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지역 동남아 인기 하락으로 한국 ‘반사이익’ 예상”
<사진: 뉴시스 제공>
중국과 러시아 등 해외에서 진료를 받으러 우리나라를 찾는 의료관광객이 급증하고 있다.
중국에서 한국 관광의 인기가 날로 커지면서 한국을 찾는 중국인 방문객이 오는 2018에는 1000만명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고 22일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최근 중국 관광객(요우커)을 두고 한국과 경쟁하는 베트남ㆍ말레이시아 등 동남아국가들이 중국과의 관계가 악화하는 등의 악재를 겪으며 한국이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말레이시아 2위 금융그룹인 CIMB증권 관계자는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 관광객들이 오는 2018년까지 연평균 17.2% 증가해 전체 중국인 국외여행객 연평균 증가율 11.7%를 뛰어넘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중국인 한국 여행객은 올해 530만명에서 2018에는 960만명으로 두 배 가까이 급증할 전망이다.
옥태종 CIMB 연구원은 “한류의 인기와 홍콩ㆍ말레이시아ㆍ태국 등 중국인 여행객이 많이 찾는 지역의 대중 관계 악화ㆍ정국 혼란 등의 악재가 더해지면서 한국이 혜택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 뉴스
-
- '의료 한류' 대박…병원-지자체-대학, 돈되는 의료관광산업 잡아라
- 대한민국이 의료관광 최적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세계적인 수준의 의료기술을 보유하고 있는데다 비용은 미국·일본·독일보다 저렴하다는 이점이 부각되고 있다. 의료관광산업이 한국의 신성장 동력으로 대두되자 병원·대학·지자체·벤처기업 등 각 업계가 수혜를 입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여행사는 먼저 대형병원과 손을 잡았다. 하나투어는 최근 의료 관광객 유치를 위해 세브란스병원과 합작법인을 세우기로 합의하고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하나투어는 해외 네트워크를 이용해 마케팅과 광고를 맡고, 세브란스병원은 의료 검진, 진료상담 등을
-
- 의료관광 1번지를 잡아라… 지자체 메디컬단지 조성 열풍
- 의료관광이 블루오션으로 급부상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와 병원들이 관광객 유치에 발벗고 나섰다. 앞다퉈 의료관광 단지 조성에 나서고 있는 양상이다. 21일 정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를 찾은 의료관광객이 21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지자체들이 ‘의료관광 1번지’로 발돋움하기 위해 의료관광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 곳곳에서 추진되고 있다. 대표적인 곳이 서울 강남구다. 강남구는 구 전체를 성형, 라식·라섹, 탈모치료 등 미용에 특화된 의료단지로 형성했다. 이같은 단지 조성을 통해 그동안 강남을 방문한 해외 의료 관광객은 2010
-
- 3대가 즐기는 ‘트윙클 성주!’ 세대통합형 야간 관광모델로 호평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하는 야간관광 특화도시인 경북 성주군은 2025년 ‘트윙클 성주!’를 통해 야간관광 모델을 제시했다. 이 사업에 참여하는 10개의 야간특화도시 가운데 유일한 소도시인 성주군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라는 현안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성주군은 ‘별 星(성)과 고을 州(주)’를 사용하는 ‘별고을’이라는 지역 정체성을 바탕으로 야간관광 브랜드 ‘트윙클 성주(Twinkle Seongju)!’를 개발했다. 군은 지난해 사업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기존 ‘키즈’ 중심에서 ‘3대가 함께하는 가족’을 대상으로 사업
-
- 시니어가 사랑하는 공간 '정원', 서울국제정원박람회 방문객 1000만 명 돌파
- 지난 5월 22일 개막한 ‘2025 서울국제정원박람회’가 개박 158일 만에 누적 방문객 1000만 명을 돌파하며 새로운 도시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39만 6600㎡(약 12만 평) 규모 부지에 조성된 111개의 정원은 세대별 취향을 아우르며 시민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박람회 이전 보라매공원 방문객은 60대 이상이 55%, 50대가 12%를 차지했던 반면 행사 이후에는 40대 22%, 30대 20%, 20대 16%로 연령 분포가 훨씬 다양해져 세대와 데대를 잇는 특별한 장소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중장년층에게는 여유로운 산책과
-
- 물길 따라 떠나는 감성 여행, 전북 진안
- 새벽길을 달린다. 멈춤 없이 달리는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만이 어둠을 가른다. 도시의 소음 따윈 저 멀리 사라지고, 정적 속에서 서늘한 공기가 숨을 쉬듯 흐른다. 차창을 스치는 짙푸르고 어두운 새벽 풍경 속으로 지난밤의 잔향이 흩어지는 중이다. 그 길 끝에 전북 진안고원의 푸른 새벽이 열리고 있다. 물안개 피어오르는 용담호의 새벽 수면 위로 나지막이 피어오르는 용담호의 물안개는 아직 어둠과 섞여 있다. 자연을 그대로 간직한 진안의 용담댐은 우리나라에서 다섯 번째로 큰 다목적댐이다. 이 지역권의 생활용수 해결을 목적으로 건설된 용담호는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