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초상화의 뿌리가 명나라에서 시작된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럼에도 ‘뿌리의 한계’를 훌쩍 뛰어넘어 우리의 새로운 문화 아이콘으로 우뚝 선 장르 중 하나로 자리매김한 것이 바로 초상화다.
명나라 왕조 376년(1368~1644), 청나라 왕조 275년(1636~1911) 도합 51년을 거치면서 초상화 제작과 관련한 중국의 화풍(畵風)도 많이 바뀌었다. 중국이라는 나라의 규모가 너무나 광대해 문화적 통일성을 간직하고 유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을 것이다. 특히 시대와 왕조에 따라 각기 다른 화풍이 나타난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바로 ‘화가가 너무 작고 사소한 것에 급급하면 크고 중요한 것을 잃는다[畵者謹毛而失貌]’라는 생각이다. 이는 당시 초상화 제작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중국 초상화의 뛰어난 필력(筆力)과 무관하게 시대와 왕조에 따른 화풍은 결과적으로 ‘질의 들쑥날쑥한 현상’으로 이어졌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이는 우리 조선시대 초상화에서 지켜온 무변(無變)의 원칙과 사뭇 다르다. 조선시대 초상화는 피사체의 부(富)나 권력의 고하와 무관하게 많은 경우 조정에서 신하에게 내린 하사품의 성격을 띠었다. 더불어 조정의 도화서(圖畵署) 출신 화인(畵人)의 손품이 묻어 있어 높은 질적 수준을 유지함과 동시에 ‘균일성’도 간직할 수 있었다.
2012년 한국학중앙연구원이 개최한 ‘조선공신(朝鮮功臣)’ 전을 둘러본 적이 있다. 왕을 헌신적으로 섬긴 공을 인정해 조정에서 신하에게 하사한 초상화를 모은 전시회였다. 작품 중 조선시대 후기 숙종(肅宗)과 영조(英祖)시대를 산 오명항(吳命恒, 1673~1728)의 분무공신상(奮武功臣像)을 보며 몇 가지 단상이 떠올랐다.
필자가 오명항의 초상화를 처음 본 것은 1980년대 초다. ‘초상화’ 하면 피사체의 모습이 화려하지 않아도 우아한 것을 기대하는 ‘관습’에 젖어 있던 시기였다. 그런데 오명항의 초상화는 안면이 온통 천연두(天然痘, 媽媽) 자국으로 덮여 있었다. 그것도 모자라 간(肝) 질환 증상과 비슷한 흑달(黑疸)의 새까만 얼굴을 보고 놀라움을 금할 수 없었다(사진 1).
지금은 거의 볼 수 없지만 1950년대만 해도 거리에서 천연두를 앓은 흔적의 얼굴을 보는 게 그리 어렵지 않았다. 그런 시절의 기억을 공유한 필자로서는 흔히 일컫던 ‘곰보 자국’이 그다지 생소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오명항의 초상화를 보는 순간, 무서울 정도로 소름이 끼쳤다. 천연두 자국이 있는 조선시대 초상화가 드물지는 않았지만 거기에 얼굴까지 아주 검게 그린 초상화를 본 것은 처음이었기 때문이다. 만성 간경화증(肝硬化症)에서는 먼저 황달(黃疸)이 나타나고, 말기가 되면 흑달로 이어진다. 초상화에서 오명항의 사인이 무엇일지 능히 짐작할 수 있었다.
그런 오명항의 다른 초상화(사진 2), 즉 ‘분무공신상’을 보면서 필자는 또다시 놀랐다. 두 개의 초상화를 제작한 연도는 똑같이 오명항이 사망한 해인 1728년이었다. 그런데 ‘분무공신상’에 나타난 안면 피부 색깔에는 ‘황달기’가 여실히 보이지만 ‘흑달’까지는 진행이 안 된 상태였다. 그에 반해 다른 초상화에서는 안면을 검게 그린 점이 두드러졌다. 요컨대 ‘분무공신상’ 제작 이후 간경화증이 급격하게 진행되었다는 얘기다. 생의 마지막 단계에 이르렀을 때의 임상 증상인 셈이다. 이런 생각을 하니 우리 초상화의 ‘별난 특징’이 더욱 실감나게 다가왔다.
>> 이성낙(李成洛) 현대미술관회 회장
독일 뮌헨의대 졸업(1966), 연세대의대 피부과 교수, 아주대 의무부총장, 가천의과대학교 총장, 가천의과학대학교 명예총장(현), 한국의약평론가회 회장(현), 간송미술재단 이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