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미화 의원, 장애인단체 인사들과 정책 방향 공유

입력 2025-08-20 10:22

장애인리더스포럼 개최… 발달장애인 국가책임제·권리보장법 등 과제 발표

▲이날 포럼에서 발언 중인 서미화 의원 모습.(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제공)
▲이날 포럼에서 발언 중인 서미화 의원 모습.(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제공)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한국장총)은 지난 14일 ‘2025년도 제2차 장애인리더스포럼’을 열고 이재명 정부의 장애인 정책 공약을 점검했다. 이 자리에는 여당의 장애인 비례대표 서미화 국회의원이 참석해 정부의 장애인 정책 핵심과제를 발표하고 현장의 의견을 청취했다.

포럼에서는 47개 장애인단체의 요구를 취합한 ‘2025 대선장애인연대’ 자료를 바탕으로, 대선 당시 이재명 후보의 공약이 얼마나 반영됐는지 검토했다. 한국장총 김동호 정책위원장은 “공약 점검을 통해 장애계 요구의 수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서 의원은 국정과제 발표 직후 열린 이번 포럼에서 △발달장애인 돌봄 국가책임제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 추진 △장애인연금 수급대상 확대 △교통약자 이동권 강화 등을 과제로 제시했다. 그는 “이번 국정과제에는 장애인 분야가 일부 빠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세부과제 속에는 현장의 요구가 구체적으로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현장 발언도 이어졌다. 한국장애인선교단체총연합회 진병진 회장은 “발달장애인 돌봄을 국가가 책임지는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고, 경상남도장애인단체총연합회 김동우 회장은 “우리나라 장애인 예산은 OECD 평균에 크게 못 미친다”고 지적했다. 이에 서 의원은 “경제 규모는 세계 10위권이지만 장애인 예산은 최하위 수준”이라며 “예산 확대를 지속적으로 요구하겠다”고 답했다.

또한 서 의원은 “여당 의원으로서 장애계 제안이 정책에 담기지 못한 부분은 국정감사와 입법 활동을 통해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장애인부모회 고선순 회장은 “정부가 약속한 ‘진짜 대한민국’ 건설을 반드시 지켜달라”며 당부의 말을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뉴스

  • “라오스 젊은이들, 해외서 돌봄 인력 취업 관심 커”
    “라오스 젊은이들, 해외서 돌봄 인력 취업 관심 커”
  • 전 세계 보청기 시장, 2031년 61조 원 규모로 성장 전망
    전 세계 보청기 시장, 2031년 61조 원 규모로 성장 전망
  •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제5차 아셈 노인인권: 현실과 대안’ 국제포럼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제5차 아셈 노인인권: 현실과 대안’ 국제포럼
  • 제3회 세계시니어시티즌데이 22일 개최… ‘은퇴는 새로운 시작’
    제3회 세계시니어시티즌데이 22일 개최… ‘은퇴는 새로운 시작’
  • 강남종합사회복지관-아이픽셀, AI 활용 통합돌봄 맞춤운동 서비스 협력
    강남종합사회복지관-아이픽셀, AI 활용 통합돌봄 맞춤운동 서비스 협력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