에 경쟁이 있을 수밖에 없어 방문객이 편히 정보를 얻기 어렵다. 입장부터 잡혀서 상담을 강요당하는 경우가 많다”라며 “웨딩북 청담은 이런 불편을 해소해 부담보다는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준비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곳을 방문하면 직원의 관여 없이 내부를 구경할 수 있다. 앱을 다운받은 뒤 ‘마이웨딩’ 탭에서 ‘웨딩북 청담’을 누르고 ‘간편 예약’을 선택해 날짜와 시간을 예약하면 된다. 입장료는 무료이며 이용 시간은 1시간이다. 방문 당일 만난 예비 신부 최현혜(28) 씨는 “박람회에 갔을 때는 플래너분에게 좌지우지되고 웨딩 앨범 하나조차 선택해서 보기가 어려웠다. 여기도 플래너분이 따라다닐 줄 알았는데, 혼자서 마음껏 볼 수 있는 분위기라 편했다”며 “상담을 받을 때도 계약을 강요하지 않아 부담스럽지 않았다”고 후기를 전했다.
골치 아픈 ‘스드메’를 한자리에서
지하 1층으로 내려가면 공간을 둘러싼 거대한 책장이 한눈에 들어온다. 책장 안에는 이른바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라 불리는 웨딩 앨범 1000여 권이 섹션별로 분류돼 있다. 이 중 원하는 업체의 앨범을 꺼내 보면 된다. 결혼을 준비해본 이라면 낯설게 느낄 풍경이다. 여러 업체의 앨범을 한곳에서 비교하기란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이다.
사전 조사 없이 방문했다면 테이블에 설치된 큐레이션 패드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웨딩북과 제휴한 업체 정보를 정리해둔 기기로, 마음에 드는 사진을 누르면 앨범이 위치한 구역을 안내해준다. ‘머메이드’, ‘채플’, ‘심플하고 깔끔한’ 등 해시태그별로 정리돼 있어 원하는 취향만 간추려 보기도 쉽다.
앨범을 둘러보고 나면 공간 중앙을 크게 차지하고 있는 드레스룸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일반 드레스 숍에서는 디자인 유출 등의 문제로 드레스 공개를 최소화하고 사진 촬영을 금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곳에서는 옷가게에서 쇼핑하듯 둘러볼 수 있다. 2만 원을 지불하면 50여 벌의 드레스 중 원하는 세 벌을 피팅하고, 예비 신랑 및 부모와 함께 사진을 남길 수 있다.
이곳의 목적은 드레스의 브랜드를 정하는 것이 아닌 어울리는 스타일을 찾는 데 있다. 이를테면 디자인이나 원단, 기장 등 숍에서 살피기 어려운 디테일을 보는 것이다. 이후 드레스 투어에 갔을 때 직원에게 원하는 스타일로만 피팅을 요청하면 실패 확률을 줄일 수 있다.
스마트한 앱으로 결혼 준비도 스마트하게
공간을 보다 보면 한 가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모자이크 모양의 정사각형 아이콘, QR코드다. 1층의 웨딩홀 섹션과 지하 1층의 ‘스드메’ 앨범, 웨딩드레스 섹션에는 각 업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QR코드가 부착돼 있다. QR코드에 카메라를 가져다 대면 웨딩북 앱과 자동 연결되며 업체 정보 페이지가 나타나 비용과 실제 이용자의 후기를 볼 수 있다. 직원의 부담스러운 간섭과 상담 없이도 웬만한 정보를 얻어갈 수 있는 이유다.
‘세상 좋아졌다’고 말하긴 아직 이르다. 1층 카운터 뒤편에는 가상현실(VR)을 활용한 버진로드 체험존이 있다. VR 기기를 착용하면 사전에 촬영된 영상을 바탕으로 인기 웨딩홀의 규모와 분위기를 360도로 느껴볼 수 있다. 직원의 안내를 받고 머리에 기기를 쓰자 눈앞이 버진로드로 바뀌었다. “우와” 소리가 절로 나왔다.
하지만 단순히 재미 목적으로 마련된 공간은 아니다. 웨딩홀 투어의 애로사항 중 하나는 본식 당일의 분위기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대부분 평일에 상담이 이뤄져 조명, 장식 등이 갖춰져 있지 않아 머릿속으로 상상을 해야 한다. VR 버진로드 체험은 이 같은 문제를 보완해 예식이 있는 날 촬영을 진행하고, 그 현장을 기기 안에 생생하게 담아낸 서비스다. 가상이지만 발품 팔지 않고 선 자리에서 수십 곳의 결혼식 현장을 방문해볼 수 있다. 자녀와 함께 웨딩홀 투어를 다니고 싶어도 체력이 받쳐주지 않는 시니어에게 반가운 소식이다.
지하 1층에 작게 마련된 ‘젠틀맨 온리’ 존도 정보기술(IT)을 접목해 재미 요소를 더한 공간이다. 영화 ‘킹스맨’이 떠오르는 이곳에서는 방문자의 키와 몸무게를 본뜬 3D 아바타를 통해 남성 예복을 입혀볼 수 있다. 라펠, 칼라, 타이 등 세부 항목을 선택해 체형에 어울리는 스타일을 찾으면 된다. 예복 용어가 낯선 시니어도 놀이 삼아 눌러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서비스 특성상 제휴 업체 이외의 정보는 얻을 수 없다는 한계가 있지만, 결혼 준비 과정에서 겪는 불편을 여러 콘텐츠로 해소한 점이 눈길을 끄는 공간이었다. 플래너 혼자 결혼 준비를 도맡는 다른 서비스와 달리 앱과 공간, 사람 세 가지 유틸리티를 모두 활용할 수 있다는 특징도 돋보였다. 실제로 한 사람에게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보다 부담이 덜하다는 것이 대다수 고객의 반응이다. 박 본부장은 “IT 시대인 만큼 이제는 결혼 준비도 스마트해질 필요가 있다”며 “이 공간을 통해 결혼 준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수고스러움과 기회비용은 줄이고, 정보의 불균형을 해소해 지식 레벨을 높여 가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브라보 마이 라이프 2021년 7월호(VOL.79)에 게재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