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에 잘 나가던 때의 태도와 마인드를 새로운 도전에 따른 자세로 바꿔야 한다.”
“채용될 때까지 책임 있는 자세로 성과를 보이며 능력과 역량을 객관적으로 어필하는데 집중해야 한다.”
“젊은이들을 빠르게 따라가려고 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이 9일 연 '50+ 기술전문가, 중소기업에서 살아가기' 온라인 포럼에서 관련 전문가들은 은퇴를 했거나 은퇴를 앞둔 50+ 시니어가 중소기업 재취업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이 50+시니어가 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태영 기술자숲 대표는 “경력 등으로 50+시니어들의 전문성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어 전문성 검증은 필요없을 정도로 문제가 없다”며 “하지만 자세와 태도에서 다소 문제점이 발견된다”고 중소기업이 50+ 시니어들을 채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공태영 대표는 “50+ 시니어들은 낮은 급여와 노하우 전수를 받아들이며, 소통에도 문제가 없다고 자신한다”며 “하지만 막상 기업과 함께 프로젝트에 대해서 논의를 진행하면 부정적인 의견을 내거나 스스로 결론을 내리는 경향을 보인다”고 자세와 마인드를 현실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채용되기 전까지는 자신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보여주며, 50+전문가라는 특성을 충분하게 어필하고, 자신이 중소기업을 평가하는 식의 평가자나 면접관 같은 태도를 절대 보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공 대표는 “분명하게 3000만 원대 연봉을 수용하겠다고 해놓고도 막상 해당 연봉을 제시하면 자존심을 거론한다”며 “스스로 수용할 마음의 자세를 갖췄는지 되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배중구 N15 팀장은 “50+ 시니어 전문가들이 스타트업에서 일하다 보면 다양한 어려움에 봉착한다”며 “스타트업도 기존 회사와 스트레스가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고 조언했다.
배 팀장은 “젊은 세대들은 50+ 시니어들의 전문성과 경험을 인정하고, 50+ 시니어들은 젊은이들의 빠른 움직임을 따라가려고 노력해야 한다”며 두 세대가 서로 융화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스타트업 직원은 주로 20대로 젊다”며 “50+ 시니어들이 스타트업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0+ 시니어가 자신들의 성공스토리를 담아 스타트업에 경험을 채우고, 실력과 역량을 보여주며 외부 기업과의 관계를 슬기롭게 이끌어가면 스타트업애서 다수를 차지하는 젊은 직원과 고경력 50+시니어가 선순환 체재를 만들어갈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백훈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상생협력연구위원은 “중소기업이 수출경쟁력과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이해서는 전문인력 확보가 필수”라며 “고경력 전문인력을 통해 경험과 노하우를 전수받으면 중소기업의 스마트화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소부장 기업을 중심으로 국내 다수의 중소기업에 기술전문가들이 부족한 현실을 고려하면 다양한 경험과 역량을 갖춘 50+시니어를 필요로 하는 중소기업이 매우 많다는 설명이다.
이어 백훈 연구위원은 “중소기업의 스마트화는 로봇과 AI를 현장에 도입하는 차원과는 거리가 있고, 전문적인 생산 수준을 높이고, 노하우를 전수 받는 수준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