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조사(2017, 1)에 따르면 스마트 폰 사용시간이 20~30대는 2시간, 40대 1시간 30분, 5060대 1시간 40분이다. 별것 아닌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 24시간 중 잠자는 시간, 식사시간, 화장실 가는 시간 등 생리적 필수 시간과 근무시간, 은행 가는 시간 등 의무적으로 해야 하는 시간을 제외하면 하루에 사적으로 쓸 수 있는 시간은 4시간 정도에 불과하다. 자기 인생을 위해 써야 할 그 시간 중에서 절반인 2시간을 스마트 폰 사용에 할애함은 생각해 볼 문제다. 서양인의 격언에 이런 문구가 있다. “나쁜 포도주를 마시기에는 인생이 너무 짧다.” SNS 사용이 나쁜 일은 아니어도 인터넷에 떠돌아다니는 내용을 단순히 옮기는 일이라든지 상대방이 이미 알고 있거나 바라지 않는 정보를 생각이 없이 퍼다 나르는 일이 그렇다. 소통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카톡이나 밴드에서도 비슷한 일이 비일비재하다. 너무 많은 시간을 불필요한 데 쓰고 있다. SNS 사용의 장점을 부인하지는 않는다. 사용하지 않아도 될 일에 시간을 쓴다면 귀중한 인생을 낭비하게 된다.
4차 산업혁명의 변화가 눈앞에 다가온 오늘날 전문가로 성공한 사람들은 스마트 폰 사용시간을 최소화하고 있다는 점을 관심 있게 보아야 한다. 인공지능의 세계적 전문가이며 <사피엔스>의 저자로 유명한 인공지능의 세계적 전문가 유발 하라리 교수는 아예 스마트 폰을 사용하지 않는다. 시간을 낭비하지 않기 위해서다. 카카오 이사회 의장 김범수 씨도 비슷하게 산다. “나는 카카오톡 등 SNS를 최대한 안 한다. 검색에 의한 지식과 정보는 잡식이기 때문이다”라 하였다. 대신에 “매일 1시간 정도를 온전히 책 읽기에 할애한다.”라고 말한다. 인간은 주어진 인생을 제대로 쓸 의무가 있다. 의무를 소홀히 한다면 죄를 짓는 바와 진배없다. <빠삐용> 영화 대사처럼 인생을 낭비하는 죄를 짓지 말아야 한다. SNS 뿐만 아니라 과연 우리는 인생을 낭비하고 있지 않나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수명이 길어졌다고는 하나 우주의 억겁 시간에 견주면 극히 짧은 인생이다. 낭비할 시간이 없다.