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지역 동남아 인기 하락으로 한국 ‘반사이익’ 예상”
<사진: 뉴시스 제공>
중국과 러시아 등 해외에서 진료를 받으러 우리나라를 찾는 의료관광객이 급증하고 있다.
중국에서 한국 관광의 인기가 날로 커지면서 한국을 찾는 중국인 방문객이 오는 2018에는 1000만명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고 22일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최근 중국 관광객(요우커)을 두고 한국과 경쟁하는 베트남ㆍ말레이시아 등 동남아국가들이 중국과의 관계가 악화하는 등의 악재를 겪으며 한국이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말레이시아 2위 금융그룹인 CIMB증권 관계자는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 관광객들이 오는 2018년까지 연평균 17.2% 증가해 전체 중국인 국외여행객 연평균 증가율 11.7%를 뛰어넘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중국인 한국 여행객은 올해 530만명에서 2018에는 960만명으로 두 배 가까이 급증할 전망이다.
옥태종 CIMB 연구원은 “한류의 인기와 홍콩ㆍ말레이시아ㆍ태국 등 중국인 여행객이 많이 찾는 지역의 대중 관계 악화ㆍ정국 혼란 등의 악재가 더해지면서 한국이 혜택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 기사
-
- '의료 한류' 대박…병원-지자체-대학, 돈되는 의료관광산업 잡아라
- 대한민국이 의료관광 최적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세계적인 수준의 의료기술을 보유하고 있는데다 비용은 미국·일본·독일보다 저렴하다는 이점이 부각되고 있다. 의료관광산업이 한국의 신성장 동력으로 대두되자 병원·대학·지자체·벤처기업 등 각 업계가 수혜를 입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여행사는 먼저 대형병원과 손을 잡았다. 하나투어는 최근 의료 관광객 유치를 위해 세브란스병원과 합작법인을 세우기로 합의하고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하나투어는 해외 네트워크를 이용해 마케팅과 광고를 맡고, 세브란스병원은 의료 검진, 진료상담 등을
-
- 의료관광 1번지를 잡아라… 지자체 메디컬단지 조성 열풍
- 의료관광이 블루오션으로 급부상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와 병원들이 관광객 유치에 발벗고 나섰다. 앞다퉈 의료관광 단지 조성에 나서고 있는 양상이다. 21일 정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를 찾은 의료관광객이 21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지자체들이 ‘의료관광 1번지’로 발돋움하기 위해 의료관광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 곳곳에서 추진되고 있다. 대표적인 곳이 서울 강남구다. 강남구는 구 전체를 성형, 라식·라섹, 탈모치료 등 미용에 특화된 의료단지로 형성했다. 이같은 단지 조성을 통해 그동안 강남을 방문한 해외 의료 관광객은 2010
-
- 봄날, 작은 외딴섬이 나를 깨운다… 강화 동남쪽 작은 섬 동검도
- 봄볕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눈길 닿는 곳마다 설핏설핏 봄기운이 어린다. 기지개를 켜며 훌훌 털고 어디로든 떠나야 할 것 같은 마음에 짐짓 두근거린다. 이럴 때 설렘을 주는 곳은 어딜까. 가까운 듯 단절의 참맛을 느끼게 하는 섬, 강화섬은 열린 자연이다. 섬 곳곳에 숨어 있는 작은 섬, 그리고 바다. 강화 남쪽 자락에서 영혼의 숨터를 만난다. 동검도는 강화 동남쪽에 자리 잡은 섬 속의 작은 섬이다. 한강을 통해 서울로 들어가는 배들을 검문하던 동쪽의 검문소라는 의미의 동검도다. 오롯한 섬 하나가 떠 있던 이전의 동검도는 이제 제방도로
-
- [카드뉴스] '지브리 프사' 열풍 속 현실판 지브리 명소 추천
- 요즘 SNS를 열면 익숙한 얼굴들이 하나같이 그림처럼 바뀌어 있다. 챗GPT의 이미지 리터치 기능으로 만든 ‘지브리 스타일’ 사진이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것. 이제 사람들은 화면 속 감성에서 벗어나, 실제로 그 풍경을 만나고 싶어 한다. 그래서 준비했다. 국내에서 지브리 감성을 오롯이 느낄 수 있는 드라이브 명소들이다. ▲단양 이끼 터널 푸르게 피어난 나무와 촘촘히 깔린 이끼들. 지브리 애니메이션 속 한 장면처럼 감성을 자극한다. 마치 의 풍경을 눈앞에 옮겨놓은 듯하다. 충북 단양군 적성면 애곡리 129-2 ▲인제 자작나무 숲
-
- 삼월 하늘 우러러보며… 천안 목천으로 역사 속 발걸음
- 3월이다. 이 땅에 사는 사람이라면 3·1운동을 먼저 떠올리는 달이기도 하다. 일제강점기였던 1919년 3월 1일, 우리 선조들이 독립선언서를 발표하고 이를 온 세계에 알린 역사적인 날이다.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던 그날의 함성은 어느덧 106년 전의 이야기가 되었다. 하늘 아래 편안한 땅 천안(天安), 천안시 동남구 목천마을에는 뜨거웠던 독립운동의 역사를 기억하고 되새기며 가치를 기념하는 독립기념관이 자리 잡고 있다. 간밤에 온 대지에 뒤늦은 춘설이 살짝 내렸다. 이른 시간의 목천 땅은 고요하다. 하늘을 향해 나는 새의 날개처럼 활짝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