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대표적 숲체험프로그램, 1993년부터 총 67,000여명 참가 -
산림조합중앙회(회장 장일환)는 도시지역 초등학생 및 가정형편이 어려운 소외계층 아동들에게 직접 숲을 체험하고 경험하게 해 우리 숲의 소중함과 중요성을 인식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숲과의 만남'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15일 서울 월곡초등학교, 고명초등학교, 고원초등학교 5~6학년 학생 449여명을 시작으로 11월까지 서울지역 38개 초등학교 및 21개 지역아동센터의 학생 6900여명을 대상으로 산림청 녹색자금의 지원을 받아 개최한다.
이번 숲과의 만남 행사는 1993년 첫 행사를 시작한 이래 지난 해까지 총 6만7000여명의 초등학생들이 참여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숲체험 프로그램 중 하나다. 프로그램은 산림생태관찰, 산림환경교육, 산림박물관 견학, 목공예품 제작 등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전문 숲 해설가의 생생한 숲 해설 교육을 통해 참가한 학생들이 환경친화적인 가치관을 형성하고 미래지향적인 올바른 인성과 열린 사고를 함양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산림조합중앙회 관계자는 “특히 올해부터는 평소 가정형편이 어려운 아동들이 다니는 지역아동센터 등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행사를 확대함으로써 국민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맞춤형 산림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문의 : 산림조합중앙회 문화홍보실(02-3434-7244)
관련 기사
-
- 돌아보며 걷는 미래
- 올림픽이 끝나고 해외여행 자유화가 시작되었다. 우후죽순 격으로 생겨난 여행사들은 인재들을 영입하고 있었다. 해외여행이라는 당근에 이끌려 여행사로 들어갔다. 여타 기업에 비해 급여는 적었지만, 해외여행은 매력적이었다. 잦은 해외 출장은 일과 여행의 경계가 모호했다. 고객들을 인솔하는 일이지만 보고 먹고 자는 모든 것이 여행객과 다름없었다. 제주도도 못 가봤는데 국제선을 타고 해외를 다닌다는 게 신기했다. 세계 곳곳으로의 출장은 나의 인문학적 소양을 몰라보게 높여주었다. 방문국의 역사와 지리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사람들과 산업에
-
- [카드뉴스] '오징어게임 시즌3' 속 추억의 골목놀이 5
-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이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극 중에 등장하는 한국 전통 놀이가 주목을 받고 있다. 누구에게나 익숙했던 '꼬마야 꼬마야'.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등의 놀이들이 지금은 콘텐츠 속 상징이자 해외 시청자들에게는 신선한 문화로 소개되고 있다. 어릴 적의 풍경과 감정을 떠올리게 만드는 추억의 한국 놀이를 카드뉴스로 정리해 봤다.
-
- 권여선 단편소설 원작 영화 ‘봄밤’ 7월 9일 개봉
- 권여선 작가의 동명 단편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봄밤’ 이 오는 7월 9일 개봉을 확정했다. 죽음과 사랑, 상처와 침묵이 교차하는 감정선을 시적으로 풀어낸 이번 작품은 원작 소설이 지닌 문학적 서정과 통증을 스크린으로 옮겨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 ‘봄밤’은 국어교사였던 ‘영경’과 철공소를 운영하던 ‘수환’이 각자의 상실과 파국을 겪은 뒤, 친구의 결혼식장에서 우연히 재회하는 이야기다. 파혼과 병, 알코올 중독 등으로 삶의 밑바닥을 경험한 두 인물이 서로의 고통을 말없이 응시하며 조심스럽게 관계를 쌓아가는 과정을 그린다. 배우
-
- 시니어 출판 트렌드는 '나이 듦·돌봄·가족'
- 올해로 67회를 맞은 ‘2025 서울국제도서전’이 지난 22일 서울 코엑스에서 막을 내렸다. 총 530여 개 출판사와 단체가 참여한 이번 행사에서는 다양한 국가와 세대의 독자들이 책을 매개로 소통하는 가운데, 도서 콘텐츠의 흐름 역시 다층적으로 나타났다. 도서전 현장에서는 ‘나이 듦’, ‘돌봄’, ‘가족’, ‘관계’, ‘삶의 성찰’ 등 개인의 경험과 사회 구조가 교차하는 주제를 다룬 책들이 주목받았다. 이는 최근 출판계 전반에서 정체성과 감정, 생애주기 전환점에 주목하는 흐름과도 맞닿아 있다. 해당 경향 속에서 중장년층 독자들의
-
- 인생 후반에 더 필요한 ‘창의력’
- 북인북은 브라보 독자들께 영감이 될 만한 도서를 매달 한 권씩 선별해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해당 작가가 추천하는 책들도 함께 즐겨보세요. 바쁜 하루를 보냈지만, 돌아보면 ‘내가 뭘 했지?’라는 허무함이 밀려오는 밤. 이러한 순간들은 단순한 피로 때문일까? 아니면 정말 내 머리가 굳어버린 걸까? 우리는 이런 순간을 두려워한다. (…) 하지만 인지심리학에서는 이런 ‘버퍼링 순간’에 주목한다. 당신의 뇌는 지금도 일하고 있다. 단지, 표면적으로 보이지 않을 뿐이다. - ‘버퍼링 씽킹’, 21p ‘은퇴’라는 단어엔 여러 감정이 얽혀 있다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