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이상 가계대출 350조 원 달해... 55%는 제2금융권

입력 2022-05-23 11:18

60세 이상 고령층의 가계대출이 350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이 중 절반 이상이 제2금융권 대출인 것으로 조사됐다.

진선미 의원실(더불어민주당)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업권별 대출액 현황’ 자료에 따르면 3월 말 현재 60세 이상 고령자의 가계대출은 전체 가계대출의 18.7%인 349조 8000억 원을 차지했다.

이 중 고령층의 제2금융권 대출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0세 이상 고령자의 제2금융권 가계대출 규모는 191조 9000억 원으로 전체의 54.9%를 차지했다. 반면 60세 미만의 가계대출 중 제2금융권 비중은 38.2%에 불과했다.

대출을 받은 고령자 수도 늘었다. 2021년 말 기준 고령층 가계 대출 보유자 수는 395만 6000명으로 2년 전보다 12.2% 늘었다.

같은 기간 고령층 제2금융권 대출 보유자는 13.8% 증가했다.

3개 이상의 금융기관에 대출을 보유한 다중채무자 역시 고령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2021년 12월 말 기준 고령층 다중채무자는 54만 8000명으로 2년 전 대비 1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연령대 다중채무가 증가율일 5.3%와 비교하면 크게 늘어난 것.

통계청에 따르면 개인대출 증가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고령층의 연체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체율은 60대 0.87%, 70세 이상 0.72%, 50대 0.66% 순으로 나타났다.

고령층의 제2금융권 대출이 늘어난 것은 코로나19와 은행권 대출 규제 정책이 맞물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고령층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들이 금리가 더 높은 제2금융권 대출에 의존하고 있어, 이들을 위한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뉴스

  • 내 돈 보태준 자녀 집, 세금 괜찮을까?
    내 돈 보태준 자녀 집, 세금 괜찮을까?
  • "자녀 주거 지원 막혔다" 가계부채관리 강화 대응 전략
  • [중장년 필독 정보통] 서울시, 중장년 위한 새 아파트 공급 본격화
    [중장년 필독 정보통] 서울시, 중장년 위한 새 아파트 공급 본격화
  • [카드뉴스] 노후 준비 필수, 알쏭달쏭 '주택연금' 핵심 용어 8
    [카드뉴스] 노후 준비 필수, 알쏭달쏭 '주택연금' 핵심 용어 8
  • 시니어 맞춤 서비스 '일·돈·안전' 금융권이 풀세팅
    시니어 맞춤 서비스 '일·돈·안전' 금융권이 풀세팅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