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 속도에 따라 50년 뒤 한국인 2명 중 1명은 고령일 것으로 예상됐다.
통계청이 발표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 현황 및 전망’에 따르면 한국 인구 중 65세 이상의 비중이 올해 17.5%에서 차후 2070년 46.4%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동일 시점 세계 고령인구 구성비는 20.1%로 5명 중 한 명 꼴이다.
예상 중위연령 역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중위연령은 총인구를 연령 순서로 나열할 때 중앙에 있는 사람의 연령을 말한다. 한국의 중위연령은 올해 45.0세에서 2070년 62.2세로 높아진다. 세계인의 중위연령이 30.2세에서 38.8세로 증가하는 폭과 비교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북한의 경우 중위연령이 올해 35.9세에서 2070년 45.1세로 올라간다.
한편 2022년에서 2070년 사이 한국 유소년인구와 생산연령인구는 각각 4.0%p, 24.9%p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같은 시기 세계 유소년인구와 생산연령인구도 각각 6.7%p, 3.6%p 감소할 전망이다. 아울러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인구(유소년인구+고령인구)의 비율인 총부양비는 한국이 2022년 40.8명에서 2070년 116.8명으로 늘어난다.
동일 기간 세계 총부양비가 54.0명에서 62.9명으로 올해 대비 1.2배 수준으로 증가하는 데 비해, 한국은 2.9배가량 증가하는 것이다. 이는 프랑스 영토의 작은 섬나라 생바르텔레미(119.5명)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2070년 한국의 노년부양비(생산연령인구 백 명당 고령인구의 비율)는 약 50년간 24.6명에서 100.6명으로 올해 대비 4.1배 올라간다. 세계 인구의 노년부양비는 15.1명에서 32.7명으로 2.2배 증가할 전망이다. 통계청은 타 국가와 비교해 생바르텔레미(100.1명), 홍콩(91.7명) 등을 넘어 한국의 노년부양비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일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