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진행된 복지부 연수 참석자들이 단체 사진을 촬영,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제공)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9월 2일부터 3일까지 이틀간 화성 호텔푸르미르에서 2025년 보건복지부 소관 장애인단체 상반기 연수를 열었다.
이번 연수에는 보건복지부 장애인정책국 관계자와 소관 장애인단체 실무책임자 등 65명이 참석했으며, ‘국제개발협력 및 AI 시대 장애인단체의 역할과 미래 모색’을 주제로 진행됐다.
외부 강연에서는 정은주 KOICA 과장이 ‘국제개발협력에서 장애인단체의 역할’을, 진익성 남서울대학교 교수가 ‘AI와 잘 지내는 장애인단체가 되려면’을 주제로 발표했다. 참가자들은 글로벌 의제 속 포용과 접근성 확산 전략, 인공지능 확산이 가져올 사회적 변화와 장애인단체의 대응 과제를 논의했다.
보건복지부 장애인정책국은 간담회를 통해 ▲장애인지역사회자립법 시행에 따른 자립지원 시범사업 확대 ▲모바일 장애인등록증 도입 ▲개인예산제 시범사업 ▲장애인 건강보건관리종합계획 수립 등 올해 상반기 정책 추진 성과와 하반기 계획을 공유했다. 참가자들은 개인예산제, 활동지원, 건강주치의, 통합돌봄 등 주요 사업의 예산 현황을 확인하며 보다 세심하고 포괄적인 정책을 요구했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국제적 연대와 디지털 전환이라는 시대적 과제 앞에서 장애인단체들이 협력과 지혜를 모아야 한다”며 “앞으로도 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는 장애인단체의 도약을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