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째 계속된 고물가·고금리 시대에 경기침체까지 이어지며 ‘월급 빼고 다 오른다’는 볼멘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2025년에도 비용, 소비 경험, 미래 가치 등 여러 가지를 심사숙고한 소비 경향이 이어질 전망이다. 불황기에 달라진 대표적인 4050의 소비 형태 세 가지를 꼽아봤다.
02 라이브커머스
60대 이상 시니어가 TV홈쇼핑을 주로 이용했다면, 4050은 라이브커머스를 이용하는 추세다. 라이브커머스는 온라인상에서 실시간 동영상을 기반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것을 말한다. 라이브방송을 줄여 ‘라방’이라 부르기도 한다. 판매자가 라이브방송으로 제품을 소개하고, 실시간으로 시청자의 질문에 답하며 소통하는 방식으로 제품을 판매한다.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2023년 한국 라이브커머스 시장 규모는 약 3조 원으로, 2026년 10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기준 소비자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은 네이버 쇼핑라이브였다. 이어 카카오 쇼핑라이브, 쿠팡 라이브 등이 뒤를 이었다. 2019년 최초로 세로 화면 라이브쇼핑을 도입했던 라이브커머스 쇼핑 앱 그립은 2024년 1000만 다운로드를 돌파하기도 했다. 이에 유튜브는 한국에서의 라이브커머스 시장 성장세를 보고 2023년 한국에서 최초로 라이브커머스를 시작했다.
유통업체들은 자사 라이브커머스 운영을 강화하는 한편, 유튜브·틱톡·네이버 등의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다. CJ온스타일은 유튜브를 기반으로, GS리테일은 네이버 쇼핑라이브를 기반으로 다양한 협업을 하고 있다. 롯데홈쇼핑은 라이브커머스 확장을 위해 크리에이터 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고, 자사 모바일TV ‘엘라이브’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또한 29CM, 무신사, 컬리 등도 라이브커머스로 다양한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라이브커머스에 대한 4050의 관심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KB국민카드의 ‘TV홈쇼핑 라이브방송 이용 설문조사 및 소비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TV홈쇼핑은 60대 이상 35%, 50대 33%, 40대 21% 순으로 매출액 비중이 높았지만, 라이브방송은 40대 33%, 50대 26%, 60대 이상 13% 순이었다. 서울시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가 라이브커머스로 구매하는 상품은 식품이 54.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생활용품 44%, 의류 및 패션용품 39.5%, 농수산물 23.2%, 화장품·향수 19.3% 순으로 나타났다.
4050 소비자를 겨냥하기 위해 라이브쇼핑 업체들은 다양한 맞춤형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다. 특히 건강에 관심 많은 중장년을 타깃으로 건강기능식품을 선보이는 프로그램이 잇따라 나왔다. 신세계라이브쇼핑의 ‘피지컬 100세’, 쇼핑엔티의 ‘건강해 주홍’이 대표적이다. SK스토아는 주 구매층인 4050 여성을 타깃으로 패션잡화, 트렌드, 리빙, 일반 식품을 소개한다.
4050 패션 플랫폼인 포스티는 2024년 라이브방송을 강화하고 짧은 상품 소개 영상을 보여주는 숏폼 코너 등을 신설해 이용자 수 100만 명을 돌파했다. 2030세대에게 인기 많은 이랜드월드의 SPA 브랜드 스파오도 지난해 2월부터 라이브커머스에 진출하며 4050으로 연령대를 확장했다. 이의훈 카이스트 기술경영학부 명예교수는 “50대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4050을 중심으로 라이브커머스가 활성화된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