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문화] 관음송이 들려준 600년 전 이야기

기사입력 2016-05-04 11:17 기사수정 2016-06-22 13:04

▲단종이 마지막을 살다 죽은 청룡포. 최은주 동년기자
▲단종이 마지막을 살다 죽은 청룡포. 최은주 동년기자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8’ 남한강 편을 읽으면서 ‘비단결처럼 고운 초록빛 강물이 휘돌아가’는 영월의 청령포가 궁금했다. 언젠간 한번 꼭 가봐야지 했는데, 백두대간 협곡열차를 타고 돌아보게 되었다.

어린 단종의 유배지로 잘 알려진 청령포는, 시린 역사가 수려한 풍광 때문에 더 가슴 아픈 곳이다. 육지 속 섬이라 배를 타고 들어가야 한다. 관광객이 어느 정도 모이면 나룻배가 출발했다. 배가 출발해서 배 엉덩이를 돌리자마자 도착하는 아주 가까운 거리였다. 배를 타기 전 건너다본 청령포는 참 아름다웠다. 한 폭의 수채화 같았다. 그러나, 청령포 하면 아름다운 모습 대신 어린 단종의 눈물이 먼저 떠오른다. 재위 2년 만에 갑자기 죽은 아버지 문종의 뒤를 이어 12세에 왕위에 오른 단종은 숙부, 수양대군에 의해 이곳으로 유배당해 슬픔과 통탄의 시간을 보내다가 생을 마감하고 만다.

섬 안에는 단종이 살던 기와집 한 채가 복원돼 있었고 바로 앞엔 집이 있던 흔적이 남아 있었다. 한때 조선의 왕이었던 단종이 한양에서 쫓겨와 살던 이곳은 생각보다 작고 초라했다.

하늘을 향해 곧게 뻗은 소나무들이 드리운 진한 그림자와 커다란 소리로 울어대는 바람 소리가 차갑게 느껴졌다. 밖에서 보았을 때 따뜻하고 아름다운 모습과는 달리 청령포의 어두운 기운이 살갗에 척척 달라붙어 서늘했다.

노산군으로 강봉된 단종이 해 질 무렵 한양을 바라보았다는 노산대나 단종이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쌓은 망향탑까지 둘러보았다. 노산대 위에서 본 멋진 절경이나 켜켜이 쌓은 돌들이 품고 있는 이야기들은 내게 별 감흥을 주지 못했다.

노산대를 내려오니 솔밭 한가운데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키를 자랑하는 소나무가 한 그루 있었다. 단종의 거처에서 멀지 않은 곳이다. 단종이 유배 온 것을 보고, 오열하는 소리를 들은 소나무라 해서 관음송(觀音松)이라 이름 붙었다.  

그는 사실 날마다 통곡했을 것이다. 왕위를 빼앗긴 아픔보다는 섬 밖으론 한 발자국도 나갈 수 없는 처절한 외로움과, 칠흑 같은 밤에 찾아오는 절벽 같은 공포 때문에 울고 또 울었을 것이다. 그 통한의 설움을 소나무가 다 들었다.

관음송이 600년 전에 보고 들은 어린 임금의 통곡과 슬픔을 알고 싶어 한참을 우두커니 서 있었다. 소나무는 말이 없었고 바람이 자꾸 울었다. 붉은 꽃잎이 바람에 하나, 둘씩 떨어졌다. 관광객들은 관음송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었다. 관음송은 무심히 서서 관광객들의 포토존 역할을 하고 있었다.

다시 육지로 돌아오는 나룻배에서, 동강에 버려진 단종의 시신을 수습했던 영월 사람들과 염색일을 하며 한 많은 세월을 보내던 단종비가 통곡할 때 함께 가슴을 치며 울어준 사람들을 떠올렸다. 세상과 격리된 채 단절된 시간을 보내던 이들의 슬픔을 이해하고 함께 울어주던 사람들의 마음을 생각하며 뒤돌아본 청령포는, 지는 해 아래서 아름답게 물들고 있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일제 군수 시설 속 강제동원 생생한 흔적, 인천 ‘조병창’
    일제 군수 시설 속 강제동원 생생한 흔적, 인천 ‘조병창’
  • 혁명 군주 이성계의 기백을 느껴지는 전주 경기전
    혁명 군주 이성계의 기백을 느껴지는 전주 경기전
  • 누스테이 목포, 지속 가능한 삶과 워케이션의 조화 제시
    누스테이 목포, 지속 가능한 삶과 워케이션의 조화 제시
  • 서원은 따분하다고? 흥미로운 소수서원과 부석사
    서원은 따분하다고? 흥미로운 소수서원과 부석사
  • 송강 정철의 파란 만장한 삶… 강직한 기품 남아있는 진천
    송강 정철의 파란 만장한 삶… 강직한 기품 남아있는 진천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