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감독 작품으로 주연에 계춘 할망 역으로 윤여정이 나오고 손녀 혜지 역으로 김고은이 나온다. 윤여정이야 연기 생활 50년의 노련한 연기를 자랑하고, 김고은 ‘은교’에서 깊은 인상을 남긴 젊은 배우이다.
영화의 영문 제목이 ‘카놀라’인 것은 유채꽃에서 추출한 기름을 뜻하는 모양이다. 영화 전편에 걸쳐 광활한 유채 꽃밭은 물론 제주도의 아름다운 풍광이 볼만하다.
영화의 줄거리는 해녀 계춘 할망이 12년 만에 잃어버린 손녀 혜지를 만나 만년을 의지하고 사는 이야기이다. 혜지는 진짜 손녀가 아니고 불량소녀 출신이지만, 할망은 끝까지 혜지를 손녀로 믿고 산다. 남들이 의심하며 증거를 들이대도 자기 생각대로 손녀로 생각한다. 집 계약금을 훔쳐 달아나도 손녀를 의심하지 않는다.
“세상살이가 힘들고 지쳐도 온전한 내 편 하나만 있으면 살아지는 게 인생이라…내가 네 편 해줄 테니, 너는 너 원대로 살라” 가 이 영화의 명대사이다. 온전한 내 편이 한 명만 있어도 인생은 살 만하다는 것이다. 부부가 같이 살아 있으면 배우자가 당연히 그 대상이겠지만, 독거노인들은 그런 사람 한 명 만나기가 소원이다.
이 영화를 만든 감독은 생전의 어머니가 늙어 할머니처럼 대했다고 이 영화로 죄스러움을 한탄했다고 한다.
필자는 아주 어릴 때 부모님은 서울 생활을 개척하시느라고 시골에서 할머니 밑에서 자랐다. 그래서 어린 시절의 기억은 할머니에 관련된 것이 많다. 어린 것이 엄마 젖이 먹고 싶어 엄마를 찾았더니 할머니가 쭈글쭈글 해진 젖가슴을 내놓으며 엄마 젖 대신이라고 했던 기억이 난다. 일시적으로 울음은 그쳤지만, 쭈글쭈글한 할머니 젖가슴이 마음에 찰 리 없었다.
할머니는 손도 농사일을 하시다 보니 검고 쭈글쭈글했다. 그런 손으로 나물을 만져 반찬으로 상에 올렸을 때 어린 마음에도 입맛이 나지 않아서 손도 안 댔다. 그 기억 때문에 성인이 되어서도 나물 종류는 먹지 않았다. 물론 지금은 다르다. 건강에 좋다니까 먹는다.
할머니는 바늘귀에 실을 꿸 때에는 늘 필자에게 맡겼다. 그런 할머니가 바보 같아 보였다. 어린 나보다도 못한 면을 보고 우쭐했던 것이다.
할머니는 필자가 결혼하고 아내와 시골에 인사 차 갔을 때 차비하라며 손에 한 웅큼의 돈을 쥐어 주셨다. 당연히 안 받으려고 고사했지만, 아주 완강히 다시 주머니에 넣어주시는 바람에 못 이기고 그냥 받았다. 나중에 집에 와서 주머니 속 돈의 액수를 보고 놀랐다. 농사짓는 시골 할머니 수준으로는 너무 많은 액수였던 것이다. 시력이 너무 노화되어 얼마짜리 돈인지 모르고 넣어주신 것도 같아 다음에 내려 갈 때는 돌려 드리려고 했으나 안타깝게도 얼마 안 가 돌아가시고 말았다. 낙상 사고로 고생하시다가 돌아가셨다. 당시 노인은 마취에서 깨어나기 어렵다며 수술을 말리던 시대였다.
반면에 어머니는 서울에서 여러 점포를 경영하며 대 식구를 거느리느라고 바빴다. 뒤늦게 서울로 올라와 합류했지만, 필자 밑으로도 동생이 둘이나 더 있어 기대했던 어리광은 통하지도 않았다. 그래서 어린 시절의 모성애는 어머니보다 할머니 쪽이 더 진하게 남아 있다. 이제야 할머니에게 잘해드리지 못한 여러가지 죄스러움을 깨닫게 되었다.
이제 필자가 할아버지가 되었다. 손녀가 아직 어리다. 손녀에게 할아버지로서 어떤 추억을 남겨줄 수 있을지 모르지만, 자신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