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문희씨 별세, 오용석(아산사회복지재단 자문역)ㆍ응석(사업)ㆍ경석(제주사대부고 교사)ㆍ양석 (김녕농협 이사)ㆍ순자ㆍ순선ㆍ순례ㆍ순옥(제주동부보건소 계장)씨 부친상, 김용수(사업)ㆍ이창순(사업)ㆍ김학철(제주지방경찰청 경무과장)씨 장인상, 김미순(시인)ㆍ좌숙자ㆍ문계옥(제주동여중 교사)ㆍ임인순씨 시부상=19일7시40분 부민장례식장, 발인 22일7시, 064-742-5000
이지혜 기자의 주요 뉴스
관련 뉴스
-
- 추석 연휴, 문 여는 병원 미리 체크해 두세요
- ‘응급똑똑’앱, 병원·달빛어린이병원 등 정보 제공 12세 이하 소아 대상 ‘아이안심톡’ 이용 방법도 호흡곤란 등 심각한 증상 때는 즉시 119 신고 긴 추석 연휴를 맞이해 병원·의원 등 의료기관 이용 방법을 미리 숙지할 필요가 있다. 보건복지부는 3일부터 9일까지인 추석 연휴를 대비해 연휴 기간 의료기관 이용방법을 1일 안내했다. 연휴 기간 몸이 아플 때는 먼저 문 여는 동네 병·의원이나 작은 응급실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 보는 것이 좋다. 경증이면 방문한 의료기관에서 의사의 판단에 따라 치료를 받으면 되고, 병원 진찰 결과에 따라
-
- ‘국가에 봉사한 은퇴 탐지견’, 따뜻한 가족 찾아요
- 국민이 은퇴 검역탐지견을 더 쉽게 가족으로 맞이할 수 있도록, 농림축산검역본부가 1일부터 민간입양 접수 방식을 ‘연중 상시’로 전환한다. 종전에는 분기별(1·4·7·10월)로만 신청할 수 있었고, 서류·현장심사에 약 3개월이 걸려 분기 마지막 주(3·6·9·12월)에 입양이 이뤄졌다. 이번 개선으로 언제든 입양 신청이 가능하며 심사 기간도 약 3주(21일 내외)로 단축된다. 9월 30일 발표 기준, 올해 은퇴 예정 5마리를 포함해 총 9마리가 민간입양 대상이다. 입양 정보는 검역본부 홈페이지 ‘참여마당 → 은퇴 검역탐지견 민간입양
-
- [Trend&Bravo] 은퇴 세대가 연금 말고 찾는 생활비 마련법 5
- 은퇴 후 생활비는 누구에게나 가장 큰 고민거리다. 국민연금이나 퇴직연금이 기본 버팀목이 되지만, 실제로는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많다. 특히 물가 상승과 장수 리스크가 겹치면서 은퇴 세대는 연금 외에 다른 방법을 찾고 있다. 그렇다면 실제로 그들이 선택한 생활비 마련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교보생명 퇴직연금컨설팅센터 설문조사(2025)에 따르면, 4050 세대는 예·적금, 개인연금 등 여러 통로를 통해 생활비를 보충하고 있었다. 이처럼 은퇴 이후의 삶을 든든하게 지탱해 주는 해답은 한 가지가 아니다. 시니어 세대가
-
- [편집국장 레터] 45㎝ 이하의 밀접한 거리
- 글 공도윤 편집국장 doyoon.gong@etoday.co.kr 한가위가 있는 10월입니다. 가족을 포함해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함께하는 시간이 많은 달입니다. 심리학자 에드워드 홀의 연구에 따르면 ‘45㎝ 이하의 밀접한 거리’는 가족이나 연인처럼 친밀한 관계에서 자연스럽게 허용되는 거리라고 합니다. 서로의 심리적·감정적 연결이 잘 이뤄진 사람들만이 허용될 수 있는 거리일 겁니다. 역으로 보면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상대를 존중하고 이해하는 거리이자 서로가 쉴 수 있는 ‘틈’이 필요합니다. 그 ‘틈’을 따뜻한 온기를 채워 유지하는
-
- 새로운 세대, 품격을 묻다
- ‘5명 중 1명은 노인’인 세상이다. 올 들어 주민등록상 65세 이상 인구가 1024만 명이다. 전체 인구 5122만 명 가운데 20%다. 한 세대 전인 1997년 ‘노인의 날’이 제정되었을 당시를 떠올려보자. 총인구 4590만 명 중 노인은 293만 명, 6.3%에 불과했다. 30년이 채 지나지 않는 동안 한국은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이 변화는 단순한 통계 수치가 아니라 사회의 정체성과 문화를 근본적으로 흔드는 사건이다. 이제 노인은 더 이상 소수의 이름으로 불릴 수 없다. 사회의 가장자리에 머물러 보호받아야 하는 존재가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