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보 일본 통신] 남성 81·4년, 여성 85·1년으로 日 전국 1위
*편집자 주: 국민의 30% 가까이가 65세 이상인 나라, 일본. 세계에서 고령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인 일본의 소식을 발 빠르게 전합니다.나가노현을 아시나요? 일본 혼슈 중앙부에 있는 현으로, 제18회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알려진 곳입니다. 동시에 일본 내에서는 ‘건강 수명’이 유독 길다고 알려진 지역이기도 합니다.
나가노현이 그 명성을 이었습니다. 지난 27일 일본 일간지 마이니치신문은 ‘요(要)개호도’를 기초로 산출한 2021년 ‘건강 수명’에서 나가노현이 남녀 모두 전국 1위에 올랐다고 전했습니다. 공익사단법인 국민건강보험 중앙회 조사 결과, 나가노현은 남성 81·4년, 여성 85·1년으로 전국 1위를 차지했습니다. 2019년까지 4년 연속 1위를 차지한 남성은 2년 만에 1위, 여성은 6년 연속 1위입니다.
‘건강 수명’은 요개호도(일본의 요양등급 개념)가 2 미만이며, 일상생활을 스스로 할 수 있는 기간의 평균을 나타냅니다. 전국 평균은 남성 80·0년, 여성 84·3년이었습니다. 남녀 모두 전국 평균을 웃도는 이유에 대해 나가노현은 고령자의 높은 취업률, 많은 야채 섭취량, 건강에 대한 자체적인 관심, 의사나 간호사·관리 영양사 등 활발한 지역 보건 활동 등을 들었습니다.
관련 기사
-
- “한국식 시럽 과일청, 과다 섭취는 혈당 스파이크 유발”
- 떡볶이, 꿀떡, 김밥에 이어, 또 하나의 K-푸드가 해외에서 주목받고 있다. 바로 과일을 설탕에 절여 숙성시킨 ‘과일청’이다.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 등 다양한 소셜미디어(SNS)에서는 ‘코리안 시럽(Korean syrup)’ 또는 ‘청(Cheong)’을 키워드로 한 콘텐츠가 폭발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미국의 유명 셰프이자 유튜버인 닉 디지오바지가 공개한 딸기청(코리안 스트로베리 시럽) 제조 영상은 29초 분량임에도 조회수 9900만 회를 넘어서며 과일청의 세계적 인기를 입증했다. 이후 블루베리청, 체리청, 레몬청 등 다
-
- 삶의 질을 높이는 하이원 웰니스 센터
- 폐광 지역의 경제 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국내 최대 복합 리조트 강원랜드는 2019년 시작된 소규모 ‘하이원 웰니스’를 확장 리뉴얼해,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웰니스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하이원 웰니스 센터’를 지난 1월 개소했다. 2022년부터 3회 연속 문화체육관광부과 한국관광공사 선정 ‘추천 웰니스 관광지’에 이름을 올리며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숙박, 레저, 먹거리, 자연환경까지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즐거운 삶과 더 나은 세상 만드는 행복 쉼터 하이원 웰니스 센터는 단순한 질병 예방을 넘어 삶의 질을 높이는
-
- 웰니스 여정의 진정한 동반자 파크로쉬 리조트앤웰니스
- 강원도 정선에 위치한 ‘파크로쉬 리조트앤웰니스(이하 파크로쉬)’는 가리왕산, 두타산, 오대천 등 청정 자연 속에 자리 잡은 위치, 신선한 제철 지역 식재료로 만든 건강한 음식, 몸과 마음, 나아가 영혼까지 건강한 에너지로 채워주는 웰니스 프로그램과 스파 트리트먼트까지, 여행자가 경험하는 모든 여정에 진심 어린 웰니스 가치가 깃들어 있다. 지속 가능한 웰니스 라이프 올해 개관 7주년을 맞은 파크로쉬는 2018년부터 한국관광공사와 문화체육관광부가 추천하는 우수 웰니스 관광지로 연속 선정되며 웰니스 문화를 주도하는 선두 주자라는 평을
-
- [카드뉴스] 화제의 건강 루틴, 식후 뿡뿡 '방귀 걷기' 뜬다
- “방귀를 뀌며 걷는 게 건강에 좋다?” 처음 들으면 웃음부터 나올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독특한 건강 루틴은 실제로 여러 전문가들의 추천을 받고 있다. ‘방귀 걷기(Fart Walk)’는 식사 후 가볍게 걷는 행동으로, 소화를 돕고 혈당을 낮추며 심지어 당뇨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는 의견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틱톡을 중심으로 #FARTWALK 해시태그가 수백만 건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전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건강 트렌드이기도 하다. 웃음 속에 숨겨진 ‘방귀 걷기’에 대한 흥미로운 정보를 카드뉴스로 정리해 봤다. ▲‘
-
- ‘봄철 불청객’ 알레르기성 결막염 “가렵다고 눈 비볐다간…”
- 꽃가루와 황사가 흩날리는 4월은 연중 알레르기성 결막염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때다. 가렵고 눈곱이 많이 껴서 눈을 자주 비비게 되는데, 이는 각막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호흡기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질환으로, ‘봄철만 지나면 괜찮겠지’라고 여겨서는 안 된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에 대한 궁금증을 이지혜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안과 교수와 함께 풀어봤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알레르기성 결막염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총 199만 252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4월 환자만 35만 3535명으로,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