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카톡)은 이제 단순히 온라인 메신저를 넘어 일상 속 대화만큼이나 주요한 소통 수단이 됐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으로 비대면 소통의 비중이 더 커지면서 카톡은 남녀노소 모두가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얼굴을 맞대지 않더라도 사람과 사람 사이의 대화인 만큼 카톡 안에서도 매너를 지켜야 한다. 특히 요즘처럼 온라인 메신저가 대중화돼 수많은 메시지를 주고받는 ‘메시지 홍수’ 속에서는 카톡 에티켓이 더 중요해진다. 또 표정과 억양을 생략하기 때문에 글로만 생각을 전달해야 하는 메신저는 오해의 가능성이 커 더 신경써야 한다.
이에 브라보가 시니어가 조심해야 할 카톡 에티켓 여섯 가지를 소개한다.
➀ 시도 때도 없이 보내는 카톡
직장인 A씨는 최근 피로도가 급격히 쌓이고 있다. 업무를 마치고 퇴근해도 밤 늦게까지 이어지는 상사의 업무 카톡 때문이다. 굳이 퇴근 후에 이야기할 필요가 없는 사항들에 대해 듣고 답까지 해야 하니 여간 귀찮은 게 아니다.
온라인 메신저인 카톡은 언제 어디서나 상대와 소통할 수 있는 간편함이 장점이다. 그런데 시도 때도 없이 카톡을 보내오는 사람들 때문에 이 장점은 단점이 되기도 한다. 예컨대 늦은 밤 카톡을 보내 잠을 깨운다던가 근무 시간 외에 카톡으로 업무 지시를 내린다거나 하는 행위는 사실 결례에 해당한다. 최근에는 직장 갑질 행위로 문제가 되고 있기도 하다.
➁ 띄엄띄엄 보내기
직장인 B씨는 한 번에 이야기하지 않고 여러 차례 나눠 카톡을 보내는 선배 때문에 다른 일에 집중하기가 어렵다. 자꾸만 울리는 카톡 알람 때문이다. 알람이 자꾸 울려 일을 하다가도 카톡을 확인해보면 선배 한 명의 카톡이 10개씩 와있다.
하고 싶은 말을 길게 써서 한 번에 보내면 될 것을 짧게 나눠서 여러 차례 보내는 사람들이 있다. 카톡을 받는 사람은 계속해서 울리는 카톡 알람으로 피로를 느낄 수 있으니 길게 써서 한 번에 전송하는 게 좋다. 간혹 PC카톡을 사용하는 사람 중에 줄을 띄고자 Enter키를 사용하는데 카톡이 전송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Shift키와 Enter키를 동시에 누르면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고 줄을 바꿀 수 있다.
➂ 읽고 무시하기
직장인 C씨는 자신이 보낸 카톡을 읽고도 한참동안 답장하지 않는 동료 때문에 속상하다. 한두 번은 바빠서 그러려니 했지만 횟수가 잦아지니 제법 서운하다.
바쁘다보면 읽고도 답장할 여유가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습관적으로 읽고 나중에 답장하려는 사람들이 있다. 카톡은 상대방이 내가 카톡을 읽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카톡을 보고 빨리 답장해 주는 게 좋다. 보낸 사람은 답장이 급할 수도 있어 계속 기다릴 수도 있다. 또 확인 후 답장을 바로 하지 않으면 무시당하는 기분이 들 수도 있다. 당장 여유가 없다면 “지금 내가 조금 바쁘니까 나중에 답장할게”라고 간단하게 메시지를 보내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➃ 프로필 사진 감시
직장인 D씨는 카톡 프로필 사진을 바꿀 때마다 카톡이 오는 상사가 불편하다. “어디 놀러 갔나봐”, “옷이 잘 어울리네” 등 바뀐 프로필 사진에 대해 카톡을 보내오는데 사생활을 감시당하는 기분이 들어서다.
어쩌다가 타인의 바뀐 프로필 사진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럴 때마다 상대에게 티를 내면 상대 입장에서는 감시당한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가까운 관계가 아니라면 타인의 바뀐 프로필 사진에 대해 자주 언급하지 않는 게 좋다.
➄ 고용량 영상
직장인 E씨는 최근 카톡 용량이 부족하다는 알림을 받았다. 그렇게 많은 사람과 카톡을 주고받지 않는데 원인이 무엇일까 알아보니 친구가 보낸 영상들 때문이었다. 친구는 손녀가 재롱부리는 동영상, 여행가서 경치를 찍은 동영상, 인터넷에 떠도는 웃긴 동영상 등 고용량의 영상들을 매일같이 보내왔고, 이 때문에 용량이 부족해진 것이었다.
사진과 동영상 같은 고용량 파일은 앨범에 다운을 받지 않더라도 저장공간을 차지한다. 따라서 고용량 동영상을 지나치게 많이 보내면 받는 이의 스마트폰에 무리를 줄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 용량을 관리하기 어려운 시니어는 카톡 용량이 차면 다른 카톡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⑥ 지나친 비속어와 맞춤법 파괴
직장인 F씨는 유난히 카톡에서만 비속어를 많이 쓰는 동료 때문에 불편하다. 아무리 거리낌없고 친한 관계라고 해도 느닷없이 쏟아지는 육두문자를 보면 기분이 썩 좋지 않다. 자꾸만 틀리는 맞춤법도 신경 쓰인다. 당연히 알 법한 맞춤법인데도 재밌어 보이려고 일부러 틀리는 건지 눈살을 찌푸리게 된다.
서로 얼굴을 맞대지 않는다는 이유로 카톡에서 스스럼없이 비속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는 대면 비대면을 떠나 대화 예절에 어긋나는 소통법이다. 이해할 수 없는 줄임말이나 초성 문자와 같이 맞춤법에 어긋나는 표현도 조심해야 한다.
최근 젊은층은 물론 기성세대도 온라인에서 올바르지 않은 맞춤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상대는 이를 이해하지 못할 뿐 아니라 글쓴이에 대한 오해도 생길 수 있으니 올바른 맞춤법을 사용하는 게 좋다. 헷갈리는 맞춤법은 인터넷 ‘맞춤법 검사기’를 통해 금방 알 수 있다.
‘말’은 사람의 ‘성품’을 나타낸다고 하는 만큼 중요하다. 온라인에서도 품격있는 대화를 주고받아 시니어들이 온라인의 수준을 한층 높여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