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수록 시력, 청력, 근육의 운동능력 등 신체 기능의 저하로 식사, 옷 입기, 침구 정돈과 같은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따른다. 여생을 보낼 공간을 신체적 특성에 맞게 고치고, 가꿔야 하는 이유다. 공간 개조 시 신경 써야 할 요소가 적지 않지만, 그중에서도 ‘조명’을 잘 활용하면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독립적인 생활을 지속할 수 있다.
‘서울특별시 복지시설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적절한 조명 선택은 공간, 색채, 재질의 인지, 사인과 안내문 확인 등 시각적 소통에 도움을 준다. 조도가 균일하지 못할 경우 공간의 특성을 구분하지 못하거나 길을 잃을 가능성이 있다. 눈부심과 반사, 강한 그림자 등이 생기면 혼란과 불안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시각에 의한 피로감이나 불쾌감을 일으키지 않도록 조명의 양과 질을 배려해 적정 조도 수준, 조명 방법, 기구 선택이나 배치를 결정해야 한다.
우선 자연채광을 최대한 확보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부족한 곳은 다양한 종류의 조명을 사용한다. 상황에 따라 개인이 밝기나 빛의 종류를 조절할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천장 조명은 누웠을 때 눈부심이 없도록 램프가 노출되지 않는 것을 고른다. 침실 내 화장실이 있다면 출입 시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침대 옆 손이 닿기 쉬운 곳에 조명스위치를 설치하는 것도 방법이다. 찬장 또는 벽장, 서랍, 선반은 장애물 없이 직접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곳에 배치해야 한다. 안전을 위해 모서리가 날카롭지 않은 것을 고르거나, 보완재를 덧댄다. 콘센트, 스위치 등은 즉각적으로 인지되고 접근하기 쉬운 위치에 있어야 하며 작동이 단순한 것이 좋다.
‘색채’도 개조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다. 실내 공간에서 색채는 그 공간을 개성 있게 표현하거나 안정감을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한정된 공간을 지각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 책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거환경 디자인’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따뜻하고 자연스러운 색, 밝은 초록 계열, 파랑 계열은 건강을 보존하는 환경에서 많이 사용된다. 파랑은 고요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답답함을 느끼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된다. 순수한 흰색은 심한 눈부심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편이다.
색채학자 로튼과 비렌은 빨강과 같은 난색은 흥분을 유발하고, 녹색이나 파랑과 같은 한색은 침착하고 편안하게 한다고 주장했다. 색의 대비를 사용하면 감각을 풍요롭게 하는 효과가 있지만, 건강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다만 색에 대한 반응은 각자의 감정과 경험한 배경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개인의 요구와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서울특별시 복지시설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에서는 “특정한 공간의 이미지는 색채와 재료, 조명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형성되기 때문에 각각의 요소를 별개로 고려하기보다는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