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병원은 오는 27일 오후 2시부터 병원 중앙관 4층 동교홀에서 ‘지긋지긋한 어깨·무릎 통증 확실하게 알기’란 주제로 건강강좌를 개최한다. 정형외과 김재윤 교수가 ‘견(어깨)관절에 흔히 발생하는 질환’에 대해, 정형외과 이한준 교수는 ‘퇴행성 슬(무릎)관절염의 치료’라는 주제로 각각 강연한다. 누구나 참석 가능며 사은품도 증정한다. 02-6299-2219
관련 뉴스
-
- 생성형 AI, 파킨슨병 조기 진단에 예측 영상까지 완수
- 초기 진단이 어려운 파킨슨병에 AI 기술이 사용된다.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는 9일 파킨슨병의 진단 정확도를 99.7%까지 높인 AI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파킨슨병은 뇌에서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점점 줄어들면서 생기는 병으로, 알츠하이머병 다음으로 흔한 퇴행성 뇌질환이다. 손떨림, 느린 움직임, 근육 강직과 같은 증상이 대표적이며 우울증이나 치매 같은 비운동성 증상도 함께 나타날 수 있다. 파킨슨병은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하지만 병의 초기에는 일반적인 노화나 다른 신경계 질환과 구분이 어려워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
-
- [2025 인구보고서] '초고령화 선배' 일본에는 있고, 한국에는 없다
- 日, 내과·외과·정신과 방문 진료 방문 치과도 2000년대 초반부터 도입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20년 전에 앞서 초고령사회를 겪기 시작한 일본의 의료 복지 체제에 관한 관심이 더 늘고 있다. 김철중 조선일보 의학전문기자는 7일 최근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2025 인구보고서’에서 ‘초고령사회 선배, 일본으로부터 배우는 고령자 의료와 케어’라는 주제를 통해 “일본도 고령인구가 20% 넘어가던 지난 2005년 무렵부터 의료 복지 체제를 초고령화 체제로 바꾸기 시작했다”며 우리나라도 의료 복지 체제 인프라를 고민해야할 시점이
-
- “섬 주민 4명, 실명 위기 막았다”… 대웅제약의 헬스케어 실험
- 대웅제약이 도서 지역 주민을 위한 맞춤형 건강검진으로 의료 사각지대 해소에 나섰다. 이번 검진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과의 협업으로 추진된 ‘지역사회 연계형 의료복지 사회공헌사업’의 일환이다. 지난 5일, 대웅제약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과 함께 경기도 안산시 탄도항에서 배로 1시간 30분가량 떨어진 섬, 육도의 주민 11명을 대상으로 1:1 맞춤형 건강검진을 진행했다고 18일 밝혔다. 의료 접근성이 크게 떨어지는 지역 특성상 단발성 진료가 아닌 지속적인 건강관리의 초석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검진에는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모비케어(m
-
- “반려견도 있는데”… 노인 구강관리용품은 ‘복지 사각지대’
- 노인장기요양보험 가입자를 위한 구강 복지용구 개발이 본격 추진된다. 대한치매구강건강협회는 17일 경기 부천시에 위치한 ㈜그레이스케일 본사에서 그레이스케일 이준호 대표와 함께 관련 협력 회의를 열고 공동 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협회 측에서 서혜원 총무이사, 정주아 섭외이사, 한은수 사회복지사 등이 참석했다. 현재 국내 장기요양 대상자를 위한 복지용구 가운데 구강 관련 품목은 사실상 전무한 상황. 구강 위생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을 경우 구강질환 악화는 물론 흡인성 폐렴, 치매 진행 가속 등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
- ‘레하·홈케어 2025’, 29일 서울 코엑스서 개막… 고령친화·재활기기 총출동
- 홈케어·재활·복지 전시회인 ‘레하·홈케어(Reha·Homecare) 2025’가 29일부터 31일까지 사흘간 서울 강남구 코엑스 전시장 1층 B홀에서 열린다. ‘건강한 삶, 행복한 인생’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에는 국내외 214개 기업이 참가해 고령자와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다양한 제품과 기술을 선보인다. 주요 전시 품목으로는 고령친화 기술(AgeTech)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헬스케어 제품과 가정용 의료기기, 재활 및 복지 의료기기, 이동·보행보조기구, 인공지능(AI)과 정보기술(IT)이 접목된 돌봄 로봇 등이 있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