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테일’은 친환경 유통이라는 뜻이다. ‘그린’(Green)과 ‘리테일’(Retail)의 합성어로, 상품을 생산하거나 판매하는 과정에 친환경 요소를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환경오염이 심각해지면서 친환경 제품에 관심을 두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소비자의 환경 인식에 따라 ‘그린테일’을 하는 기업들은 친환경 포장재를 사용하는 추세다.
코로나19로 배달 문화가 활발해지면서 일회용품을 둘러싼 여러 문제가 제기됐다. 늘어나는 일회용 플라스틱이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 이후 배달업계에서는 ‘일회용품 줄이기’ 캠페인에 나섰다. 배달의민족, 요기요 같은 배달 앱들은 일회용품 식기를 받지 않는 선택란을 만들거나 친환경 용기를 쓰는 등 방안을 마련했다.
지구를 위한 친환경 포장재
배달업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업이 친환경 포장재를 쓰며 환경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친환경 포장재는 탄소 배출 절감, 플라스틱 사용량 감소 등의 효과를 가져다준다. 한솔제지는 종이류 분리배출 가능한 ‘프로테고’ 종이 포장재를 만들었다. 롯데제과 ‘제로 후르츠 젤리’ 포장지와 ‘크리넥스 마스크’의 포장재에 프로테고가 적용됐다. 프로테고는 플라스틱과 금속 재료의 사용을 줄여 탄소 배출량을 45% 감소시킨다.
마켓컬리는 2019년부터 모든 배송 포장재를 종이로 변경했다. 2021년에는 종이상자를 대신한 ‘퍼플박스’를 개발했다. 마켓컬리는 ‘올페이퍼 챌린지’로 연간 비닐 사용량 약 831톤, 스티로폼 사용량 약 4000톤의 감소 효과를 봤다.
친환경 포장재의 소재는 다양하다. 버려지는 폐자원과 천연 소재를 혼합해 친환경 포장재를 생산하는 ‘나누’는 월 9만에서 15만 개의 제품을 납품하고 있다. 제주개발공사와 협약을 맺고 무상으로 수거한 감귤껍질을 감귤초콜릿 포장재에 사용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친환경 소재로 만들면 값이 비싸진다는 인식과 반대로 나누는 원가절감 효과를 보고 있다. 버려지는 천연 소재인 낙엽, 귤껍질, 농업 부산물 등을 무상 수거하여 만들기 때문이다. 이윤노 나누 대표는 “다음 목표는 사람들이 많이 소비하는 즉석밥 용기나 물병에 친환경 포장재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발걸음
개인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면 기업은 소비자에게 맞춰서 간다. 환경오염 문제는 모두가 해결해야 하는 과제다. 몇몇 기업은 환경 측면의 경영을 내세우는 데 급급해서 ‘그린워싱’을 한다. 녹색경영을 표방하는 듯 홍보하고, 마치 환경인증을 받은 것처럼 마크를 제작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환경오염에 경각심을 느낀 소비자들은 ‘그린워싱’에 속지 않으려고 한다. 지속 가능한 맞춤형 포장재를 제공하는 칼렛바이오의 황시내 이사는 “포장재를 컨설팅받기 위해 온 고객들이 포장재의 소재가 친환경인지 꼼꼼히 물어본다. 환경에 100% 이로운 포장재는 없을지라도, 지속 가능한 환경 인식에 동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친환경 반려동물 식기부터 배달 용기, 카페 용품 등 자주 사용하는 포장재를 친환경으로 바꾸려는 고객이 늘고 있다”라고 말했다.
환경과 가치를 얻는 소비자들
친환경 제품이나 포장재는 일반 포장재보다 비교적 단가가 비싸서 소상공인이라면 가격에 부담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가치소비’를 핵심으로 여기는 소비자들도 있다. 자신의 주관이나 사회적 욕구에 부합하면 비싸더라도 구매하는 것이다. ‘프라이탁’은 가치소비를 핵심 키워드로 인지해 버려진 자동차의 안전벨트나 화물차 방수포 등으로 하나밖에 없는 디자인의 가방을 생산한다. 개성을 추구하는 젊은이들 사이에 인기를 끌면서 프라이탁은 환경과 소비자의 니즈를 잡아냈다.
권영삼 칼렛바이오 대표는 “가치소비 개념이 중요한 시대다. 지속 가능한 사회에 동참하겠다는 물결이 생길 때 기업은 어쩔 수 없이 변한다고 본다. 소상공인도 마찬가지로 단가가 비싸더라도 친환경 소재로 바꾸는 추세”라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환경에 민감한 소비자들이 더 많아질 것”이라면서 “올바른 그린테일을 실천해야 소비자의 마음이 움직인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