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간식 ‘달고나’를 활용한 건배사가 중년 부부들 사이에서 건전한 소통 방식으로 소개되고 있다. 단순한 농담을 넘어, 함께한 세월과 앞으로의 시간을 따뜻하게 돌아보는 말로 활용되며 공감을 이끌어낸다. ‘삼시세끼’, ‘단짠단짠’처럼 익숙한 표현에 의미를 더해 식사 자리나 소소한 기념일에도 유쾌한 분위기를 만들어준다. 중년의 일상에 작지만 따뜻한 변화를 더하는 건배사를 카드뉴스로 정리해 봤다. 취재 문혜진 기자
●Exhibition ◇오늘도, 기념: 우리가 기념품을 간직하는 이유 일정 9월 14일까지 장소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 일상 속 기념품을 통해 기념의 본질과 삶의 가치를 되돌아보는 전시다. 조선 후기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200여 점의 유물을 만날 수 있다. 전시는 △개인의 생애주기 속 이정표 △팬덤과 같은 공동체 기억 △관광 기념품의 사회문화적 의미 등 세 가지 측면에서 기념의 양상을 조명한다. 42.195km 마라톤 완주 후 받은 메달, 트럼프 카드 수집 등 공모를 통해 수집한 시민들의 사연과 기념품도 함께 소개된다. 국립민
K-컬처 열풍이 이제 한국의 전통문화로 확장되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전 세계에 흩어진 조선 전기 미술작품 691점을 한자리에 모으면서, 국보와 보물이 넘쳐나는 핫플레이스로 완전히 자리매김했다.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은 조선 건국과 동시에 꽃피운 15~16세기 미술의 정수를 한곳에 집중시켰다. 특히 BTS RM이 다녀간 이후 해외 팬들의 방문이 늘었고, 옛것은 고리타분하다는 편견을 버린 전 세대가 한데 어우러져 조선 새 미술의 탄생을 흥미롭게 감상하고 있다. 도자, 회화, 불교미술을 종합적으로 망라한 전시는 조선 건국 직전 이성계가
어느덧 코미디계의 대선배가 된 이홍렬. 부산을 뜨겁게 채울 코미디언 후배들과 모인 자리에서 대한민국 코미디의 역사를 생각하며 눈물을 보였다. 제13회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이하 ‘부코페’)’ 기자회견이 1일 서울 마포구 스탠포드 호텔에서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는 김준호 집행위원장을 비롯해 총 31명의 희극인이 참석했다. 특히 북콘서트와 폐막공연 MC를 맡은 이홍렬이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이홍렬은 “이번 폐막식 무대에서 사회를 보게 되어서 얼마나 기쁜지 모른다. 훌륭한 후배들이 코미디를 이어가는 모습이 뿌듯하다”고 소감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