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임금근로자 서럽다 "10명 중 4명, 1년 미만 계약직"

입력 2014-05-06 11:13

국내 여성 임금근로자 10명 중 4명은 1년 미만의 계약직으로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용 근로자의 비율 상승세를 감안하면 직업 안정성이 상당히 취약한 상황이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은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를 토대로 ‘2014 년 1분기 임금근로자 수’를 분석한 결과, 전체 임금근로자 수는 1831만6000명으로 전년 동분기(1760만6000명) 대비 4% 증가했다고 6일 밝혔다.

성별로는 남성이 지난해 같은 기간(1005만명)보다 3.9%(1043만9000명) 증가했고, 여성도 전년 동기(755만6000명) 대비 4.3%(787만7000명)로 늘었다.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안정적 봉급생활자로 불리는 상용근로자(고용계약기간 1년 이상) 증가율도 여성(7.9%, 410만3000명→442만 9000명)이 남성(3.8%, 727만6000명→755만6000명)의 2배에 달했다.

하지만 여성 임금근로자 가운데 고용계약기간이 1개월 이상∼1년 미만인 임시근로자(281만7000명)와 1개월 미만인 일용근로자(63만1000명)는 모두 344만8000명으로 전체의 44%를 차지했다.

여성 임시 및 일용 근로자 비율은 전년 동분기(46%)보다 줄고 있지만 여전히 2명 중 1명 꼴로 고용 안정성이 낮은 일자리에 종사하고 있는 셈이다.

반면 남성 임금근로자 가운데 임시근로자(201만8000명)와 일용근로자(86만5000명)는 전체의 28% 수준(288만3000명)으로, 여성 단기 계약직 비율이 남성보다 1.5배 이상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뉴스

  • 또 다시 외국인 돌봄인력 확대하려는 일본, 이번엔 성공할까?
    또 다시 외국인 돌봄인력 확대하려는 일본, 이번엔 성공할까?
  • 서울시 중장년 대상 무료 AI 활용 교육 실시
    서울시 중장년 대상 무료 AI 활용 교육 실시
  • 노인일자리 근로자 고용보험 가입 가능해질까… 정부 전면 개편 예고
    노인일자리 근로자 고용보험 가입 가능해질까… 정부 전면 개편 예고
  • “10년 후 나를 설계한다
    “10년 후 나를 설계한다" 서울시, ‘인생디자인학교’ 모집
  • 청년 주도 시니어 산업 행사 '시니어 퓨처 콘서트', 19일 공덕서
    청년 주도 시니어 산업 행사 '시니어 퓨처 콘서트', 19일 공덕서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