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나 유튜브를 통해 ‘1970년대 서울’과 같이 대한민국의 옛 모습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런 영상을 보면 ‘그땐 그랬지’,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가 있었구나’라며 감회에 젖는다. 현재 수원시에서는 지역의 과거와 현재를 알 수 있는 ‘매교동’ 전시가 열리고 있다. 매교동은 수원의 중앙에 있는 마을로 대한민국의 변천사를 겪은 곳이다.
수원시에서 관광 명소로 떠오르고 있는 행궁동. 그 인근에 ‘수원 구 부국원’(富國園)이라는 곳이 있다. 붉은 벽돌의 외관은 일제강점기 때 지어진 건물임을 짐작케 한다. 100년 넘은 이 건물은 대한민국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부국원이란 일제강점기에 일본 사람들이 만든 종자회사를 말한다. 수원 구 부국원은 해방 이후 관공서, 병원, 인쇄소 등으로 운영되다가, 현재는 역사를 배울 수 있는 문화공간으로 거듭났다.
이곳에서 ‘매교동’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가 열리고 있다. 구 부국원 1, 2층에는 매교동의 사진과 영상 자료가 가득하다.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비교해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건물, 도로, 사람들의 생활 방식과 옷차림 등의 변화를 알 수 있다.
매교동은 수원의 번화가로 꼽히는 수원역과 인계동 사이에 있다. 수원의 중앙에 위치하며 수원천을 끼고 있어 과거에는 활기 넘치던 곳이었다. 그러나 산업의 발전과 다른 곳들이 개발되면서 올드타운이 됐다.
노후 다세대·다가구주택뿐만 아니라 철물점, 공구상, 인력사무소 등이 많은 곳이었다. 현재 매교동은 재개발로 또다시 변화를 앞두고 있다. 오는 7월부터 1만여 가구가 입주해 아파트촌으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이러한 때 시기적절하게 전시가 열리니 묘한 기분이 든다.
매교동만큼 수원에서 변화가 많았던 곳이 있을까. 매교동은 대한민국의 변천사를 고스란히 겪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시를 보면 수원시를 넘어 우리나라의 발전 과정을 엿볼 수 있다.
매교동은 조선시대 정조대왕이 화성 신도시를 건설한 후 형성되기 시작했다. 옛 국도 1호(현재 정조로)와 수원천이 가로질러 마을이 동쪽과 서쪽으로 분리됐지만, 오래전부터 매교동 주민들은 수원천을 매개로 하나의 생활권을 이루며 살았다.
일제강점기에는 수려선 철도가 마을을 통과하면서 주거지가 작게 형성됐고, 1960년대 들어 도시 규모가 커지면서 시가지로 변모했다. 1971년에는 매교시장이 들어섰고, 1973년에는 수려선 철도가 철거됐다. 1977년 수원천 제방이 축조되면서 매교동은 한결 안전한 마을로 거듭났다.
1980년대에는 마을 곳곳에 주택과 편의시설이 들어섰고, 산업화와 함께 ‘공구상가’가 번영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동수원 지역이 개발되면서 매교동은 다소 정체됐고 낙후된 주택단지라는 인식이 강해졌다. 그러나 앞서 얘기한 대로 2000년대 들어 도시 재생과 재개발 사업이 이뤄지면서 매교동은 활기를 되찾았다. 과거처럼 다시 중심지가 될 수도 있다.
전시는 △1973년, 옛 1번 국도를 따라서(매교동을 관통하는 옛 국도 1호의 모습이 담긴 영상) △매교동 사람들(과거 매교동 주민들의 추억이 담긴 사진) △매교동의 변천 과정(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매교동의 역사를 기록한 사진) △매교동 풍경(매교동 옛 사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전시는 수원시의 16번째 마을지 ‘매교동’ 발간 기념으로 개최됐다. 수원시 도서관·박물관 등에서 볼 수 있다.
전시는 6월 30일까지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매주 월요일·법정 공휴일은 휴관하며, 화~일요일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6시(입장 마감 오후 5시 30분)까지 관람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