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기자가 마치 실크로드를 찾아가듯이 이렇게 다양한 모습을 한 noodle의 근원을 파헤치고 찾아갔을 때 그 진원지가 아시아 하고도 음식의 대국 ‘차이나’에 도달했다는게 재미있는 결론이었다. 그러나 징키스칸의 유럽정복과 알렉산더 대왕의 동방원정의 역사가 인간의 복잡한 속성으로 존재하는한 음식뿐만 아니라 인간이 누리는 모든 문화를 너와 나만의 것으로만 분명히 구분할수 없다는 이것은 어쩌면 당연한 원칙일수도 있겠다.
음식을 담는 그릇을 어떠할까?
세계의 3대 도자기는 헝가리의 헤렌드, 덴마크의 로얄 코펜하겐 그리도 독일의 ‘마이센’ 이렇게 불리워지고 있다. 그중 마이센도자기는 세계적인 마니아층을 가지고 있고 우리나라에도 강남구 논현동에 대표 전시매장이 있다.
마이센 (MEISSEN)은 1709년에 독일 '작센'주에 위치한 한 성(castle)의 명칭이었다. 이 성의 요업장에서 유럽최초의 백자를 구워내는데 성공하게 되면서 마이센은 시작된 이름이다. 도자기와 차, 비단 등 멀리 아시아의 나라 중국, 일본등지로부터 건너오던 물건이 18세기 해양 무역의 발달로 대량수입이 시작되고 사치품에 목말라하는 유럽 귀족들이 아시아의 물건에 물쓰듯 돈을 쓰는것을 보면서 작센주의 왕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는 백자를 구워낼 생각에 몰두하게 된다. 귀족들은 백자를 하얀금이라고 부를만큼 백색과 투명함에 매료된다. 처음에 이곳에서는 유럽의 토질상 백자에 비해 품위와 강도가 떨어지는 적갈색 도자기를 구워낼 수밖에 없었으나 아우구스트 2세의 집념으로 1710년에 유럽최초로 백자도자기를 굽는데 성공을 하게 된다. 백자를 굽는 열쇄인 고령토의 비율과 흙을 굽는 가마의 고온 기술을 마침내 당시의 연금술사 뵈거트로 하여금 백자를 구워내는데 성공, 개발시키기에 이른다. 이 성공으로 인하여 당시 '작센'주의 왕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의 궁정공방으로 <마이센>이 설립이 되고 17,8세기 로코코시대 특유의 디자인이 개발되면서 합스부르그를 비롯한 유럽전역에 보급이 되기에 이른다. 사전에도 마이센 자기는 유럽 도자기의 역사라고 기록되고 있다.
마이센도자기 백자는 이런경로를 거쳐 중국 청나라 '오채자기'에 유전인자를 두고 모방에서 시작하여 그 탄생이 출발 되었다. 오채자기는 명, 청시대에 유행했던 백색바탕으로 구운 자기에다 나중에 다섯색 채색으로 무늬를 넣어 장식, 완성하는 자기를 말한다.
위의 사진중 좌측 마이센 도자기는 현재 영국 로얄 알버트 홀 소장으로 18세기초에 제작이 되었는데 재미있는 것은 이 자기의 하단부에는 일본도자기 문양이 흉내내어 그려져 있다. 당시 유행했던 일본도자기 문양의 '짝퉁‘ 이 아니었을까..?를 짐작케 한다는 해설사의 설명을 들었다. ’짝퉁‘이라는 우아하지 못한 표현은 기자의 표현이다.
서양사람들의 그릇 '커피잔'이라고하는 그릇은 동서양 문화의 교류로 지금의 모양이 되었고 잔의 손잡이는 뜨거운 차를 마시는 중국의 찻잔에서 모방되었고 'saucer'라고 하는 잔받침은 일본의 차문화와 도기에서 흉내내서 만들기 시작했다고 한다. 도자기의 영어 표기가 China Ware인 것이 그냥 붙여진 것만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좌측 사진속 자기 하단부의 문양보다 상단부의 그림을 보는 순간부터 나올때까지 내내 여운이 남아 혼자 생각하다가 마침내 우리나라 조선시대 유행했던 민속화 ‘초충도’를 기억해내고 나는 가슴이 뛰었었다.가슴이 뛴 이유는 는 ‘초충도’가 우리나라만의 고유한 민속화라고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초충도>
'초충도'는 풀, 작은 곤충, 동물을 배합하는 그림의 구도로 중국 원나라 시대의 화조작가 '여 경보'의 작품이 언제인가 일본으로 전래되었고 따라서 이 같은 구도가 우리나라에도 고려시대이후에 전해졌다고 추정한다고 한다. 우리나라
에서는 16세기(조선시대)에 이런 버전의 그림들이 주로 여성들에 의해서 유행하였고 민속화로 분류되고 있고 사임당의 초충도가 대표적이고 '초충도'의 대부분은 사임당의 화첩그림과 비슷한 풍으로 전해질뿐 작품들의 진위도 가리기 어렵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초충도'가 종이에 그려진 채색화에 비해 일본의 ‘초충도'는 주로 자수를 위해서 그려졌다고 한다. 위 좌측 도자기의 상단 그림 역시 들쥐가 무슨 덩쿨식물의 열매를 먹고 있는 그림이다. 따라서 기자는 저 윗부분의 그림 역시 아시아 그것도 한국에서 건너간 그림의 흉내일것이라고 혼자 생각하고 우습게도 가슴이 뛰었었던 재미있는 기억이 있다.
멀고 가까운 세계 문화교류의 역사가 재미있지 않나요?원초적으로 나만의것 이라는게 존재하기나 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