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형(㈜신라섬유 회장ㆍ前 대구상공회의소 회장)씨 별세, 이술이씨 남편상, 박재흥(신라섬유 사장)씨 부친상=19일 경북대병원, 발인 22일 오전, 053-200-2141
관련 뉴스
-
- “요양시설 간호사 의료행위 개선 필요…수액·도뇨 허용 검토해야”
- 요양시설에서 의사의 지도·감독 아래 간호사가 일부 의료행위를 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나왔다. 22일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연구용역으로 수행한 ‘요양시설 내 적정 의료행위 범위 설정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연구진은 “요양시설 입소자의 상시 건강관리 및 의료서비스 내실화를 위해 요양시설 간호사의 의료행위(주사, 검사, 처치 등) 허용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연구진은 요양시설 입소자 건강관리의 핵심 인력인 (정규) 간호사 근무 비율이 25% 미만으로 건강상태 변화에
-
- [칼럼] 손주와 놀면 젊어지는 다섯가지 이유
- “손주들이 오면 반갑고 가면 더 반갑다.” 요즘 손주 돌보기가 힘들다고 하소연하는 어르신들이 하는 말이다. 이유를 들어보니 손발과 허리가 아프고 힘이 달린다는 게 하나고 또 하나는 내 여유시간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일리가 있는 말이지만 이는 신이 인간에게 주는 최고의 선물을 수취 거부하는 행동이나 마찬가지다. 할머니 할아버지가 손자 손녀와 어울릴 때 그 모습을 보라. 우선 얼굴이 놀랍도록 환해진다. 주름진 얼굴에 저절로 웃음이 번지고 굳었던 몸이 유연해진다. 이게 단순한 현상이 아니다. 심리학, 생물학, 철학, 행동과학, 문화적
-
- 17년전 일본 논쟁거리 ‘후기고령자’…현재 한국과 닮은꼴
- 대신증권 나미선 연구원 ‘도쿄 타임머신 - 후기고령자’ 보고서 내 日 정부, 2008년에 75세 이상 국민 대상 ‘후기고령자 의료제도’ 도입 일부 고령자 의료보험료 자동 공제로 ‘홀대’ 논란 커져 “日 고령화, 재정적 부담 및 세대 갈등 보여줘…초고령사회 진입한 韓 유사” 17년 전 일본에서 논란이 됐던 유행어 ‘후기고령자’가 현재 우리나라를 연상케 하는 단어로 주목받고 있다. 22일 대신증권에 따르면 나미선 연구원은 이달 12일 ‘도쿄 타임머신 - 후기고령자’ 보고서를 통해 2008년 일본에서 논쟁거리였던 ‘후기고령자’를 짚어보면
-
- 은퇴 후 불안·우울? ‘동물교감 테라피’로 5주만에 해소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18일, ‘동물 교감 치유 프로그램’이 은퇴자와 청년의 심리·생리적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활동적 은퇴자 15명(61~74세)을 대상으로 주 1회 5주간 반려견과 교감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산책·빗질·기본 행동 교감 등으로 구성된 프로그램 후, 자아존중감은 30.7점에서 31.9점으로, 자기효능감은 61.3점에서 68.1점으로 높아졌다. 우울척도는 11.3점에서 6.7점으로 41.3% 감소했고, 스트레스척도는 2.90점에서 2.60점으로 10.3% 낮아졌다. 생리적
-
- [챗GPT 브리핑] ‘어리석다’ 뜻 담긴 치매, 용어 바뀔까 外
- 바쁜 일상 속 알짜 뉴스만 골랐습니다. 정책·복지·건강·기술까지, 꼭 필요한 시니어 관련 정보를 챗GPT가 정리하고 편집국 기자가 검수해 전해드립니다. ◆치매 환자 100만 명 눈앞…명칭 변경 논의 재점화 치매 환자가 올해 1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어리석다’는 부정적 의미가 담긴 ‘치매’ 용어를 바꾸자는 논의가 국회와 정부에서 다시 추진되고 있다. 인지저하증·인지병 등이 대체안으로 거론되지만 뉘앙스와 의료 용어 혼선 우려로 의견은 갈린다. 일본·대만·미국 등 해외는 이미 용어를 바꾼 사례가 있어 개정 논의가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